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민조, 백평구(2022).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조세순응 연구 동향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2(1), 한국콘텐츠학회, 99-115.
강옥희(2016). “창의성과 비판적인 사고능력 개발을 위한 고전읽기 수업방안 연구: 문학토론을 통한 <명저읽기> 수업사례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0(4), 한국교양교육학회, 543-578.
김영우(2021). Do it! 쉽게 배우는 R 텍스트 마이닝, 서울: 이지스퍼블리싱.
김영정(2002). “창의성과 비판적 사고”, 인지과학 13(4), 한국인지과학회, 81-90.
김웅진(2001). 신화와 성화: 과학방법론의 패권정치, 서울: 전예원.
김태영(2014). “교양교육과 비판적 사고”, 교양교육연구 8(3), 한국교양교육학회, 167-192.
김태영(2021). “비판적 사고의 성향에 관한 연구-요소별 비교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 44, 대구가톨릭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41-163.
민춘기(2018). “산업 4.0 시대를 대비한 대학 4차원 교육의 내용과 방법”, 교양교육연구 12(2), 한국교양교육학회, 35-64.
민춘기(2021). “창의성과 비평적 사고를 연계한 교양 교과목 및 평가도구 개발의 방향”, 교양교육연구 15(5), 한국교양교육학회, 325-342.
박은희(2021). “LDA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대학 교양영어 연구동향 분석”, 교양교육연구 15(5), 한국교양교육학회, 169-183.
방선희(2011). “비판적 사고 교육의 국내 연구동향과 시사점”, 평생학습사회 7(1),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원격교육연구소, 61-83.
방준(2019). “국내 영어 교육 분야에서의 비판적 사고 관련 연구 동향”, 영어교과교육 18(4),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141-159.
백영민(2020). R를 이용한 텍스트마이닝(개정판), 서울: 한울아카데미.
백평구(2021).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소극적 수용력의 전개과정과 개념적 특성의 탐색”, 기업교육과 인재연구 23(1), 한국기업교육학회, 183-207.
서민규(2012). “비판적 사고와 창의적 문제해결”, 교양교육연구 6(3), 한국교양교육학회, 221-247.
윤철호(2021). 빅데이터 분석과 R활용, 서울: 생능출판사.
윤초희(2016). “국내외 비판적 사고교육 효과연구 고찰: 쟁점과 향후 연구과제”, 아시아교육연구 17(4),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1-35.
이종관(2018). “4차산업혁명과 일터의 민주화 한국과 독일: 두나라 이야기”, 인문과학 71,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37-70.
이진남(2013). “국내 비판적 사고 및 창의적 사고 연구 동향에 대한 검토”, 인문학연구 45,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407-442.
이진희(2020). “교양 교육으로서의 비판적 사고와 논리 교육”, 교양교육연구 14(4), 한국교양교육학회, 189-200.
조영웅(2014). “비판적 사고를 통한 창의성 교육”, 인문과학연구 40,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501-528.
최선화(2022). “교양교육으로서의 비판적 사고: 의미와 필요성”, 교양학연구 18, 중앙대학교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303-323.
최숙영(2018). “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디지털 역량에 관한 고찰”, 한국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21(5),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5-35.
하나선, 박소영, 이미자(2015). “융복합 시대 준비를 위한 국내 간호 대학 교육에서의 비판적 사고 연구 (1996-2014) 동향 분석”, 디지털융복합연구 13(9), 한국디지털정책학회, 341-349.
홍지호(2019). “논증 분석과 평가 중심의 비판적 사고 교육법 옹호”, 교양교육연구 13(5), 한국교양교육학회, 171-187.
帚木蓬生(2017). 황세정 역(2018), 답이 보이지 않는 상황을 견디는 힘, 서울: 끌레마.
Aizawa, A(2003). “An Information-Theoretic Perspective of TF-IDF Measures”,
Information Processing &Management 39(1), 45-65.
Alvesson, M, Spicer, A(2016). The Stupidity Paradox:The Power and Pitfalls of Functional Stupidity at Work, London, UK: Profile Books.
Blei, D, Ng, A, Jordan, M(2003). “Latent Dirichlet Allocation”, Journal of Machine Learning Research 3:993-1022.
Brookfield, S. D(2012). Teaching for Critical Thinking:Tools and Techniques to Help Students Question their Assumptions, San Francisco, CA: John Wiley &Sons.
Clegg, S. R, Palmer, G(1996). “Introduction:Producing Management Knowledge”, Edited by Clegg S. R, Palmer G, The Politics of Management Knowledge, 1-18. London, UK: Sage.
D'Agostino, F(1988). “The Sacralization of Social Scientific Discourse”,
Philosophy of the Social Sciences 18(1), 21-39.
Ennis, R. H(1992). “The Degree to Which Critical Thinking is Subject Specific:Clarification and Needed Research”, Edited by Norris S, The Generalizability of Critical Thinking:Multiple Perspectives on an Educational Ideal, 21-37.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Hetmanek, A, Schneeweiss, A. 2020.01.02“Kritisches Denken unterrichten-Wie geht das”,
I n Unterrichtspraxis Mint Zirkel,
https://mint-zirkel.de/
Holden, R, Griggs, V(2011). “Teaching the Politics of HRD:A Journey in Critical Curriculum Develop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Management Education 9(2), 71-81.
Merriam, S. B, Bierema, L. L(2014). Adult Learning:Linking Theory and Practice, San Francisco, CA: Jossey-Bass.
Mingers, J(2000). “What Is It to Be Critical?Teaching a Critical Approach to Management Undergraduates”,
Management Learning 31(2), 219-237.
Nosich, G. M(2001). Learning to Think Things Through:A Guide to Critical Thinking in the Curriculum, Prentice Hall.
Rahman, M. M(2019). “21st Century Skill “Problem Solving”:Defining the Concept”, Asian Journal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2(1), 64-74.
Sartori, G(1970). “Concept Misformation in Comparative Politics”,
The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64(4), 1033-1053.
World Economic Forum. (2020). The Future of Jobs Report 2020, Geneva, Switzerland: World Economic For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