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 General Edu Search

CLOSE


Korean J General Edu > Volume 16(2); 2022 > Article
대학 교양교육 비대면 수업의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자기평가 성과분석 연구

Abstract

이 연구는 언택시대 대학 비대면 수업으로 실시한 교양교육 수업에서 학생들이 대학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수업전후 2회의 자기평가를 통해 그 성과를 분석하고 비대면 수업에 대한 발전 방안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소속 대학에서 개설된 교수자의 교양과목 2개 강좌 2개반씩 총 4개반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들이다. 연구 방법은 교수자가 먼저 국가직무능력표준과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설명 자료를 만들고, 직업기초능력의 10개 요인과 34개 요소에 대해 Lykert식 5점 척도를 활용한 진단지를 개발하였다. 수업 첫 주 사전진단 평가로서 국가직무능력표준과 직업기초능력을 설명하고 제작한 직업기초능력 진단지를 사이버캠퍼스에 올렸다. 학생들이 이를 다운 받아 자기 평가하여 진단지를 작성한 후 교수 메일로 보냈다. 똑 같은 방식으로 수업 마지막 주에도 사후 평가와 비대면 수업에 대한 의견조사를 하여 수업 전후 직업기초능력의 성과를 분석하였다.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수업전후 자기평가 결과는 10개의 직업기초능력 및 34개의 하위요소들은 .001 수준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학년별 및 교과별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더불어 조사한 비대면 동영상 수업에 대한 설문조사에서 학생들은 효과적이라는 반응은 31%, 비효과적이라는 반응은 69%로 나타났다. 비대면 동영상 수업 유형의 장점으로는 반복 청취가 67.7%, 시간 활용이 22.9%로 높게 나타났으며, 단점으로는 주별과제 부담이 44.3%, 교수학생 관계형성 미흡이 20.6%, 수강생 소통 부족이 17.5% 순으로 나타났다. 비대면 수업의 적당한 비율에 대해서는 20%이상 50%미만 구간에 대해 49.4%로 가장 높게 반응하였다.
이상의 학생들의 수업전후 직업기초능력 자기평가 결과와 비대면 수업에 대한 의견조사 결과를 근거로 학생, 교수, 대학과 국가 수준의 향후 정책을 제안하였다. 학생은 국가직업기초능력 자기 진단과 성과 관리를 주기적으로 시행 관리해야하며 교수는 교양교육 과목을 통한 국가직업기초능력 신장과 비대면 온라인 수업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대학은 사이버시스템 업그레이드와 국가직업기초능력 향상을 위한 교과목 개발 및 관리시스템 정착이 필요하고, 국가는 사이버시스템 성능 강화를 위한 재정지원 확대와 국가직업기초능력을 신장하는 교양교육 운영 매뉴얼 및 우수사례집 개발이 필요하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utcome of instruction and the implication of improving university student’s vocational basic competency evaluation of non-face instruction in the “untact” era. The contents of this study were the theorectical analysis of competency-based evaluation, and the different analysis of Vocational Basic Competency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self-evaluation survey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students enrolled in two Leadership instructional programs and two interpersonal relations instructional programs in the field of liberal arts at Shinhan University.
Looking at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sults of self-evaluation of the vocational basic competency of students before and after cla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t the 0.01 level in all 10 vocational basic competency categories and 34 sub-elem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when it came to the grade and subject of the students. In addition, in the survey on non-face-to-face video classes, 31% of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were effective, while 69% said such classes were ineffective. The advantages of the untact video classes were 67.7% for repeated listening and 22.9% for time utilization. According to the students, the disadvantages of the untact video classes were as follows: 44.3% for the burden felt by weekly tasks, 20.6% for the lack of rapport between the professor and the students, and 17.5% for the lack of student communication. As for the appropriate ratio of untact classes, 49.4% responded that a proper ratio would be in the range of 20% to 50%.
Based on the above students’ self-evaluation results of vocational basic competency before and after class, and the results of opinion surveys regarding untact classes, future policies are proposed at the student, professor, university, and national level. Students need to self-diagnose and manage their vocational basic competency. Also, professors need to strengthen the national competency ability, and strengthen their untact online class capabilities. Universities need to upgrade their cyber systems, establish a curriculum development program, and develop management systems to improve vocational basic competency. The state needs to expand its financial support to strengthen the performance of cyber systems and to develop a manual for the opera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as well as to compile a collection of best practices to enhance vocational basic competency.

