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리(2020). “4차 산업혁명시대 대학교육혁신의 방향과 실제에 대한 분석 연구”, 학습자중심 교과교육연구 20(3),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5-220.
강철승(2017). “4차 산업혁명 시대 대학 교육 혁신 정책 방향”, 한국경영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519-542.
교육부(2015). “2015년도 학부교육 선도대학 육성사업(ACE) 시행계획”.
교육부(2017). “2017년 대학자율역량강화지원사업(ACE+) 기본계획”.
교육부(2017). “2018년 대학 기본역량 진단 편람 설명회 자료집”.
교육부(2018). “2018년 대학자율역량강화지원사업(ACE+) 기본계획”.
교육부(2019). “2021년 대학 기본역량 진단 편람(일반대학)”, 한국교육개발원, 51-56.
교육부(2022). “‘22년~’24년 대학혁신지원사업 기본계획”, 고등교육정책실, 4-6.
김규원(2019). “지역 발전을 위한 대학혁신-자기성찰적 접근을 통한 예비적 논의”, 지역사회연구 27(4), 지역사회학회, 25-45.
김대중, 김소영(2017). “대학교육에서의 핵심역량과 역량기반 교육에 대한 이해와 쟁점”, 핵심역량교육연구 2(1), 핵심역량교육학회, 23-45.
김동식(2002). 프래그머티즘, 아카넷.
김민정(2019). “‘역량담론’의 헤게모니와 대학교양교육의 방향”, 문화와 융합 41(5), 한국문화융합학회, 321-348.
김성열(2017). “4차 산업혁명과 교육의 혁신: 대학교육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7년 여름 학술발표회 자료집, 5-27.
김인영(2020). “역량기반 교양교육 설계 요건과 적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교양교육연구 14(6), 교양교육학회, 237-251.
김진숙(2017). “미네르바 스쿨의 성공 가능성을 탐색하다”, 교육개발 44(3), 교육개발학회, 1-43.
김필성(2022). “미네르바 스쿨의 교육과정 특징과 시사점”, 교육과정연구 1(1), 교육과정학회, 173-186.
김혜나(2022). “통제사회의 맥락에서 역량기반교육의 탈경계 현상에 대한 고찰”, 인문학연구 37, 인하대학교 인문학연구소, 153-177.
김혜영, 김인영, 지현배, 전경애(2022). “대학기본역량진단평가의 교양교육 평가지표에 대한 문제 진단 및 제언”, 교양교육연구 16(6), 교양교육학회, 11-25.
류수진(2021). “대학혁신지원사업 역량강화형 지원대학의 대표적인 혁신 프로그램 내용 탐색”, 인문사회21 12(6), 883-896.
박민정(2008). “대학 교육의 기능과 역할 변화에 따른 대안적 교육과정 담론: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교육적 함의”, 교육과정연구 26(4), 한국교육과정학회, 173-197.
박민정(2009).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특징과 비판적 쟁점분석: 내재된 가능성과 딜레마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27(4), 교육과정학회, 71-94.
박운형, 최두진, 박동진, 조선자, 고정순(2009). “교육혁신의 개념, 동향 및 발전방향”, 교육혁신연구 19(1), 교육혁신학회, 1-24.
박휴용(2015). “핵심역량 기반 교육에 대한 비판적 고찰”, 교육사상연구 29(4), 교육사상학회, 49-78.
백승수(2020a). “핵심역량기반 교양교육의 당면 과제와 개선방향”, 교양교육연구 14(3), 교양교육학회, 11-23.
백승수(2020b). 교양교육의 지평: 쟁점과 과제, 양서원.
백승수(2022). “역량기반 교양교육의 교수학적 고찰”, 교양교육연구 16(2), 교양교육학회, 49-62.
변수연, 배상훈, 이수정(2021). “변혁기, 미래대학교육의 혁신과 발전 방안”, 한국교양기초교육원 연구결과보고서.
서경혜(2020).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딜레마”, 교육과정연구 38(4), 교육과정학회, 5-31.
서정일(2022). “대학 교양교육에서의 핵심역랑 적용에 관한 성찰”, 대학교양교육의 현장과 과제 (pp, 17-38), 한국문화사.
손동현(2019). 대학 교양교육론, 철학과 현실사.
손승남, 김인영, 송하석, 이재성, 최예정(2021). “고등교육에서의 역량기반 교육과 핵심역량”, 교양교육연구 15(1), 교양교육학회, 11-30.
손유미, 송창용, 민숙원, 오혁제, 김민석(2019). “대학생 핵심역량진단(K-CESA) 지원과 활용”,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손종현(2022). “역량기반 교양교육에 대한 교육적 타당성 비판”, 교양교육연구 16(2), 교양교육학회, 11-30.
스기타니 유미코(2022). “대학의 커리큘럼 편성에서 고학년 교양교육의 가능성”, 2022한국교양기초교육원국제교양교육포럼 자료집, 98-110.
신현석, 변수연, 박해경, 이현주(2022). “대학교육에서 역량의 의미와 적용에 관한 고찰”, 한국교육학연구 28(3), 한국교육학회, 79-107.
양미경(2002). “교육과정의 성격에 대한 구성주의 관점의 시사”, 교육과정연구 20(1), 교육과정학회, 1-26.
오헌석(2007). “역량 중심 인적자원개발의 비판과 쟁점 분석”, 경영교육논총 47, 경영교육학회, 191-213.
