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명희, 박남수, 류은진, 김유나(2013). “초등 혼합형학습에서 자기결정성 동기, 교수실재감, 학습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한국컴퓨터교육학 16(4), 1-11.
고은현(2006). “e-러닝에서의 교수실재감 구인 요인에 대한 실증적 탐색”,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2(4), 263-287.
곽은지(2016). “사이버대학 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과 학습성과의 관계에서 학습자 연령의 조절효과 검증”,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구본진, 김아림(2021). “대학 온라인 원격 교육 환경에서 수업의 질, 교수실재감, 교수지지가 간호대학생의 학업 낙관성 및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지 16(3), 141-148.
권성연(2011). “온라인 수업에서 교수실재감, 학습접근, 만족도 및 학습효과 인식 간의 관계 분석”, 교육공학연구 27(3), 535-560.
김경희, 유수정(2020). “노인들의 미디어 리터러시가 자기효능감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디어에 대한 접근⋅통제 능력과 사회적 소통능력을 중심으로 장년층과의 비교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37(3), 95-138.
김규동, 고유정, 최고은, 박인우(2012). “이러닝에서 교수실재감, 학습참여도, 학습자-교수자 간의 상호작용 및 학업성취도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교육학연구 18(1), 169-188.
김시원, 임규연(2016).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 환경에서 자기조절, 교수실재감, 인지된 상호작용과 학습성과와의 관계: 인지된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교육방법연구 28(4), 743-766.
김세련, 문은경, 박인우(2015). “온라인 수업환경에서 이러닝 준비도, 교수실재감, 학습자 참여 및 인지된 학업성취도에 대한 구조적 관계 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1(4), 687-710.
김승옥(2018). “플립드러닝 환경에서 교수실재감, 감성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 인지적 실재감과 학습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아미(2008). “디지털 환경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의 재개념화”, 한국방송학회 세미나 및 보고서, 7-19.
김지심, 강명희(2010). “기업 이러닝에서 학습자가 인식한 교수 실재감과 학습실재감, 학습효과의 구조적 관계 규명”, 아시아교육연구 11(2), 29-56.
김한주, 노석준, 유병민(2015). “일반대학 이러닝에서 학습자요인, 교수실재감, 콘텐츠품질이 학습만족도 및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교육종합연구 13(2), 173-196.
박경원(2021). “비대면 수업에서 대학생이 인지하는 교수실재감과 학습실재감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1(12), 175-181.
박정순(2021). “온라인 평생교육 참여 성인학습자의 개인 특성에 따른 테크놀로지 활용 역량 및 테크노스트레스 차이”,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현진, 신혜원(2006).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 교사의 교수행동, 교수자신감, 교수만족도”, 한국가정과 교육학 18 (2), 111-123.
서요한(2022). “비대면 수업에서 간호대학생의 교수실재감, 인지된 상호작용,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 학업성취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인격교육 16(2), 41-63.
송충진(2014). “대학에서의 교수-학습활동과 의사소통, 수업만족도에 관한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15(2), 171-200.
안정임, 서윤경, 김성미(2012).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의 미디어리터러시 구성요인 검증”, 한국방송학보 26(6), 129-176.
우채영, 박정순(2022). “초등학교 고학년의 그릿(GRIT), 온라인학습 만족도 및 학습전이 간의 관계에서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문화와 융합 44(6), 945-965.
유소연, 김은경, 구선우(2022). “온라인 수업에서 교수 실재감 및 학습 실재감이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4), 251-267.
은주희, 임규연(2013). “평생교육프로그램에서 참여동기, 교수실재감, 학습성과 간의 관계”, 교육방법연구 25(2), 479-499.
이명신(2014). “초등학교 교사의 테크놀로지 활용능력 및 활용태도가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이미경(2018). “중장년층 소비자의 테크노스트레스와 스마트폰 활용도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승민(2021). “미디어 리터러시가 스마트 디바이드 형성에 미치는 영향”, 정보관리학회지 38(2), 19-38.
정영미(2018). “미국 공공도서관의 성인을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학지 52(1), 359-380.
조진숙, 도현미(2020). “K-MOOC에서 교수실재감, 학습참여도, 학습만족도의 관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5), 551-572.
채유정, 최경애, 이성혜(2016). “온라인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에서의 학습자의 교수실재감, 수업인식, 학습결과간의 관계”,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2(2), 381-408.
추병완, 최효식, 최윤정, 정나나(2022). “미디어 리터러시 측정도구 개발”, 윤리연구 1(136), 27-50.
한송이, 이가영(2020).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수자 인식연구: A 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문화와 융합 42(7), 395-418.
한수연(2021). “실시간 원격 화상수업에서 대학생이 인식하는 교수실재감이수강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실재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관광연구저널 35(5), 177-189.
Garrison, D. R., Anderson, T., & Archer, W. (1999). “Critical Inquiry in a Text-Based Environment:Computer Conferencing in Higher Education”.
The Internet and Higher Education, 2(2-3), 87-105.
Shea, P., Li, C. S., & Pickett, A. (2006). “A study of teaching presence and student sense of learning community in fully online and web-enhanced college courses”.
The Internet and Higher Education, 9(3), 175-190.
Shea, P., & Bidjerano, T. (2010). “Learning presence:Towards a theory of self-efficacy, self-regulation, and the development of a communities of inquiry in online and 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Computers &Education, 55(4), 1721-1731.
Spitzer, K. L., Eisenberg, M. B., & Lowe, C. A. (1998). Information literacy:Essential skills for the information age, New York: Syracuse.
Swan, K., Richardson, J., Ice, P., Shea, P., Cleveland-Innes, M., Diaz, S., & Garrison, R. (2008). “Researching online communities of inquiry:New CoI survey instrument”. EdMedia+Innovate Learning, 5812-5820.
Thomas, S., Joseph, C., Laccetti, J., Mason, B., Mills, S., Perril, S., & Pullinger, K.. (2007 “Transliteracy:Crossing divides”,
First Monday, 12(12),
http:
//firstmonday.org/htbin/ojs/index.php/fm/issue/view/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