1. 서론

세계적인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비대면으로 수업이 시작된 2020년은 대학 수업의 혁신을 유도한 해가 되었다. 이 혁신은 자발적 혁신이라기보다는 코로나가 그 시발점이었다고 본다. 코로나 사태로 인한 비상사태에서 초⋅중등학생뿐만 아니라 대학생에게도 교양과목이 비대면 수업으로 진행됨에 따라 대학교수들은 익숙지 않은 비대면 수업에 대응하면서 자신의 수업을 변화 발전시키고 있었다. 그 이전에도 체계적으로 준비된 교육자와 교육과정 그리고 시설을 통해 이루어진 방송통신대학에서 비대면으로 교육이 이루어졌으며, 일부 대학에서 부분적으로도 사이버 수업이 진행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번 비상상태로 발생한 비대면 수업은 전 교수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처음 겪는 상황에서 이루어진 변화라 대학 수업 의 전면적인 혁신의 기회가 된 것이다. 연구자도 대학교수로서 2020학년도 1학기 처음 비대면 상황을 맞아 비대면 수업의 다양한 장애를 극복하면서 학생들을 지도하였다. 많은 대학에서의 상황과 유사하겠지만 재직교에서도 사이버캠퍼스의 용량 부족 및 시스템 완비 부족으로 1학기 전체 비대면 동영상을 통한 수업이 이루어질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수업은 앞으로도 겪지 못할 것으로 간주되어 전면 비대면 동영상 수업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아 수업과 연구를 동시에 진행하게 되었다.
그동안 교양교육의 중요성은 다양하게 논의 되어 왔다. 최근의 연구동향을 살펴보면 교양교육에 대한 방향에 대한 연구, 대학생 역량 교육에 대한 연구, 4차 산업혁명 시대 교양교육에 대한 연구가 특징적이라 할 수 있다. 특히 교양교육의 방향에 대한 연구(김혜영, 이숙정, 2012; 정선호 2016; 박혜정 2018; 이승현, 2020; 정은상, 2021)가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국제적으로 변화하는 역량중심 교육이 대학교육에서도 강조됨에 따라 대학생 역량 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는 연구(손동현, 2009; 장미옥, 2004; 차하순, 2007)가 수행되었다. 4차 산업혁명시대의 교양교육에 대한 연구(조현국, 2017; 백승수, 2019) 등이 있었다. 이들 주제는 단편적이 아니라 모두 융합된 방향으로 교양교육의 발전을 기대해야 할 주제들이다.
이번 대학의 갑작스런 비대면 수업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요구되는 교육에 대한 변화 요구가 있어 온 것과 맥락을 같이 한다. 이러한 요구에 대응하여 조현국(2017:89)은 4차 산업혁명으로 나타나게 될 주요한 변화의 방향은 크게 4가지를 제시하였다. 그는 가장 큰 변화로 직업 생태계의 변화이며, 이는 대학에서의 학과나 전공 체제의 변화를 유발할 가능성이 크다고 주장한다. 둘째로 소비 중심에서 공유 중심의 경제 체제 변화이다. 이는 대학에서도 개방형 플랫폼을 통한 콘텐츠와 자원 공유로 이어지게 될 것으로 강조하였다. 셋째로 탈도시화, 분산화로 인해 대학의 오프라인 중심의 캠퍼스 교육은 온라인을 통한 개인별 맞춤형 학습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클 것을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인간과 기계의 결합과 초지능의 등장으로 인간성 상실의 위기에 직면해 인성교육이 강조될 것이라는 지적이다. 조현국(2017:89)은 4차 산업혁명 시대 대학 환경 속에서 교양교육은 미래 사회 직업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핵심역량과 미래 문해력을 기르고, 학생 자기 주도적 전공 설계 및 학습을 위한 융복합 교과목 개발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공유 경제 체제 속에서 대학별 경쟁이 아닌, 양질의 콘텐츠 개발과 상생을 위한 플랫폼 구축에 힘을 합쳐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백승수(2019:29)는 대학혁명을 4차까지 제시하면서, 1차 대학혁명은 자유교육을 대학교육으로 제도화하였다. 