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록희(2019). “대학 저학년 대상 자기소개서 쓰기 교육을 위한 제언: 취업 목적 장르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논총 40(2), 인문과학연구소, 65-91.
김민주(2018). “자기소개서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쓰기 어려움 연구”, 고려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세준(2019).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자기소개서와 기업의 인재상 유사성에 관한 연구”, 숭실대 석사학위논문.
김영수, 문현실, 김재경(2020). “Doc2Vec 모형에 기반한 자기소개서 분류 모형 구축 및 실험”, 한국IT서비스학회지 19(1), 한국IT서비스학회, 103-112.
김영준(2020). “딥러닝 기반 신입사원 자기소개서 분류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영천(2010). 질적연구방법론Ⅰ, 문음사.
김윤희(2021). “예비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자기소개서 쓰기 사례 연구”, 인문사회21 12(1), (사)아시아문화학술원, 1139-1152.
김지오(2020). “자기소개서의 장르복합적 특질 고찰”, 동어어문학 80, 동어어문학회, 307-334.
박선애(2016). “SNS 협의 활동과 대면 협의 활동이 자기소개서 쓰기 능력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 비교”, 한국교원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수진(2018). “문학 thesis 교사의 고전소설 교수 행위에 대한 연구”, 한국교원대 박사학위논문.
안숙현(2020).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자기소개서 프로젝트 학습모형 제안”,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721-743.
이용준, 권주원, 김중원, 마지우, 이인혁, 김동규, 강태원(2021). “자기소개서 분석을 통한 지원자의 두뇌 우성 분류”,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11, 한국정보기술학회, 816-818.
이윤선(2015). “한국인 지원자의 영문 자기소개서에 나타나는 언어적 특징 연구: 정확성과 명확성 그리고 요청 화행을 중심으로”,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은홍(2018). “대학 교양 글쓰기 교육에서의 자기소개서 쓰기의 평가 범주 설정 방안”, 교양교육연구 12(5), 한국교양교육학회, 127-162.
이형근(2017). “기업 채용담당자의 자기소개서 평가 안구운동추적연구: 소제목 평가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형용(2020). “자기소개서 합격성 판단을 위한 딥러닝 모델연구”, 한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임준묵, 박정주, 주형구, 손형섭(2020). “대학입시에서 자기소개서와 학교생활기록부 평가를 위한 기계학습모형”, 대한산업공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11, 대한산업공학회, 3029-3033.
장진후(2019). “딥러닝 기법을 이용한 자기소개서 성향 분석”,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2016). 사회계 글쓰기, 태학사.
전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2020). 인문계 글쓰기, 전북대학교출판문화원.
정우진(2017). “자기소개서 항목별 작성법 연구”, 우리어문연구 57, 우리어문학회, 467-512.
정은아(2022). “‘인상 깊은 자기소개서’ 작성법 연구 -공통교양대학 글쓰기에서의 구체적 과정 제시를 중심으로-”, 우리어문연구 72, 우리어문학회, 701-733.
조윤경(2017). “고졸 취업자의 사회 진출에 필요한 성찰로서의 자기소개서 쓰기: 특성화고등학교를 중심으로”, 가톨릭대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면정(2018). “자기 성찰적 글쓰기와 기초직업능력프로그램(NCS)의 융합교육방안연구”, 우리문학연구 59, 우리문학회, 331-379.
최보르미(2019).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자기소개서 장르 분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최정혜(2019). “취업 목적 자기소개서의 큰제목 양상과 작성 전략”, 인문학연구 40,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443-476.
하흔흔(2021).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장르 기반 특수 목적 한국어 글쓰기 교육 방안 연구: 취업 자기소개서 텍스트를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로버트 보그단, 사리 놉 비크렌(2020). 질적 연구방법론의 기초, 조정수 역, 경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