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미영(2015). “대학생 대상 역량기반 진로교과목 운영의 효과”, 취업진로연구 5(1), 1-27.
권경득, 강일규, 임정빈(2011). “해외 취업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청년 해외 취업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5(4), 361-392.
권영주(2013). “한국 대학생의 경력 역량에 대한 선행 연구 분석과 지침”, 취업진로연구, 3(2), 21-39.
김경자, 온정덕, 이경진(2017). 역량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서울:교육아카데미.
김경화(2012). “대학생의 진로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연구도 분석”, 청소년학연구, 19(6), 359-379.
김나래, 이기학(2012).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지각된 진로장벽의 관계: 사회비교 경향성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 검증”, 직업교육학회지 31(4), 111-134.
김동일, 오현석, 송영숙, 고은영, 박상민, 정은혜(2009). “대학 교수가 바라본 고등교육에서의 대학생 핵심역량: 서울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10(2), 195-214.
김성앙(2019). “대학생의 진로개발지원, 진로역량, 진로적응성, 진로준비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동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영희, 최보영(2013). “대학생의 핵심역량 육성을 위한 액션러닝에서의 경험과정연구-근거이론접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11), 477-491.
김은영(2001). “한국 대학생 진로탐색장애검사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재현(2011). “전문대학생의 개인 교육기관 사회적 변인과 중도 탈락 의도의 위계적 관계”, 직업교육연구 30(2), 249-266.
김창환, 김본영, 박종효, 박현정, 이광현, 채재은(2014). 한국의 교육 지표⋅지수 개발 연구(Ⅲ): 대학생역량지수 개발 연구, 서울:한국교육개발원.
박가열(2009). “대학생 진로개발 역량을 위한 교육요구 분석”, 진로교육연구 22(2), 181-198.
박민정(2008). “대학교육의 기능과 역할 변화에 따른 대안적 교육과정 담론: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교육적 함의”, 교육과정연구 26(4), 173-197.
박성미(2011). “직업능력의 요소로서 핵심역량 분석”, 직업교육연구 30(3), 327-351.
박진아(2014). “대학생의 성격강점 자기조절효능감 자기주도학습 진로적응성간의 구조적 관계”, 한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박혜정(2018). “핵심역량 기반 대학 교양교육과정 설계 모형 연구-K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2(2), 한국교양교육학회, 65-87.
손원빈(2018). “성취가치가 대학생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핵심역량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진로교육연구 31(2), 151-170.
손은령(2001). “여자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손은령(2002). “여자 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과 개인, 심리적 변인”, 상담 및 심리치료 14(2), 415-427.
유수복(2013). “진로성숙도 유형에 따른 빈곤아동의 동질집단 특성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41, 67-100.
유순규, 김은주(2016). “대학생들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K-CESA핵심역량, 진로정체감 간의 구조적 관계”, 진로교육연구 29(2), 1-26.
윤영란(2008), “대학생의 효과적인 진로지도 방안 연구: 진로교과목 수업과 진로집단상담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이광우, 전제철, 허경철, 홍원표, 김문숙(2009). “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비전구”, 연구보고서 RRC 2009-10-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이상희(2006). “진로발달에서 진로장벽과 사회적 지지의 역할: 사회인지 진로인론과 사회인지 이론의 검증”, 상담학연구 7(4), 1123-1135.
이성식, 정철영(2007). “여대생이 인식한 진로장벽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결정수준의 인과모형”,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9(4), 83-109.
이숙정(2013). “대학생의 핵심역량과 진로미결정 및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진로교육연구 26(1), 119-139.
이숙정, 유지현(2008). “대학생의 학업 및 진로 스트레스와 대학 생활적응의 관계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교육심리연구 23(3), 589-607.
임명희(2019). “J대학교 SUPER 핵심역량 자기인식 진단도구 개발”, 교육종합연구 17(3), 23-42.