2차 대학혁명은 ‘교양과 학문의 일치’를 추구했으며 3차 대학혁명은 배분이수모델을 확산시켰다. 4차 대학혁명은 플랫폼 대학, 융합 대학, 혁신 대학, 기업가 대학으로 전개되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특히 그는 4차 대학혁명 시대에 교양교육은 존망의 기로에 접어들었다고 보고 교양교육의 미래를 열어가는 길은 두 가지로 지적하였다. 하나는 ‘개량의 길’이고, 다른 하나는 ‘개혁의 길’이다. 개량의 길은 지금의 시스템을 유지하면서 부분적 개선에 주력하는 것이다. 개혁의 길은 교양교육의 본질을 회복하고 새로운 교양교육을 창출하는 것이다. 대학은 교양교육을 직시하면서 성찰과 통찰을 제도화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개량의 길을 극복하고 개혁의 길로 나아가야 하며 교양교육의 주체를 새롭게 재정립하고, 내용적 정체성을 확고히 하면서, 방법적 혁신을 일상화하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대학의 존재 가치는 인간이 존재하는 이유이다. 교양교육은 인간을 형성한다고 보았다.
이들 학자들의 주장에서 보듯이 교양교육은 이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게 개혁의 길을 가면서도 교양교육의 본질을 추구하면서 발전해 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변화하는 4차 산업혁명시대 국가경쟁력 향상을 위해서도 학생 역량 기반 교육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 국가가 개발한 국가직무능력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 이하 NCS)에는 직업기초능력과 직무수행능력으로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직업기초능력은 교양교육과 연계된 역량이고 직무수행능력은 전공교과와 연계된 역량들이다. 국가수준에서 개발되어 제공하고 있는 대학생 직업기초역량이 수업을 통해 진단되고 역량이 성장되도록 관리 지도되어야 한다.
주로 대학 교양과목을 통해 학생들이 길러주어야 할 역량인 직업기초능력은 대부분의 대학에서 역량중심 교육정책을 실행하고 있으며 평가에도 반영하고 있다. 대학평가 두 축인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산하 한국대학평가원에서 수행하는 평기인증기준과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수행하는 기본역량진단 평가에도 역량에 대한 평가가 공통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각 대학은 대학이 수립한 대학자체 학생 역량을 설정하고, 단과대학의 학생 역량뿐만 아니라 교과별 학생 역량을 설정하여 지도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교수자는 대학교양 과목 지도 시 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을 평소 수업전후 진단하게 하여 개별 학생들로 하여금 그 성과와 앞으로 증진시켜야 할 역량을 파악, 관리하도록 지도해 왔다. 특히 2020년은 코로나로 인해 비대면 동영상 수업이 진행되면서 직업기초능력을 특별히 관리하면서 메일로 받은 자료를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가 축적됨에 따라 수강생 전체 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 증진 정도를 분석하고 향후 수업 및 학생 직업기초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발전 방안을 마련하는 것은 매우 의의가 크다.
따라서 이 연구는 비대면 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직업기초능력을 수업전후 자기평가하도록 하고 수업을 통한 직업기초능력의 성과 분석을 통해 후속 수업 및 학생의 역량관리 발전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2. 연구 방법

