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2015). “개정교육과정 총론 및 각론 교육과정(별책 5)”,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권성호, 강경희(2008). “교양 교육에서의 융합적 교육과정으로의 접근”, 교양교육연구 2(2), 한국교양교육학회, 7-24.
권성호, 김진량, 강경희(2010). “유비쿼터스 시대의 융복합 교양교육과정 모델 개발-읽기, 쓰기, 말하기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4(2), 한국교양교육학회, 205-222.
김민정, 최건아(2020). “대학생의 읽기 및 쓰기 태도와 디지털리터러시 태도 간의 관계 분석”, 리터러시 연구 11(3), 한국리터러시학회, 131-160.
김소륜(2021). “대학 글쓰기 교육의 현황과 과제-글쓰기 교과목의 구조적 문제를 중심으로”, 리터러시 연구 12(3), 한국리터러시학회, 277-298.
김영환, 김우경, 박지숙(2021),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디지털리터러시 연구 동향분석-2011-2015년과 2016-2020년 비교분석”, 리터러시 연구 12(4), 한국리터러시학회, 93-125.
김용익, 이무근(1997). “공업고등학교 공업 교사의 직무능력을 위한 교육요구 분석”, 대한공업교육학회지 22(2), 대한공업교육학회, 1-12.
김우영(2022). “평전쓰기 과제를 통한 PBL 글쓰기의 수업과 지도”, 교양교육연구 16(2), 한국교양교육학회, 157-171.
김윤희(2021). “비대면 환경에서의 소통적 글쓰기 교육 방안고찰-학습자 중심 교육으로의 전환을 중심으로”, 리터러시 연구 12(3), 한국리터러시학회, 333-363.
김인숙, 서수현, 김종윤, 옥현진(2020). “증거중심 설계를 활용한 디지털 리터러시 평가도구 개발”, 교육방법연구 32(3), 한국교육방법학회, 437-459.
김종윤, 서수현, 옥현진(2015).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의 개념에 대한 이론적 탐색”, 국어교육 150, 한국어교육학회, 263-294.
김진실, 나승일(2006). “전문대학 교과연계형 학습공동체 수업에서의 상호작용 및 학습전략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8(4), 한국산업교육학회, 161-185.
김혜영(2020). “21세기 핵심 역량 강화를 위한 대학 교양기초교육으로서의 데이터 리터러시(Data Literacy) 분석”, 교양교육연구 14(6), 한국교양교육학회, 147-159.
김혜정(2016).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경험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8),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937-958.
나은미(2020). “동료피드백을 활용한 소통과 협력의 글쓰기 교육방안 연구”, 리터러시 연구 11(6), 한국리터러시학회, 373-403.
박영신, 안현아, 장미숙, 양길석, 김경이(2017). “대학생 핵심역량 자가진단 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양방법연구 29(4), 한국교육방법학회, 567-595.
박호관(2022).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대학 글쓰기의 수업 내용 구성과 실습 사례 연구”, 교양교육연구 16(2), 한국교양교육학회, 141-156.
박희숙(2008). “과학 기술 분야 교양과목에서 과학글쓰기 지도 사례 연구-국민대학교의 “현대사회와 과학기술”을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2(2), 한국교양교육학회, 25-41.
배상훈(2016). “대학 신입생 교양교육지원 방안: 대학 교양기초교육 운영 모델 중심”, 한국교양기초교육원, 1-83.
배혜진(2021).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자기표현 글쓰기 교육사례 및 운영 방안-SNS와 OVP 글쓰기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5(4), 한국교양교육학회, 101-115.
송명진(2021). “‘문자화된 말하기’의 특성 연구-글쓰기 관련 토의토론 강의를 중심으로”, 리터러시 연구 12(1), 한국리터러시학회, 283-306.
안미애(2021). “대학생의 디지털 기반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태도와 행동 연구-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인지와 미디어활용 양상을 중심으로”, 문화와융합 43(11), 277-302.
원만희(2009). “대학 글쓰기 교육의 개선 방향과 방법에 관한 시론”, 교양교육연구 3(1), 한국교양교육학회, 105-110.
유종오(2021). “국어과 이해중심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자료⋅정보 활용 역량 단원 개발 - 다문화교육과 연계한 ‘발표하기’를 중심으로-”, 한국초등국어교육 71,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39-275.
이송희(2021). “시조 텍스트를 활용한 디지털 글쓰기”, 시조학논총 54, 한국시조학회, 79-108.
이수경(2021). “‘코로나(COVID-19)’를 소재로 한 PBL 글쓰기 수업 모델 연구”, 핵심역량교육연구 6(2),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93-121.
이장익, 김주후(2012). “대학생의 핵심역량과 학업성취도 관계성에 대한 분석연구”, 직업교육연구 31(2), 한국직업교육학회, 227-246.
이재영, 김지영(2020). “대학핵심역량에 기반한 「글쓰기역량측정도구」 개발 방향 설계”, 인문사회21 11(5), 아시아문화학술원, 1703-1717.
임선숙(2021). “비대면 온라인 대학글쓰기 수업 사례연구”, 리터러시 연구 12(4), 한국리터러시학회, 345-375.
전영미, 조진숙, 김경록(2016), “대학교육에서 LMS의 활용이 자기주도적 학습역량 및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2(1),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55-84.
진미석, 손유미, 주휘정(2011).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체제 구축방안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29(4), 한국교육행정학회, 461-486.
차하순(2007). “전환기에서의 대학교양교육의 방향”, 교양교육연구 1(2), 한국교양교육학회, 149-163.
Lanninga, S., & Mallekb, J. (2017). “Factors Influencing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y of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Academic Libraianship, 43:Elsevier Inc, 443-450.
Banks, M. (2013). “Time for A Paradigm Shift-The new ACRL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y Standards for Higher Education-”.
CIL(Communications in Information Literacy), 7(2), 184-188.
Bakermansa, M. H., & Plotkeb, R. Z. (2018). “Assessing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in interdisciplinary first year project-based courses with STEM students”.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40:98-105.
Manuel, K., MSLIS. (2008). “Generic and Discipline-Specific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ies-the Case of the Sciences”, Science &Technology Libraries, 24(3-4), Routledge, 279-308.
OECD. (2005).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OECD.
Yong-Jae Kim, Jung-Eun Lee & Sun-Mi Lee(2018). Assessment of Core Competencies in University Students: A Case Study in D Health University(대학생의 핵심역량 연구: D 대학교 사례), 한국비교정부학보 22(2), 한국비교정부학회, 109-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