유성상, 이재준, 남유진(2015). “역량기반 대학교육 담론의 한계 및 대안적 논의 탐색”, 평생학습 사회 11(2),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1-52.
유인영, 강현석(2019). “역량 중심 대학 교육과정과 수업 운영의 문제 비판: D 대학 사례 중심으로”, 예술인문사회 융합멀티미디어 논문지 9(7),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9-216.
유재봉(2003). “듀이와 후기 허스트의 교육관 비교”, 아시아교육연구 4(2), 아시아교육학회, 193-213.
윤종혁, 김은영, 최수진, 김경자, 황규호, 박은영(2019). “OECD ‘교육2030: 미래교육과 역량’을 위한 현황 분석과 향후 과제”,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이경호(2020). “제4차 산업혁명시대 학교교육 혁신방안 탐색: 미국 ‘미네르바스쿨’ 혁신사례를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26(1),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179-199.
이득재, 이규환(2010). 오토포이에시스와 통섭, 써네스트.
이애화, 최명숙(2014). “국내 대학생 핵심역량과 그 진단 도구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교육공학연구 30(4), 교육공학학회, 561-588.
이요바(2020). “대학의 역량기반 교양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미네르바 스쿨 사례를 바탕으로”, 글로벌교육연구 12(4), 글로벌교육학회, 157-186.
이은미(2010). “듀이의 경험 개념에 비추어 본 역량의 총체성”, 역량기반교육, 교육과학사, 157-172.
이정원(2022). “고전문학 교육의 위기와 변화 방향”, 국어국문학 200, 국어국문학회, 29-69.
이화영, 유병민(2021). “대학에서의 전공능력 도출 모형 개발 및 타당성 검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355-373.
이효성(2016). “역량 재개념화와 대학 교육과정의 재구성”,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효성, 이용환(2011). “국내외 역량기반 교육과정 사례 분석 및 시사점”, 교육 연구 34, 전남대 교육문제연구소, 17-35.
장연호(2019). “대학혁신의 성공요인 탐색”,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장제형(2022). “‘방법적 지식’으로서의 역량과 OECD 역량기반 교육론의 자기모순”, 교양교육연구 16(6), 교양교육학회, 103-118.
정석환, 정성수(2015). “구성주의 지식론의 교육적 재개념화-한국의 교육현상을 중심으로”, 교육철학 56, 교육철학학회, 361-389.
정훈(2021). “역량기반 교양교육은 교양인을 길러낼 수 있을까?”, 교육철학 78, 교육철학회, 91-121.
조원겸, 조연교(2022). “대학혁신지원사업에서 ‘혁신’은 어디에 있는가?“부울경 지역 대학혁신전략을 중심으로”, 한국데이터분석학회 발표자료집, 7-11.
주상현, 최영출, 이상엽(2018). “대학 발전과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주요 언론의 네트워크 분석을 바탕으로 한 대학재정지원사업의 방향 설정”, 한국거버넌스학회보 25(1), 한국거버넌스학회, 237-256.
홍성기, 송하석, 홍성연, 권순정, 이진희, 정재영, 김진희(2014). “대학구조조정과 연계한 창의적 인문학 교육모형 개발과 융복합 생태계 형성”, 경제⋅인문사회연구회.
Biesta, G., & Priestley, M. (2013). “Capacities and the curriculum”, Edited by Biesta G, Priestley M,
Reinventing the curriculum:New trends in curriculum policy and practice, 35-49. Bloomsbury Pub.
Connelly, F. M., & Clandinn, D. J. (1990). “Stories of experience and narrative inquiry”.
Educational Researcher, 19(5), 2-14.
Elbaz, F. (1983). Teacher thinking:A study of practical knowledge, Croom Helm.
Ewens, T. (1979). “Analyzing the impact of competence-based approaches on liberal education”, Edited by Grant G, Gamson Z, Olsen V, Riesman D, Elbow P, Neumann W, Kohli W, Ewens T, On competence:A critical analysis of competence-based reforms in higher education, 160-198. Jossey-Bass.
Glasersfeld, E. von. (1999). 급진적 구성주의, 김판수, 박수자, 심성보, 유병길, 이형철, 임채성, 허승희 역, 원미사.
Hirst, P. H. (1998). “Philosophy of education:The evolution of a discipline”, Edited by Haydon G, 50 Years of philosophy of education:progress and prospects, Institute of Education, University of London.
Hyland, T. (1997). “Reconsidering competence”.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 31(3), 491-503.
Kosslyn, S.M., & Nelson, B. (2021). 미네르바의 탄생, 교육의 미래, 김필성, 강현석 역, 공감플러스.
Knott, B. (1975). “What is a Competence-Based Curriculum in the Liberal Arts?”.
The Journal of Higher Education, 46(1), 25-40.
Newman, J. H. (1982). The Idea of a University,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Lorelli Nowell, Swati Dhingra., Kimberley, Andrews., Julia, Gospodinov., Cathy, Liu., & Alix Hayden, K. (2020). “Grand Challenges as Educational Innovations in Higher Education:A Scoping Review of the Literature”.
Hindawi Education Research International, 2020:1-39.
Ward, S. C. (2016). “The competency-based approach to higher education:Are the AAC&U and other organizations destroying liberal traditionals?”. Thought &Action, 32(1), 25-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