이 연구의 방법은 문헌 연구, 조사 연구, 온라인 비대면 수업 운영 및 참여 관찰 등이다. 문헌 연구는 역량중심교육,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분석, 4차 산업혁명시대 및 언택 시대 교육의 방향 등에 대해 분석 제시하였다. 조사 연구는 설문지를 통한 수강 학생들의 의견을 조사한 것으로 국가직업기초능력에 대해 수업 전후 진단 설문조사를 하였다. 마지막으로 수업 전후 성과 분석을 위해 온라인 수업을 직접 계획, 운영하고 참여 관찰을 실시하였다.

2.1. 수업 및 학생 자기평가 설계

해당 수업 및 학생 자기평가는 다음과 같이 설계되었다. 수업 설계에서의 강의 방식, 해당 강좌, 수업활동, 주별 활동결과 제출, 중간고사와 기말고사, 과제평가와 학생 자기평가 설계에서의 자기 평가 대상, 자기평가 도구, 사전 사후 자기평가는 다음 <표 1>과 같다. 10대 직업기초능력 일부는 리더십과 인간관계 강좌에 직접적인 수업 내용이었으며 직접적으로 관계없는 역량은 과제와 수업 방법, 소통 등을 통한 간접적인 방법으로 활용하였다.
<표 1>
수업 및 학생 자기평가 설계
구분 하위요소
수업 해당 강좌 리더십 이론과 적용 2개 강좌 수강 학생 15주 수업
인간관계의 이해 2개 강좌 수강 학생 15주 수업
강의 방식 코로나 사태로 인한 전면 비대면 온라인 동영상 수업
수업 활동 동영상 : 이론 강의
매주 과제 활동 : 역량 강화를 위한 활동
주별 활동 결과 제출 매주 활동 결과를 메일을 통해 교수에게 전달
교수는 확인 점검하고 이를 다음 수업에 활용
활동과제 평가 매 수업 시 제출하는 활동지를 통해 전반부, 후반부 과제평가
과제제출 매주 과제 제출 학생에 대해 출석 인정
학생 소통 사이버캠퍼스와 메일(1:1 소통 및 전체 문자 발송)
반별 밴드 개설(반 학생 전체 및 교수 간)
수업 개선 의견 학생들에게 수업 후 자기평가시 수업 개선 의견 수렴
직업기초능력
자기평가
자기평가 대상 교양강좌 수강 학생 4개반 모든 학생
자기평가 도구 기초소양 능력 하위 요소별 Lykert식 5점 척도 이용 진단지 개발
사전 자기평가 1주차 오리엔테이션 시간애 직업기초능력 설명 후 진단함
사후 자기평가 15주차 기말평가후 이 교과를 통한 성과를 진단함
중간고사 기말고사 매주 수업 시 제시하는 학습 목표 중에서 시험 문제 출제
출석 매주 과제 제출 학생에 대해 출석 인정
(당시 동영상 수업 자동 출석처리 안됨-> 대학 내 모든 교과 동일)
수업 방식은 온라인 비대면 동영상 수업으로 진행되었다. 세계적인 팬데믹 코로나 사태가 갑자기 발생함에 따라 사전계획 없이 진행된 비대면 수업이라 대학에서 온라인 실시간 수업 시스템이 갖추어지지 못해 동영상 수업으로만 진행한 것이다. 해당 강좌는 연구자가 직접 수업한 2020년 1학기 수업인 리더십 이론과 적용 2개 강좌와 인간관계의 이해 2개 강좌 총 4개 강좌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기평가 수행자는 이 강좌 수강 학생을 전집으로 하였다. 자기평가 도구는 국가직무능력표준 중 직업기초능력 10대 능력 및 하위요소 총 34개를 대상으로 교수자가 Lykert식 5점 척도를 이용한 설문지를 제작하였다. 사전 자기평가는 1주차 오리엔테이션 시간에 실시하였고, 사후 자기평가는 15주차 기말고사 시간에 실시하였다. 해당 수업이 비대면 수업이고 사이버캠퍼스의 용량 부족으로 학생 작성 파일은 모두 사이버캠퍼스에 탑재가 어려워 학생들의 자료는 모두 메일로 받아 분석하였다.

