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론
1.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2. 연구 목적
1.3. 연구 질문 및 가설
1.4. 연구의 의의와 범위
1.5. 연구 방법
1.5.1. 연구 설계
1.5.2. 자료 수집
2. 이론적 배경
2.1. 음악적 전이의 개념과 이론
2.1.1. 음악적 전이에 대한 이해
2.1.2. 음악적 전이의 치환으로부터 얻게 되는 기대 효과
① 간소화와 명료성: 여섯 가지 유형을 더 적은 범주로 압축함으로써 음악 비전공자인 학생들은 음악적 전이의 개념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간소화된 모델은 학생들에게 다소 많은 분류 체계로 인한 혼란을 피하고, 음악이 그들의 경험의 다양한 측면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돕는다.
② 영화음악과의 연관성: 감정적, 개념적, 사회문화적, 메타인지적 전이 등의 범주는 영화음악 연구에 특히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영화음악은 종종 감정적 반응을 유발하고, 문화적⋅사회적 맥락을 전달하며, 개념적 이해(예: 라이트 모티프나 주제적 발전의 인식)를 요구하고, 음악이 영화에 대한 우리의 인식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성찰적 사고를 촉진한다. 이는 이 범주들이 영화음악 분석에 매우 적용가능함을 보여준다.
③ 실생활 맥락에서의 적용: 본고에서 논의할 전이 유형은 학생들이 학습한 내용을 실생활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틀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영화의 사운드트랙이 어떻게 감정을 유발하는지(감정적 전이) 또는 특정 문화적 환경을 반영하는지(사회문화적 전이)를 이해함으로써 학생들은 교실 밖에서도 영화음악에 대해 비판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④ 융합적 사고의 가능성: 치환된 음악적 전이의 이름과 내용은 음악과 영화, 음악과 삶, 영화음악과 문화 등 다양한 연계의 가능성을 확대시킨다. 이러한 융합적 사고는 미래시대 교육과 교양교육의 주요한 목표와도 맥락이 일치하며, 학습자로 하여금 예술적 사고의 지평을 넓혀가는 데 일조할 수 있다.
⑤ 고차원적 사고 촉진: 메타인지적 전이 측면은 학생들이 영화음악과의 개인적인 경험을 반성하고, 더 깊은 참여와 비판적 사고를 장려한다. 이는 반성적이고 분석적인 사고를 기르기 위한 교양교육의 목표와 일치한다.
2.2. 영화음악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이해
2.2.1.세 가지 차원에 대한 이해
2.2.2. 영화에서의 디제시스적 음악과 비디제시스적인 음악
2.3. 아론 코플랜드(Aaron Copland)의 영화음악의 다섯 가지 명제
2.4. 영화를 활용한 대학 교양 음악교육 관련 선행연구 분석
3. 아론 코플랜드의 이론을 활용한 대학 교양 음악교육 학습자의 음악적 전이 함양 방안
3.1. 영화음악을 활용한 교양음악 교육모델 개발
<표 1>
여섯 가지 음악적 전이 (이보림, 2020) | 치환된 4개의 음악적 전이 | 설명 | |
---|---|---|---|
정서적 공감 | → | 정서적 전이 | • 음악을 통해 느끼는 감정적 반응과 개인의 정서적 반응이 음악적 경험에서 다른 상황으로 전이됨. |
|
|
||
개념적 적용 | → | 개념적 전이 | • 음악의 개념과 이론적 지식을 다른 상황에 적용하는 능력으로서, 이를 통해 음악의 기초 개념과 이론적 프레임워크를 이해하고 실생활에 응용함. |
|
|
||
구조적 설명 | • 음악의 구조를 이해하고 이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얻어진 지식을 다른 음악적 상황에 적용함. | ||
|
|
||
맥락적 해석 | → | 사회문화적 전이 | • 특정 문화적 또는 역사적 맥락 속에서 음악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능력으로,음 악을 통해 사회적, 문화적 맥락을 학습하고 이를 타 문화적 맥락에 적용함. |
|
|
||
비평적 관점 | → | 메타인지적 전이 | • 음악을 비평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평가하는 과정에서 인지적 활동과 음악적 경험을 자기 성찰의 경험을 다른 음악적 상황에 적용함. |
|
|
||
종합적 자기 지식 | • 자신의 음악적 경험과 이를 성찰하고 통합하여 음악적 학습을 다른 맥락에 성찰하고 적용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