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민수, 최지혜, 신창호(2020). “인성교육의 정책 실천에서 드러난 교육적 역설”, 교육연구논총 41(4),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37-62.
강선보, 박의수, 김귀성, 송순재, 정윤경, 김영래, 고미숙(2008). “21세기 인성교육의 방향설정을 위한 이론적 기초 연구”, 교육문제연구 30(30),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1-38.
김경호(2007). “양명 심즉리에 대한 조선유학의 응전”, 동양철학연구 50, 동양철학연구회, 159-187..
남궁달화(1999). 인성교육론, 서울: 문음사.
박성미, 허승희(2012). “청소년용 통합적 인성 척도 개발”, 아동교육 21(3), 한국아동교육학회, 35-47.
배식한(2021). “최소주의 인성교육”, 교양교육연구 15(4), 한국교양교육학회, 43-54.
백미화, 유주현, 신창호(2020).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덕목 실천에 관한 비판적 분석: 2015년 이후에 논의한 ‘예, 효, 정직, 책임’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학연구 26(3), 안암교육학회, 79-107..
손경원(2016). “인성교육의 연구 동향과 과제”, 윤리교육연구 39, 한국윤리교육학회, 97-133.
정석환, 배정혜(2020). “우리나라 인성교육과 시민교육”, 동아인문학 52, 동아인문학회, 249-285.
유병열, 김남준, 정창우, 김봉제, 박영하, 정병석, 조석환(2012). 인성교육의 체계화 연구, 서울: 서울특별시교육연구정보원.
송광한(2011). “영재성과 자폐성장애는 어떻게 공존하는가? 자폐성장애 영재의 인지메카니즘에 대한 이해”, 영재교육연구 21(3), 한국영재학회, 595-610.
송광한(2013a). “인지 메커니즘을 통한 자폐스펙트럼장애의 개념과 하위 유형의 재정립”, 정서⋅행동장애연구 29(2),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183-216.
송광한(2013b). “인간의 마음은 어디에서 어디로 변해가는가: 두뇌 인지 메커니즘을 통해 본 인간 마음의 처음과 끝”, 디지털융합복합연구 11(11), 한국디지털정책학회, 753-766.
송광한(2015). “근원적 인지 메커니즘을 통한 자폐스펙트럼장애와 정서행동장애의 상호 관계성 탐구”, 정서⋅행동장애연구 31(2),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45-268.
송광한(2019). “인지근원에서 살펴본 조현병의 발생 메커니즘 탐구”, 정서⋅행동장애연구 35(4),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25-244.
송광한(2020). 21세기 진리혁명- 지속가능한 삶을 위하여, 서울: 논형출판사.
송광한(2021). “사회성 결함의 근원적 인지메커니즘 탐구”, 정서⋅행동장애연구 37(2),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146-161.
Carroll, J. B(1993). Human cognitive abilities:a survey of factor-analytic studies, New York,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Edited by Case R, (1992). The mind's staircase:Exploring the conceptual underpinnings of children's thought and knowledge,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Case, R, Demetriou, A, Platsidou, M, Kazi, I. S(2001 “Integrating concepts and tests of intelligence from the differential and developmental traditions”,
Intelligence 29(4), APA. 307-336.
Gardner, H(1983). Frames of mind: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New York, NY: Basic Books.
Song, K. H(2009). “Understanding Giftedness in a Cognitive Mechanism:A Candidate for a Universally Agreed Definition of Giftedness”, Journal of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19(2),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261-277.
Song, K. H(2010). “Understanding Autism in a Cognitive Mechanism:Why and How the Characteristics of Autism Appear”, Korea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45(2), The Korean Society for Special Education, 115-130.
Song, K. H(2011). “General and Domain Specific Cognitive Abilities of Gifted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GLD):Understanding GLD in an Integrated Model of Human Abilities”, Journal of the Gifted and Talented, 10(2),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and Talented, 161-188.
Song, K. H(2014). “Domain Thoughts in Gifted Students and Gifted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Journal of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24(5),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851-876.
Song, K. H, Porath, M(2006). “Common and Domain-Specific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Gifted Students:A Hierarchical Structural Model of Human Abilities”,
High Ability Studies, 16(2), ECHA, 229-246.
Sternberg, R(1988). Beyond IQ:A triarchic theory of human intelligence, Cambridge, MA: Cambridge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