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민수(2016). “딜레마 토론을 활용한 NCS 기반 직업윤리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예비간호사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2), 399-424.
강선보(2008). 제7장: 도덕철학적 관점의 인성교육. 고미숙 (편), 인성교육 (pp. 195-227), 양서원.
교육부(2009).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총론(교육과학기술부고시 제2009-41호에 따른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총론)”.
김선영(2016). “역량중심 교육과정 구현을 위한 교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진술방식 탐색”, 교육연구 66, 113-140.
김수란, 이선경(2021). “대학 역량기반 교육과정 인증체제 및 평가지표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7), 705-720.
김진숙(2017). “4차 산업혁명 대응 미래교육 방향, 4차 산업혁명 대응 미래교육을 말하다”, 2017 KERIS 이슈리포트 연구자료 2017-7, 한국교육 학술정보원.
백남진, 온정덕(2014). “역량기반 교과교육과정에서 기준과 수행의 의미”, 교육과정연구 32(4), 17-46.
백은진(2015).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도입된 역사과 핵심역량 설정의 현황과 모순”, 史叢 (사총) 86, 245-274.
소경희(2012). “역량중심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방안으로서 과정-탐구 모형 활용의 가능성과 의미 탐색”, 교육과정연구 30(1), 59-79.
손민호(2011). “역량중심교육과정의 가능성과 한계: 역량 개념을 중심으로”, 교육실천연구 10(1), 101-121.
손승남, 김인영, 송하석, 이재성, 최예정(2021). “고등교육에서의 역량기반 교육과 핵심역량”, 교양교육연구 15(1), 11-30.
송민영, 이용민, 김병국, 최현수(2017). “CLD교육 학습성과 평가체계개발 연구: K대학교 역량기반 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2), 563-582.
송영숙(2019).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시스템 개발 및 활용: S대학교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4),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21.
송영숙(2019).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시스템 개발 및 활용: S대학교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4),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21.
송호근(2015). 나는 시민인가, 경기: 문학동네.
안종배(2017). “4차 산업혁명에서의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 미디어와 교육 7(1), 21-34.
유현숙, 고장완, 임후남(2011).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및 종합적 사고력에 영향을 주는 학습과정 요인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29(4), 한국교육행정학회, 319-337.
유현숙, 이정미, 최정윤, 김민희, 이길재, 변현정, 최보금(2014). “교수 학습 역량평가를 통한 대학교육 경쟁력 제고 방안”, 한국교육학회 학술대회, 한국교육학회, 126-129.
윤영란(2018). “대학생의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교양필수교과목수업에 대한 효과 분석”,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8(7),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 465-474.
윤지영, 유영림(2018). “대학생용 핵심역량 진단도구 타당화 연구: C대학의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24(6),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353-373.
이민영(2019). “과정 중심 평가가 학습자의 학업성취도, 메타인지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백워드 설계와 맞춤형 수업을 적용하여”,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지운, 노지화(2020). “형성평가, 수행평가,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재고찰”,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36(4), 515-535.
정창우(2015). “인성교육 실천을 위한 개인적, 사회적 방안 모색”, 2015 제9차 아동복지포럼 자료집. 초록우산어린이재단.
정창우(2015). 인성교육의 이해와 실천. 교육과학사.
정창우(2019). 21세기 인성교육 프레임: 사람다움과 시민다움을 지향하는 인성교육. 교육과학사.
조헌국(2017).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대학교육의 변화와 교양교육의 과제”, 교양교육연구 11(2), 한국교양교육학회, 53-89.
천세영, 김왕준, 성기옥, 정일화, 김수아(2012). “인성교육 비전수립 및 실천방안 연구”, 교육과학기술보고서.
최경애, 권정언, 권성연, 김주석, 민현구, 최연화(2022). “교양교과목 핵심역량 성과평가도구 개발”, 중부대학교 연구보고서, 1-153.
최경애, 최연화(2021). “대학 교양교육으로서 지역사회 연계교육의 현황과 과제”, 교양교육연구 15(6), 한국교양교육학회, 179-190.
최미순, 조혜영(2020). “학습 프로그램 수요 및 요구도에 따른 학습역량 차이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1(11), 한국산학기술학회, 795-803.
홍성훈(2000). “딜레마 토론교육 프로그램이 의과대학생의 도덕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도덕교육연구 12(2), 227-253.
Berkowitz, M. W., Althof, W., & Jones, S. (2008). “Educating for civic character”, Edited by Arthur J, Davies I, Hahn C,
The SAGE handbook of education for citizenship and democracy, London: Sage Publications Ltd.
Boston, B. O. (2005). Restoring the balance between academics and civic engagement in public schools, Washington, D.C: American Youth Policy Forum.
Caspi, A., & Robers, B. W. (2001). “Personality development across the life course:The argument for change and continuity”.
Psychological Inquiry, 12(2), 49-66.
Chickering, A. W., & Gamson, Z. F. (1987). “Seven principles for good practice in undergraduate education”.
AAHE bulletin, Mar, 3-7.
Cooper, T. L. (1991). An ethic of citizenship for public administration,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Jung, C. G., 김세영, 정명진 역(2015). 인격은 어떻게 발달하는가?, 서울: 도서출판 부글북스.
Knudsen, E. I. (2004). “Sensitive periods in the development of the brain and behaviour”.
Journal of Cognitive Neuroscience, 16(8), 1412-1425.
Lawshe, C. H.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4), 563-575.
Lickona, T., & Davidson, M. (2005). Smart and good high schools:Integrating excellence and ethics for success in school, work, and beyond, Washington, D. C: Character Education Partnership.
Lowi, T. J. (1981). “The two cities of Norton Long”, Edited by Schuster B. R, Cities without citizens, 30-36. Philadelphia, PA: Center for the Study of Federalism.
OECD. (2005).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Executive summary”.
Shields, D. (2011). “Character as the ain of education”. Kappan, 92(8), 48-53.
Peter, S.(2014). 이렇게 살아도 괜찮은가 (노승영 역). 서울: 시대의 창. (원서출판 1995).
Westheimer, J., & Kahne, J. (2004). “What kind of citizen?The politics of educating for democracy”.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41(2), 237-269.
Wood, R., & Bandura, A. (1989). “Impact of conceptions of ability on self-regulatory mechanisms and complex decision- mak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6:407-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