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랑, 조윤성, 송해덕(2019). “대학교육에서 학생몰입 요인이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의 종단분석”, 아시아교육연구 20(1), 199-218.
김수연(2012). “대학 중도탈락생의 이동 경로 구조 분석”, 교육과학연구 43(3), 131-163.
김영순, 최희(2018). “교양수업에 참여한 대학생의 협동학습 경험에 관한 연구”, 열린교육연구 26(1), 145-164.
김은여, 조옥경, 서재영, 남신동, 백승주, 김혜진, 박성호(2020). “대학의 교수⋅학습 질 제고 전략 탐색 연구(Ⅷ)”, 한국교육개발원.
김지웅(2008). “대학생들의 멘토링 기능이 대학생활적응과 만족에 미치는 영향”, 외식경영학회 11(2), 77-101.
김훈호(2019). “대학생이 경험하는 협력적 학습의 특성 및 교육적 효과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36(4), 205-223.
김희성, 박인호, 왕문혜, 황의균, 이민수, 이길재(2022). “대학생의 대학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2(3), 179-188.
남혜원(2020). “수학 중심의 융합교과목 개발에 관한 사례 연구”, 문화와융합 42(9), 813-832.
박계홍, 이준표(2013). “대학의 멘토링 시스템이 자기효능감과 대학생할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적자원개발연구 16(2), 29-64.
박영순(2018). “대학 신입생을 위한 입학 전 동기유발학기 프로그램의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2), 269-289.
배상훈, 이순희(2020). “캠퍼스 인간관계, 교수-학생 상호작용, 협동학습 및 대학몰입의 구조적 관계”, 교육학연구 58(4), 55-83.
배상훈, 장환영, 김혜정, 송해덕(2013). “학부교육 실태진단”, 한국교양기초교육원.
백승수(2020). “핵심역량기반 교양교육의 당면 과제와 개선 방향”, 교양교육연구 14(3), 11-23.
서인균, 이연실, 서태균(2015). “선후배간 생활지도 멘토링 프로그램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학교생활 부적응 학생을 대상으로 한 또래멘토링 프로그램 개발 예비연구”, 청소년복지연구 17(2), 1-29.
송영명, 유신복, 김명주(2018). “대학생의 대학 몰입, 교수-학생 상호작용, 능동적⋅협력적 학습활동이 전공 및 교양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 977-995.
오동현(2012). “병원 종사자의 멘토링기능이 조직사회화와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인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오영재(2006). “대학 신입생들의 대학생활경험에 대한 분석 연구”, 교육문제연구 25, 141-164.
오현수(2013). “대학상담센터 멘토링 프로그램 운영 실제”, 대학생활연구 19(1), 19-35.
윤영미, 석민현(2012). “간호대학생의 학과적응과 진로정체감 향상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경영컨설팅연구 12(1), 185-203.
원주연(2018). “교양체육 참여동기가 학습몰입과 교양체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6), 451-471.
이인경, 김장희(2011). “대학 신입생의 학교적응을 위한 교수 멘토링 교육과정의 효과”, 상담학연구 12(2), 673-691.
이옥화, 임연욱(2010). “사이버대학에서의 동료지원 멘토링 프로그램의 효과: 재등록율, 학업성취도, 만족도 기준으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6(2), 315-339.
이용진(2016). “대학의 팀 기반 수업에서 협동적 학습양식과팀 구성 방식에 따른 학습 성과”, 한국교육학연구 22(4), 115-139.
이정기(2019). “대학 교양과목 멘토링 수업에 대한 만족도 분석: 홀리스틸 교육의 관점에서”,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23(4), 1-17.
이혁규(2015). 한국의 교육생태계. 교육공동체벗; 서울.
장춘미(2010). “대학에서 멘토링 활용에 대한 탐색”, 여성연구논총 25, 183-202.
장형유, 노미진(2011). “멘토링 기능이 대학생 만족몰입 및 대학생할 적응에 미치는 영향: 신뢰와 공정성지각을 중심으로”, 경영교육연구 26(4), 23-52.
전재은(2019). “대학생의 대학몰입 형성 요인에 대한 질적 연구”, 교육문제연구 32(1), 179-203.
전하람(2017). “대학생의 기숙사 거주가 초기 대학몰입에 미치는 영향: 학교 구성원과의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문제연구 35(4), 37-63.
주소용, 정연재(2019). “대학 신입생의 대학몰입과 학습참여가 교양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문화연구 25(5), 307-323.
최화숙(2018). “대학 교양교육과정으로성의 멘토와 멘토링 교과목 개발 및 운영 사례 연구”,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8(1), 261-269.
한주옥(2018). “멘토링 관련 연구 동향 및 효과적인 멘토링 프로그램을 위한 제언”, 사회과학연구 12(1), 7-36.
홍성연(2016). “대학 신입생 적응 지원을 위한 교육요구 분석”, 교육종합연구 14(1), 271-296.
홍세희(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1), 161-177.
황보선애(2009). “원격교육기반의 교수⋅학습자간 멘토링을 활용한 협동학습 시스템에 관한 연구”,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논문.
Aronson, E. (1978). The jigsaw classroom, Sage.
Bean, J. P. (1985). “Interaction effects based on class level in an explanatory model of college student dropout syndrom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22(1), 35-64.
Braxton, J., Sullivan, A., & Johnson, R. (1997). “Appraising Tinto's theory of college student departure”, Edited by Smart J, Higher Education: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12:107-162. New York, NY: Agathon Press.
Burke, R. J. (1984). “Mentors in organizations”.
Group &Organization Studies, 9(3), 353-372.
Cabrera, A. E., Nora, A., & Castaneda, M. A. (1993). College persistence:The testing of an integrated model. Journal of Higher Education, 64(2), 123-139.
Johnson, D. W., Holubec, E. J., & Johnson, R. (1992). Advanced cooperative learning, Interaction Book Company.
Moos, R. H. (1986). The human context:Environmental determinants of behavior, Malabar, FL: Robert E, Krieger Publishing Company.
Noe, R. A. (1988). “An investigation of the determinants of successful assigned mentoring relationship”.
Personnel Psychology, 41(3), 457-479.
Panori, S. A., Wong, E. H., Kennedy, A. L., & King, J. R. (1995). “A pilot project on college students'satisfaction and self-concept”.
Psychological Reports, 77(1), 255-258.
Ragins, B. R., & Scandura, T. A. (1999). “Burden or blessing?Expected costs and benefits of being a mentor”.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The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and Behavior, 20(4), 493-509.
Shea, G. F. (1995). Mentoring How to develop successful mentor behavior, Crisp Learning, Menlo Park, California.
Slavin, R. E. (1991). “Synthesis of research of cooperative learning”. Educational Leadership, 48(5), 71-82.
Sugino, C. (2021). “Student Perceptions of a Synchronous Online Cooperative Learning Course in a Japanese Women's University during the COVID-19 Pandemic”.
Education Sciences, 11(5), 231-250.
Tinto, V. (1993). Leaving College:Rethinking the causes and curs of student attrition, 2nd ed.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Tinto, V. (2012). Enhancing student success:Taking the classroom success seriously”.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the First Year in Higher Education, 3(1), 1-8.
Turban, D. B., & Dougherty, T. W. (1994). “Role of protégépersonality in receipt of mentoring and career succes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7(3), 688-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