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학습공동체의 참여단계
<표 1>
선행연구 | 개념적 정의 |
---|---|
강명희, 임병노(2002) | 공동의 학습목적을 가진 개인들이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고 창출하기 위해 상호작용하며, 개인과 공동체가 동시에 성장하는 학습문화를 형성 |
이홍재, 강재상(2005) | 공통의 관심사를 가진 학습자들이 자발적으로 팀을 이루어, 학문적 탐구활동을 통해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고 공유하는 공동체 |
유영만(2006) | 구성원들의 자발적인 참여의지를 운영되는 집단이며, 구성원들이 학습과정에서 습득한 통찰력과 경험을 공유하는 과정 안에서 지식을 창출하고 이를 다시 현장에 적용함 |
김경화(2013) | 관심사가 서로 비슷한 사람들이 특정 주제나 관심사에 중점을 두어 학습하는 형태로 특정한 목표를 가진 집단이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고 개인 및 집단의 성장을 촉진 |
유지현(2016) | 학습을 목적으로 구성된 공동체로써, 유사한 관심사를 지닌 구성원들이 특정 주제에 대해 서로 상호작용하며 계획에 따라 진행하는 학습활동 |
유지원(2017) | 공통의 관심사를 가진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팀을 형성하여 특정 주제에 대해 협력적으로 학습활동을 전개해나가는 것 |
Newell et al.(2002) | 유사한 흥미나 관심사를 가지고 학습하려는 욕망과 의견을 공유하는 집단 |
Shrivastava(1999) | 공동의 탐구활동에 참여하고, 개개인의 지식을 향상시키며, 그 지식의 적용을 증진하는 학습자들의 집단 |
2.2.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의 효과
<표 2>
주요 연구 결과 | 선행연구 |
---|---|
대학생의 학업성취도 향상 | 김혜진, 2016; 양정모, 2019; 염민호 외, 2012; 장선영, 김누리, 2013; 황순희, 2020 |
학습자 핵심역량 향상 | 김민지, 서은희, 2020; 양시윤 외, 2018 |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 | 김옥분, 정찬호, 장정아, 2015; 박성희, 2015; 이재은, 박혜진, 2019; 최경민, 김민지, 2019 |
의사소통능력 향상 | 김혜진, 2016; 유지원 외, 2015 |
문제해결능력 향상 | 박성희, 2015; 유지원 외, 2015 |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도 향상 | 박상훈, 2018; 박숙희 외, 2015; 염민호 외, 2012 |
2.3. 대학 학습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지원
<표 3>
지원 항목 | 지원 내용 |
---|---|
학습자 이해 및 지원 |
- 핵심역량에 대한 이해 증진(이경진, 2021) - 상호관계형성을 위해 사회적 지원관계 형성기회 제공(정현미, 2003) - 학생 특성 고려의 필요성(한안나, 2017) - 튜터를 대상으로 적절한 코칭과 피드백의 지속적 제공(황순희, 2020) |
학습공동체 설계 및 운영 |
- 학습공동체 참여 학생들의 원활한 자료 공유와 의사결정 등의 상호작용 촉진을 위한 지원 시스템 또는 서비스 제공 (유지원, 2017; 이은철, 2013) - 학생 보상체계 및 운영인력 보충(이경진, 2021) - 소규모 협동그룹 활용, 토론 역할분담, 학습자들이 만들 지식의 확인과 공유⋅평가⋅저장 방안 설계 포함 (정현미, 2003) |
지원 조직의 안정적인 운영 및 협업 |
- 담당조직의 장기적 운영 및 대학 내부의 지원 연계 필요성(김재윤, 2018) - 공동체 기반의 지원체제 필요(박노윤, 배보경, 2010) - 부서 간 소통 및 협력 필요(이경진, 2021) - 교과 수업과 수업 외의 활동의 연계 필요(한안나, 2017) |
성과평가 및 질 관리 |
- 성과 검증을 위한 조직의 필요성(김재윤, 2018) - 질적 성과평가 방안 마련(이경진, 2021) - 대학 차원의 성과 관리(한안나, 2017) |
3. 연구방법
3.1. 연구대상
3.2. 연구절차
3.2.1. 학습공동체 프로그램 운영 과정
3.2.2. 연구진행 절차
3.3. 자료수집 및 분석
3.3.1. 자료수집
3.3.2. 자료 분석
4. 연구결과
