1. 서론
2. AI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연구
3. AI 기반 글쓰기 교육을 위한 요구분석(Needs Assessment)
3.1. 설문조사를 통한 학습자 요구분석
<표 1>
조사항목 | 도출된 사실 | 분석 결과(의미) | |
---|---|---|---|
1 | AI에 대한 인식 | • AI 활용의 이점을 포괄적으로 인지하고 있음4) | • AI에 대한 입문 지식보다는 더 깊고 실용적인 기술과 적용에 중점을 둘 필요가 있음 |
|
|||
2 | AI 활용 현황 | • AI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 인식5) | • AI의 기본 원리, 한계점, 다양한 도구 사용법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함 |
|
|||
3 | 글쓰기/학업과 관련된 AI 활용 | • 글쓰기/학업 관련 ‘AI 도구’에 대해 잘 알지 못하고 사용법에 미숙함6) |
• 효과적인 AI 프롬프트를 작성하고 도구 기능을 이해하여 효과를 극대화하는 수업내용이 포함되어야 함 • 브레인스토밍, 주제 탐색, 선행연구 조사, 데이터 분석, 시각화, 초고 작성, 수정, 피드백 등 ‘글쓰기 전(全) 단계’에서 AI가 활용되는 방식을 학습해야 할 필요성 있음 |
|
|||
4 | AI 사용과 관련한 윤리적 문제 | • AI의 콘텐츠를 인용 없이 제출하는 것에 대한 우려7) |
• AI의 콘텐츠에 대한 올바른 인용 방법, 저작권 문제 등에 대한 교육이 강화되어야 함 • AI가 제공한 자료를 검증하고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능력을 함양해야 함 |
|
|||
5 | AI에 대한 신뢰 | • 자기주도적 학습 선호8) |
• AI가 생성한 내용의 신뢰성을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해야 함 • AI를 통해 창의성과 생산성을 보완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할 필요성 있음 • 학습자의 독립적인 문제 해결 역량을 강화하고, 학습자간 AI 사용 역량의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교육이 필요함 • AI가 생성한 내용을 스스로 평가하고 수정하는 과정에 관한 학습 내용이 필요함 |
3.2. AI를 활용한 글쓰기 수업에 대한 교수자의 FGI 분석
<표 2>
<표 3>
3.3. 통합적 분석 및 시사점
<표 4>
4. AI 기반 글쓰기 교육을 위한 통합적 교육과정 설계
<표 5>
4.1. 탐색 단계(1-3주차)
<표 6>
<표 7>
4.2. 응용 단계(4-9주차)
<표 8>
• 응용 단계: 실제 글쓰기 과정에의 AI 적용 | |||
---|---|---|---|
5-6주차: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 교육목표 |
• 효과적인 프롬프트 작성법 습득 • 다양한 AI를 활용하여 연구 주제 탐색 |
• 효율성(40%) • 창의성(30%) • 적용성(30%) |
|
|||
수업내용 | • CRISPE 방법론13), 프롬프트 최적화 | ||
|
|||
PBL과제 |
• CRISPE 방법론을 활용한 목적별 프롬프트 설계 및 테스트 • ChatGPT 및 Perplexity를 활용한 연구 주제 동향 조사 |
||
|
|||
평가방법 | • 효율성(40%), 창의성(30%), 적용성(30%) | ||
|
|||
7-8주차: AI 연구지원 도구 활용 | 교육목표 |
• 연구 플러그인 활용 능력 향상 • 선정된 주제에 대한 이유, 중요성, 문제제기, 논제 특성 정의 |
• 자료수집(40%) • 분석 깊이(40%) • 도구 활용(20%) |
|
|||
수업내용 | • Perplexity, SciSpace, ChatPDF, Consensus, Scholar GPT 실습 | ||
|
|||
PBL과제 |
• SciSpace와 ChatPDF를 활용한 논문 요약 • Consensus, Scholar GPT를 활용한 연구 동향 파악 • 도구별 특징 및 장단점 비교 분석 작성 |
||
|
|||
평가방법 | • 문헌분석 보고서 | ||
|
|||
9-10주차: AI 활용 학술적 글쓰기 | 교육목표 |
• AI를 활용한 연구 자료의 효과적 활용 방법 습득 • 학술적 글쓰기의 기본 구조 이해 |
• 논리성(40%) • 학술성(40%) • 완성도(20%) |
|
|||
수업내용 | • 논문구조, 학술적 글쓰기 규범 | ||
|
|||
PBL과제 |
• 연구계획서 작성 프로젝트 • 특정 연구 주제 관련 문헌조사 및 선행연구 루브릭 분석 • AI 도구를 활용한 연구방법론 설계 |
||
|
|||
평가방법 | • 연구계획서 평가, 동료평가 | ||
|
|||
11-12주차: 데이터 분석과 시각화 | 교육목표 |
• AI 도구를 활용한 데이터 분석 능력 향상 • 분석된 자료를 기반으로 한 체계적 서술 능력 및 학술적 문체와 표현 방식 습득 |
• 분석정확성(40%) • 시각화(40%) • 해석(20%) |
|
|||
수업내용 | • Pandas, 시각화 도구 활용법 | ||
|
|||
PBL과제 |
• AI 도구를 활용한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 선행연구, 데이터 분석 등을 기반으로 한 초고 작성 |
||
|
|||
평가방법 | • 분석보고서, 시각화 결과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