2.2. 자기평가 도구

연구자는 교육부에서 개발한 직업기초능력을 분석하여 Lykert식 5점 척도를 이용한 자기진단표를 제작하였다. 교수자가 수업전 1주차 사이버 캠퍼스에 설문지 파일을 올리면 학생들이 작성하여 메일로 송부하였다. 교수는 이를 모두 프린트하여 종합 분석하였다. 수업후 설문지 파일은 15주 모든 수업 후에 진단하여 제출하게 하였다. 설문조사는 이 국가직업기초능력 자기진단뿐만 아니라 갑자기 불가피하게 시행된 언택 비대면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을 포함하였다(<표 2>, <표 3> 참조).
<표 2>
직업기초능력 자기진단표
직업기초능력 자기진단표 (수강전/수강후)
수강과목(  ), 요일(  ), 교시(  ), 과(  ), 성별( ), 이름(  ), 학년(  )
기초능력 하위요소 매우 미흡하다(1) 미흡하다 (2) 보통이다 (3) 우수하다 (4) 매우 우수하다(5) 평균 (예:3.4)
의사소통능력
(5개)
문서이해능력
문서작성능력
경청능력
의사표현능력
기초 외국어 능력
인간관계능력
(5개)
팀웍능력
리더십능력
갈등관리능력
협상능력
고객서비스능력
수리능력
(4개)
기초연산능력
기초통계능력
도표분석능력
도표작성능력
정보능력
(2개)
컴퓨터활용능력
정보처리능력
문제해결능력
(2개)
사고력
문제해결력
기술능력 (3개) 기술이해능력
기술선택능력
기술적용능력
자기개발능력 (3개) 자아인식능력
자기관리능력
경력개발능력
조직이해능력
(4개)
국제감각
조직체제이해능력
경영이해능력
업무이해능력
자기관리능력
(4개)
시간관리능력
예산관리능력
물적자원관리능력
인적자원관리능력
직업윤리
(2개)
근로윤리
공동체윤리
<표 3>
비대면 수업 진행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 조사 문항
핵심교양 강좌로 여러분이 수강한 본 수업에 대해 여러분이 생각하는 것의 번호를 적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다음 강의 개선에 적극 활용하겠습니다.
1. 비대면 수업이 대면수업보다 효과적이라고 생각되는가?( )
 1) 효과적이다  2) 비효과적이다
2. 비대면 수업이 대면수업보다 가장 효과 있다고 생각되는 것은?( )
 1) 반복 청취 가능  2) 강의 내용의 명확한 전달  3) 재택 청취  4) 시간의 효율적 활용
3. 비대면 수업 수강에 가장 힘들었던 것은 무엇인가?( )
 1) 주별 과제물 제출  2) 교수-학생 관계 형성
 3) 수강학생들 간의 소통 부재
 4) 질의응답 기회 부족  5) 사이버시스템 접속 곤란
4. 비대면 수업과 대면수업을 혼합한다면 비대면 수업의 비율이 어느 정도 이면 적당하다고 생각되는가?
 1) 25% 미만  2) 25% ~ 50%  3) 75% 이상  4) 기타 ( )
5. 이 강좌에서 여러분이 가장 좋았다고 생각되는 점은 무엇인가?
 ( )
6. 이 강좌에서 여러분이 가장 보완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점은 무엇인가?
 ( )
추가적으로 전면 비대면 동영상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을 듣기 위해 학생들에게 부수적으로 6개로 된 비대면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설문을 추가하였다. 이 문항들을 분석하여 후속하기 수업 개선에 반영할 개선 사항을 찾아 개선하는 기초로 삼기 위함이었다.

3. 역량중심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이론적 배경

교육은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가에 대해 역사적으로 몇 번의 패러다임이 비뀌어왔다. 지식중심 교육과정, 경험중심 교육과정, 학문중심 교육과정, 그리고 역량중심 교육과정으로 변화해 온 것이다. 처음에는 지식 전달이 주요 교육과정인 지식중심 교육과정이었다. 다음에는 경험중심 교육과정이 주를 이루었으며 세 번째는 학문의 구조가 교육인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시대였다. 네 번째 현재는 역량을 길러주는 것이 핵심인 역량중심 교육과정의 시대이다.

