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영하(2009). “프레젠테이션의 시각요소 유형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권지숙(2011).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수용자의 만족요인 추출에 관한 연구-프레젠테이션 디자인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동호(2014). “영상기법을 활용한 프레젠테이션 유형 연구”, 디지털 디자인학연구 14(3),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843-850.
김민정, 박영민(2021).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가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495-507.
김윤정(2022). “대학 교양교육으로서 디지털 의사소통 연구: 유튜브 채널의 크리에이터 화법 분석을 기반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399-422.
김태경(2014). “발표에서의 말하기 방식과 청중 평가에 관한 연구-조음 및 운율 요소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 53(53), 한국언어문화학회, 29-150.
나은미(2007). “효과적인 프레젠테이션의 조건 및 평가에 대한 고찰”, 화법연구 11, 한국화법학회, 35-66.
남현민(2020). “한국어 발화 속도의 지각”,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선옥(2021). “대학생 대상 프레젠테이션 수행평가를 위한 루브릭 개발 연구”, 어문논집 8 8 , 중앙어문학회, 283-316.
박희숙(2009). “효율적인 설득을 위한 프레젠테이션 디자인 방법론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수현, 옥현진, 유상희, 김지연, 김희동(2018). “디지털 기반 복합양식 텍스트 제작 과정에 나타난 인지 작용 양상”, 문화와 융합 40(3), 511-552.
성지훈(2020). “대학 수업에서의 발표 녹화 영상에 대한 자기 피드백 활동지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2), 1113-1137.
손세모돌(2002). “발표에서의 부차 언어 연구”, 화법연구 4, 한국화법학회, 183-213.
신지영(2008). “말하기의 조음 및 운율 요소에 대한 평가”, 한국어학 38 , 한국어학회, 109-143.
안정민 외(2017). “동영상 촬영을 활용한 자기평가와 정의적 특성이 발표불안 감소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8), 137-160.
유혜원(2012). “말하기 학습자의 자기 평가 결과 분석을 통한 말하기 교육 연구”, 사회언어학 20(1), 한국사회언어학회, 111-134.
이소현(2020). “설득적 말하기의 핵심메시지 발화에 나타나는 준 언어연구: 속도와 휴지를 중심으로”, 언어과학연구 93, 언어과학회, 147-181.
이연주, 임경수(2020). “대학생의 프레젠테이션 능력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양교육연구 14(2), 한국교양교육학회, 265-275.
조민하(2014). “프레젠테이션의 효과적인 조음 및 운율 전략 -대학생의 정보전달적 말하기와 설득적 말하기의 비교를 통하여-”, 화법연구 24, 235-269.
장교진(2022). “한국어 유창성 판단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조중문(2004). “프레젠테이션자료의 시각언어적 요소에 따른 기업의 홍보효과 연구-레이아웃, 색채,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Attrill, A. (2015). The Manipulation of Online Self-Presentation, New York: Palgrave Macmillan.
Mahmud, A. (2016). “Information Visualization Techniques For Online Identity”, Harvard University, Ph.D dissertation.
Malouff, J. M., & Shearer, J.J. (2016). “How to Set Up Assignments for Students to Give Oral Presentations on Video”.
College Teaching, 64(3), 96-100.
Yu, B., & Zadorozhnyy, A. (2022). “Developing students'linguistic and digital literacy skills through the use of multimedia presentations”.
ReCALL, 34(1), 95-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