전은화, 정효정, 서응교(2015). “대학생 핵심역량 기반의 진로교육을 위한 교과목 개발 연구”, 열린교육연구 23(3), 293-318.
전찬열(2013). “대학생의 진로장벽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원관리연구 20(1), 1-14.
정명기(2010). “대학생의 핵심역량, 대학생활적응, 진로태도성숙의 관계에 대한 연구”,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선호(2017).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과정에서의 진로교육 현황 분석”, 교양교육연구 11(4), 363-387.
정은이(2014). “대학생의 진로 장애와 대학 적응의 관계에 대한 진로 몰입 및 진로 적응성의 매개효과”, 진로교육연구, 27(2), 1-21.
정지은(2013). “대학생의 진로적응성과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 및 자기주도학습의 인과적 관계”,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조규판, 주희진, 최진아, 방희원(2018).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검사 개발 및 타당화”, 동북아문화연구 55, 259-279.
진미석(2013). “수도권 및 지방대학생 핵심역량의 격차에 관한 탐색적 연구”, 교육사회학연구 23(1), 105-127.
진미석, 손유미, 주휘정(2011).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체제 구축방안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29(4), 461-486.
천경희 박은아, 송영명(2011). “의과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직업교육연구 30(4), 161-177.
탁진국, 이기학(2001). “직업결정척도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디지털 경영연구 1(1), 167-180.
하정윤, 김정민, 강지연, 차지철(2017). “대학생 핵심역량에 따른 진로준비행동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장벽의 차이 분석”, 한국콘텐츠논문지 17(5), 80-89.
Germeijs, V., & Verschueren, K. (2007). “High school students'career decision-making process:Consequences for choice implementation in higher educat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70(2), 223-241.
Hirschi, A., Herrmann, A., & Keller, A. C. (2015). “Career adaptivity, adaptability, and adapting:A conceptual and empirical investigat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87:1-10.
Lent, R. W., Brown, S. D., & Hackett, G. (2002). “Social cognitve carer theory”. Brown D, Asociates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4th ed. 25-31. John Wiley &Sons, INC.
Lent, R. W., Brown, S. D., Sheu, H. B., Schmidt, J., Brenner, B. R., Gloster, C. S.., & Treistman, D. (2005). “Social cognitive predictors of academic interests and goals in engineering:Utility for women and students at historically black universitie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2(1), 84-92.
London, M.. (1997). “Overcoming career barriers:A model of cognitive and emotional process for realistic appraisal and constructive coping”.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24(1), 25-38.
Luzzo, D. A.. (1996).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occupational barriers and career development”.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22(4), 239-248.
Malerich, J. (2009). “The value of international internships in the global workforce development”. AZ:Arizona State University.
OECD. (2002). Definition and selection of competencies(DeSeCo):Theoretical and conceptual foundations-Strategy paper. OECD Press.
Rychen, D., & Salganik, L. (2003). “A holistic model of competence”, Edited by Rychen D, Salganik L, Key competencies for a successful life and well-functioning society, 41-62. Cambridge: Hogrefe and Huber.
Savickas, M. L.. (2005). Career development and counseling, New York: John Wiley &Sons.
Sumison, J., & Goodfellow, J. (2004). “Identifying generic skills through curriculum mapping:A critical evaluation”.
Higher Educ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23(3), 329-346.
Tak, J. K.., & Lee, K. H.. (2003). “Development of the Korean career indecision inventory”.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1(3),
in press.
Vance, C. M., Sibeck, G., McNulty, Y., & Hogenauer, A. (2011). “Buiking global compentecies through experiential coursework in international travel and tourism”.
Journal of International Education in Business, 4(1), 30-41.
Vermeulen, L., & Schmidt, H. G. (2008). “Learning environment, learning process, academic outcomes and career success of university graduates”.
Studies in Higher Education, 33(4), 431-451.
Zinser, R. (2003). “Development career and employability skills:a US case study”.
Education &Training, 45(7), 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