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지민, 박한샘(2020).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대학교양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5), 849-875.
김완섭(2012). “로지스틱회귀분석과 데이터마이닝분석을 이용한 컴퓨터 교양교육 성과의 요인에 대한 연구”, 교양교육연구 6(3), 743-767.
김은회, 서유화(2022). “LDA를 사용한 COVID-19 관련 국내 논문의 연구 주제 분석”,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15(5), 423-432.
김정민(2020). “국내 교양교육관련 질적 연구 동향 분석”,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9(4), 91-114.
민웅기(2022). “불확실성 시대의 근대적 사고체계 부활과 대학교양교육의 재귀적 논의: 분열적 문화구조에 대한 해석”, 교양기초교육연구 3(2), 5-40.
박은희(2021). “LDA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대학 교양영어 연구동향 분석”, 교양교육연구 15(5), 169-183.
박일우(2020). “교양기초교육의 성찰과 새로운 방향”, 교양기초교육연구 1(1), 21-50.
박종도(2019). “주제모델링을 활용한 다문화연구의 이슈추적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3(3), 273-289.
백승수(2017). “교양교육연구 10년의 성과와 과제”, 교양교육연구 11(4), 273-305.
손복은, 전대일(2020).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교양교육 질 개선 연구 동향 분석”, 교양교육연구 14(5), 97-108.
윤옥한(2020). “코로나 19 이후 교양 교육 방향 탐색”, 교양교육연구 14(4), 25-34.
이경자, 유정민(2021). “대학생들의 비대면 수업 평가 방식 공정성에 대한 인식 연구”, 교양교육연구 15(6), 301-318.
이수상(2012).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 Nonhyŏng, 207-268.
이아름, 연석정(2021). “주제모델링과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학습장애 연구동향 분석”, 교육문화연구 27(1), 507-530.
이영주, 김동심(2022). “4년제 대학의 교양교육 성과를 결정하는 요인 탐색 연구”, 교양교육연구 16(1), 73-90.
임수민, 윤희정, 방담이(2020). “주제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교양교육연구동향 분석”, 교양교육연구 14(1), 11-32.
임희주(2022). “대학 교양수업에서 플립러닝의 최근 연구 동향 분석”, 인문사회21 13(3), 2379-2388.
정애리, 조영복(2022). “학습자 대상 위드 코로나 시대의 교수법 고찰”, 실천공학교육논문지 14(2), 287-294.
조남민, 손달임, 황미경(2022). “대학 교양교육에서 ‘역량기반교육’의 의미와 적용 타당성에 대한 고찰”, 교양교육연구 16(2), 31-48.
조윤정, 이정숙, 민진영(2019). “학문 목적 한국어 연구 동향분석:교양 한국어를 중심으로”, 교양학연구 10, 259-284.
주혜선, 이수상, 안현의(2017). “주제모델링을 적용한 국내 트라우마 연구동향 분석”,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13(10), 103-123.
하근희(2021). “LDA를 활용한 초등국어교육 연구 동향분석-KCI 등록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초등국어교육 70, 295-318.
하명애(2017). “대학 교양영어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언어연구 33(3), 453-476.
한송이, 박상훈, 이재창(2022). “교양교육 발전방향에 관한 교원의 인식 탐색”, 교양교육연구 16(6), 47-66.
홍성연(2020).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원격교육 환경에서 대학교양교과목의 수업성찰”, 교양교육연구 14(6), 283-298.
홍성연, 유연재(2020). “코로나 19로 인한 비대면 원격교육환경에서 학습성과 영향 요인 분석”, 교육공학연구 36(3), 957-989.
황수정, 한예원(2020). “대학 교양수업의 비대면 교수법 연구-‘교양한문’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6(1), 299-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