3.1. 직업기초능력

국가직무능력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이하 NCS)은 산업현장에서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지식, 기술, 태도 등의 내용을 국가가 체계화한 것이다. 직무능력은 일을 할 수 있는 On-Spec인 능력으로 직업기초능력과 직무수행능력으로 구분할 수 있다. 직업기초능력은 직업인으로서 기본적으로 갖추어야할 공통능력이고, 직무수행능력은 해당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역량(지식, 기술, 태도)이다. 이 국가직무능력표준은 직무기초소양능력 개발은 1999년도 국무조정실의 자격제도 규제개혁 과제의 일환으로 시작되었다. 직무기초소양능력 개발 연혁은 다음과 같이 <표 4>로 요약할 수 있다.
<표 4>
직업기초능력 개발 연혁
연도 내용
1999 • 1999년 국무조정실 자격제도 규제개혁 과제의 일환으로 ‘국가직업능력표준의 조기 개발⋅보급’ 제시
2002 • 2000년 노사정 합의에 따라 02년부터 표준 개발 착수
• 고용노동부⋅한국산엽인력공단 주관 국가직업능력표준(NOS: National Occupational Standards) 개발
• 교육부⋅한국직업능력개발원 주관 국가직무능력표준(KSS:Korea Skills Standards) 개발
2007 • 2007년 자격기본볍령 개정으로 표준 개발 법제화, 동 법령은 각부처가 소관 산업분야의 NCS를 개발하여 고시하도록 규정
2009 • 「국가직무능력표준 일원화 TF」 (2009.2~8)구성⋅운영
2010 • 2010.5월, 국가직무능력표준 추진 효율화를 위한 ‘국가정책조정회의’ 조정
• 표준 명칭 통일(국가직무능력표준, NCS) 및 개발주체 일원화
2013 • 2013.2월, ‘능력중심 사회를 위한 여건 조성’의 핵심국정과제로 확정
• 2014.12월까지 총797개 NCS개발완료(2013년 240개, 2014년 557개 개발)
2015 • 2015.1월, 기획재정부, 고용노동부, 교육부 등 정부부처와 협력하여 공공기관 및 기업에서의 활용, 과정평가형 자격제도 시행, 신직업자격의 설계와 적용 등에 중점을 두어 NCS 활용⋅확산 추진
• 2015.12월까지 총847개 NCS개발 완료(2015년 50개 개발)
• 890개 민간 중견⋅중소기업 대상 기업 컨설팅 실시
NCS의 10가지 직업기초능력은 의사소통능력, 자기개발능력, 대인관계능력, 조직이해능력, 자원관리능력, 수리능력, 정보능력, 기술능력, 문제해결능력, 직업윤리 등이다. 이들 10가지 능력은 각각 하위요소 있으며 전체 34개의 하위요소로 이루어져 있다(<표 5> 참고).
<표 5>
국가직업기초능력 10개와 하위요소 34개
기초능력(10) 하위요소(34)
의사소통능력 문서이해능력, 문서작성능력, 경청능력, 의사표현능력, 기초 외국어 능력
인간관계능력 팀웍능력, 리더십능력, 갈등관리능력, 협상능력, 고객서비스능력
수리능력 기초연산능력, 기초통계능력, 도표분석능력, 도표작성능력
정보능력 컴퓨터활용능력, 정보처리능력
문제해결능력 사고력, 문제처리능력
기술능력 기술이해능력, 기술선택능력, 기술적용능력
자기개발능력 자아인식능력, 자기관리능력, 경력개발능력
조직이해능력 국제감각, 조직체제이해능력, 경영이해능력, 업무이해능력
자기관리능력 시간관리능력, 예산관리능력, 물적자원관리능력, 인적자원관리능력
직업윤리 근로윤리, 공동체윤리
첫째, 의사소통 능력이다. 이 능력은 문서이해능력과 문서작성능력, 경청능력, 의사표현능력, 기초 외국어 능력 등 5개의 하위 요소 능력을 포함한다. 둘째, 인간관계 능력이다. 이 능력은 팀웍능력, 리더십능력, 갈등관리능력, 협상능력, 고객서비스능력 등을 포함한다. 인간관계 능력에 리더십능력이 포함하는 개념이 맞는가에 대한 의문이 생길 수 있다. 왜냐하면 리더십 능력에 인간관계능력이 포함되는 개념으로도 가르치기 때문이다. 셋째, 수리능력이다. 이 능력은 기초연산능력, 기초통계능력, 도표분석능력, 도표작성능력 등이 수리능력에 포함한다. 넷째, 정보능력이다. 컴퓨터활용능력과 정보처리능력이 포함된다. 다섯째, 문제해결능력은 사고력과 문제처리능력을 포함하고 있다. 여섯째, 기술능력은 기술이해능력, 기술선택능력, 기술적용능력을 포함한다. 일곱째, 자기개발능력은 자아인식능력, 자기관리능력, 경력개발능력을 포함한다. 여덟째, 국제감각, 조직체제이해능력, 경영이해능력, 업무이해능력 등을 포함한다. 아홉째, 자기관리능력은 시간관리능력, 예산관리능력, 물적자원관리능력, 인적자원관리능력 열째, 직업윤리는 근로윤리와 공동체윤리를 포함한다.