4.1. 학습공동체 활동성과에 따른 참여동기, 만족도, 핵심역량
4.2.1. 학습공동체 활동성과에 따른 참여동기 비교
4.2.2. 학습공동체 활동성과에 따른 만족도 비교
<표 6>
<표 7>
구분 | 우수집단 (N=25) | 일반집단 (N=34) | 평균차 | t | ||
---|---|---|---|---|---|---|
|
||||||
M | SD | M | SD | |||
사전안내 | 4.72 | .678 | 4.21 | .770 | .514 | 2.663* |
운영 및 진행과정 | 4.80 | .408 | 4.41 | .657 | .388 | 2.791** |
기대 충족 | 4.72 | .614 | 4.44 | .660 | .279 | 1.651 |
교재 및 자료 제공 | 4.76 | .597 | 4.38 | .652 | .378 | 2.277* |
운영시설 및 환경 | 4.60 | .816 | 4.15 | .925 | .453 | 1.951 |
적극적 참여 | 4.84 | .473 | 4.47 | .706 | .369 | 2.404* |
전반적 만족도 | 4.84 | .473 | 4.56 | .561 | .281 | 2.085* |
재참여 의사 | 4.80 | .557 | 4.44 | .824 | .359 | 1.967 |
4.2.3. 학습공동체 활동성과에 따른 핵심역량 비교
<표 8>
구분 | 우수집단 (N=25) | 일반집단 (N=34) | 평균차 | t | ||
---|---|---|---|---|---|---|
|
||||||
M | SD | M | SD | |||
핵심역량인지 | 4.60 | .645 | 4.15 | .657 | .453 | 2.635* |
핵심역량과의 일치성 | 4.72 | .542 | 4.24 | .654 | .485 | 3.020** |
핵심역량 강화 | 4.76 | .436 | 4.32 | .727 | .436 | 2.869** |
4.2. 학습공동체 참여단계에 따른 활동 양상
4.2.1. 단계별 학습공동체 활동 양상 분석을 위한 분석틀 재구성
<표 10>
구분 | 평가지표 | 문항 | 출처 |
---|---|---|---|
계획 (공동체 조성기) | 자발성 | 학습공동체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였는가? | 이솔비 (2021) |
계획성 | 주차별로 구체적인 계획(학습내용, 학습방법, 학습자료)이 수립되어 있는가? | ||
다양성 | 학습공동체 계획에 다양한 학습활동(스터디, 답사, 인터뷰, 자문, 실험 등)을 포함시켰는가? | ||
공동체 형성 | 학습공동체의 목적에 따라 공유된 가치와 목표를 기반으로 팀을 구성하였는가? | 김유경, 이지은 (2021) | |
공동체 개발 | 팀원 간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학습활동을 계획하고, 공정한 역할 분배와 규칙을 통해 개인의 책무성을 강화하였는가? | ||
실행 (공동체 수행기) | 참여도 | 학습공동체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는가? | 이솔비 (2021) |
충실도 | 학습공동체 계획에 따라 과제 및 활동을 충실히 수행하였는가? | ||
상호작용 충분성 | 학습공동체 팀원 간 정보를 교류할 수 있는 공동학습공간을 마련하고, 활발하게 소통하였는가? | ||
도움구하기 | 학습공동체 활동과정에서 동료피드백 및 전문가, 멘토 피드백을 통해 지속적으로 상호작용이 이루어졌는가? | 김유경, 이지은 (2021) | |
공동체 갈등해결 | 학습공동체 내 갈등 상황 및 협력을 증진 또는 저해하는 팀원의 행동을 확인하고 조정⋅개선하였는가? | ||
성과 (공동체 성찰기) | 학습성과 공유 | (주차보고서 양식을 통해) 학습 및 성찰 내용을 공유하였는가? | 김유경, 이지은 (2021) |
학습활동 점검 | 학습공동체 과정에서 학습목표 달성을 위한 학습활동 수행정도를 점검하였는가? | 신규 추가 개발 | |
목표달성도 | 학습공동체 참여를 통해 당초 수립하였던 활동목표를 달성하였는가? | 이솔비 (2021) | |
역량향상도 | 학습공동체 참여를 통해 자신의 역량(협업, 의사소통능력, 자기주도성 등)이 향상되었는가? | ||
활동만족도 | 학습공동체의 내용, 운영지원 등은 전반적으로 만족스러웠는가? | ||
전공 지식 심화 | 학습공동체 참여를 통해 전공지식이 심화되었는가? | 신규 추가 개발 | |
향후 진로 도움 | 학습공동체 활동이 앞으로의 진로(취업, 진학 등)에 도움이 되었는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