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양기초교육원(2012. 10. 14). “한국연구재단 <학술연구분야 분류표> 상 ‘교양기초교육’ 연구지원분야 신설안”, 손동현 원장.
한국연구재단(2012. 12. 28). “재단 연구분야 분류체계 변경요청에 대한 회신”.
전국대학교양교육협의회, 한국교양기초교육원, 한국교양교육학회(2018. 8. 24). “‘교양⋅기초교육’ 연구지원 분류체계개선 요청”, 전국대학교양교육협의회 박경하 회장, 한국교양기초교육원 윤우섭 원장, 한국교양교육학회 홍성기 회장.
한국교양교육학회(2019. 7. 25). “한국교양교육학회 학술표준분류 개선 요청사항”, 유홍준 회장.
김기봉(2022). “인류세를 위한 교양, 빅 히스토리”, 교양교육연구 16(1), 11-22.
김혜영, 김인영, 지현배, 전경애(2022). “대학기본역량진단평가의 교양교육 평가지표에 대한 문제 진단 및 제언”, 교양교육연구 16(6), 11-25.
남진숙(2018). “각 대학 교양교육 전담교수 위상 및 개선 방향”, 교양교육연구 12(4), 285-309.
더크워스, 앤절라(2016). 그릿(GRIT), 김미정 역, 비즈니스북스.
라이트, 알렉스(2010). 분류의 역사, 김익현, 김지연 역, 디지털미디어리서치.
리프킨, 제러미(2022). 역회복력 시대, 안진환 역, 민음사.
박미영, 김준모, 이주영, 조영성, 남승주, 이수련, 신혜령(2019). “학술실태조사를 위한 학술표준분류 재설계 연구용역”, 정책연구-2018-58-학술진흥총괄팀, 한국연구재단.
박병철(2019). “리버럴아츠 교육과 한국의 교양교육”, 교양교육연구 13(1), 163-180.
백승수(2019). “교양교육의 명칭 재정립을 통한 교양교육의 재개념화”, 교양교육연구 13(1), 141-161.
비알릭, 마야, 홈즈, 찰스 페댈웨인(2020). 인공지능 시대의 미래교육: 가르침과 배움의 함의, 정제영 역, 박영스토리.
손승남, 김경수, 박희문, 염민호, 이연도, 조혜경, 이정금(2017). 교양교육의 연구 및 교육 지원강화방안-주요국의 사례 검토를 중심으로(정책연구 결과보고서), 한국교양교육학회.
손승남(2020). “엔그램 뷰어를 활용한 교양교육 개념 분석”, 교양교육연구 14(2), 23-34.
슈바니츠, 스테판(2001). 사람이 알아야 할 모든 것: 교양, 인성기역, 들녘.
신인섭(2004). “교양개념의 변용을 통해 본 일본 근대문학의 전개양상연구 -다이쇼 교양주의와 일본근대문학”, 일본어문학 23, 343-364.
안재원(2010). “인문학(humanitas)의 학적 체계화 시도와 이에 대한 비판에 대해서: ars 개념을 중심으로” 서양고전학연구 39, 91-127.
윤승준(2022a). “독자칼럼: 교양교육 전담기관의 독립성을 다시 생각한다”, 두루내 39, 33-34..
윤승준(2022b). “한국 대학의 교양교육 전담기관: 그 현실과 과제”. 2022 한국교양기초교육원 국제교양교육포롬 - 교양교육담당기관과 통합교육, 21-23.
정연재(2021). “횡단적, 실천적 학문으로서의 교양학 정립을 위한 역사적 접근-교양의 학문적 정체성 수립을 위한 가능성과 조건 탐구”, 교양교육연구 15(6), 23-34.
탈레브, 나심 니콜라스(2018). 블랙 스완 - 위험 가득한 세상에서 안전하게 살아남기, 차익종, 김현구 역, 동녘사이언스.
한국교양기초교육원(2022). “특별기획 좌담회: 교양교육의 <학술연구분야분류표> 개선 노력 및 개편방향”, 두루내 39, 7-19.
Rothblatt, Sheldon(2003). The Living Arts:Comparative and Historical Reflections on Liberal Education, Washington DC: AAC&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