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순구, 윤승준(2020). “고전교육의 교육적 성과 분석 연구-역량, 효능감, 흥미 변화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4(5), 한국교양교육학회, 161-173.
권순구, 윤승준(2021). “개인적 흥미 수준에 따른 고전교육의 교육적 성과 분석 연구”, 교양교육연구 15(3), 한국교양교육학회, 83-95.
강옥희(2016). “창의성과 비판적 사고능력 개발을 위한 고전읽기 수업방안 연구-문학토론을 통한 명저읽기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0(4), 한국교양교육학회, 543-578.
김기호(2015). “문제해결 구조에 기반한 읽기⋅토론⋅쓰기의 창의성 이해-영남대 「명저읽기와글쓰기」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사상과 문화 79, 한국사상문화학회, 35-61.
김미란(2012). “대학의 읽기-쓰기 교육과 ‘사회적 전환’의 필요성-텍스트적, 수사학적, 담론적 수준의 통합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의 연구 48, 한국문학연구학회, 403-438.
김성수(2018). “대학 기초⋅교양교육에서 읽기-쓰기 통합 교육의 구성과 활용 방안”, 리터러시연구 9(2), 한국리터러시학회, 225-273.
김연주(2013). “읽기와 쓰기의 통합 모형 연구-<명저읽기와글쓰기>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7(3), 461-482.
김영학(2019). “대학 교양교과로서의 고전읽기 수업모형 연구-조선대학교 <명저읽기>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한민족어문학 86, 한민족어문학회, 9-48.
김원준(2011). “읽기, 토론, 쓰기 통합교육의 효율성 제고-<명저읽기와 글쓰기> 강좌를 통해서”, 한문족어문학 59, 한민족어문학회, 523-548.
백승수(2020). “핵심역량기반 교양교육의 당면 과제와 개선 방향”, 교양교육연구 14(3), 한국교양교육학회, 11-23.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1999). 국어교육학사전, 서울: 대교출판.
손승남(2013). “‘위대한 저서(The Great Books)’ 프로그램을 토대로 본 우리나라 대학 인문고전교육의 방향 탐색”, 교양교육연구 7(4), 한국교양교육학회, 449-472.
손혜숙(2014). “읽기 말하기 듣기 쓰기를 연계한 통합형 읽기교육 방안 연구”, 어문론집 58, 중앙어문학회, 401-431.
윤준채(2009). “문해력의 개념과 국내외 연구 경향”, 새국어생활 19(2), 국립국어원, 5-16.
이수곤(2013). “‘고전’을 활용한 읽기, 쓰기 수업의 효율적 운영방식에 대한 시론(試論)”, 반교어문연구 35, 반교어문학회, 351-377.
조재형(2015). “현대 인간중심주의에 대한 노자(老子) 도덕경(道德經)의 함의: 소유, 자유의 문제를 중심으로”, 국정관리연구 10(2),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1-24.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22). “PISA 2018 결과에 나타난 우리나라 학생의 성취 특성 분석: 성취수준별 특성 및 학업탄력성이 있는 학생 특성을 중심으로(RRE 2020-7)”, KICE 연구⋅정책브리프 26, 3-11.
한래희(2013). “대학 교양 고전 교육과 상호텍스트성의 활성화-읽기, 토론, 쓰기의 연계를 중심으로-”, 현대문학의 연구 50, 한국문학연구학회, 383-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