3.2. OECD의 역량중심 교육 발전 과정

OECD는 DeSeCo(Defining Selecting Key Competency: 이하 DeSeCo) 프로젝트를 1997년부터 진행하였다(<표 6> 참조). 이 프로젝트는 개인이 삶을 살아 가는데 있어서 성공적으로 살아 가기 위해 필요한 역량이 무엇인가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현재의 삶뿐만 아니라 변화하는 미래의 삶을 성공적으로 살아가기 위해서는 역량이 필요하며, 그 역량이 무엇인가를 규명하려고 한 것이다. OECD는 지속가능한 발전과 사회적 결속은 인구 모두의 역량에 달려 있다고 보고 앞으로의 사회에서 개인의 성공적인 삶과 사회의 발전을 위해 필요한 핵심역량을 규명한바 있다(소명희, 2017:160).
<표 6>
OECD DeSeCo 프로젝트가 제시한 핵심역량의 세 가지 범주
사회적으로 이질적 집단에서의 상호작용 능력 자율적인 행동 능력 여러 도구를 상호작용적으로 활용하는 능력
•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를 잘하는 능력
• 협동 능력
• 갈등을 관리하고 해결하는 능력
• 큰 그림 내에서 행동할 수 있는 능력
• 인생 계획 및 자신의 프로젝트를 구상하여 실행하는 능력
• 자신의 권리, 관심, 한계, 필요 등을 옹호하고 주장하는 능력
• 언어, 상징, 텍스트를 상호작용적으로 활용하는 능력
• 지식과 정보를 상호작용적으로 활용하는 능력
• (새로운) 테크놀로지를 활용하는 능력
핵심역량은 삶의 다양한 분야의 요구를 충족시키는데 수단이 될 수 있어야 하고, 개인의 성공적인 삶과 잘 기능하는 사회를 이끄는 데 공헌해야 하며, 모든 개인이 필요한 것이어야 한다(Rychen, 2003). 핵심역량은 삶의 맥락에 걸쳐 모든 사람에게 필요한 일반적 성격의 것이었다(Rychen, 2003).
우리나라는 대학 교육과정 하위단계인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을 다루는 2015개정교육과정에서 6개의 핵심역량을 교과를 통한 학교교육 전 과정을 통해 중점적으로 기르고자 하는 것으로서 제시하고 있다. 교육과정에서 핵심역량이란 학교교육과정 전반에 걸쳐서 길러져야 할 범교과적이고 일반적인 성격의 역량이라고 할 수 있다(<표 7> 참고).
<표 7>
각국의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된 핵심 역량
스코틀랜드 싱가포르 뉴질랜드 호주 한국
• 성공적인 학습자
• 자신감 있는 개인
• 책임감 있는 시민
• 효과적인 공헌자
• 자신감 있는
• 자기주도적 학습자
• 적극적인 공헌자
• 의식있는 시민
• 사고하기
• 언어, 상징, 텍스트 사용 하기
• 자기관리하기
• 다른 사람들과 관계 맺기
• 참여하고 공헌 하기
• 문해력
• 수리력
• ICT역량
• 비판적, 창의적 사고
• 윤리적 행동
• 개인적, 사회적 역량
• 문화 상호간 이해
• 자기관리역량
• 지식정보처리역량
• 창의적 사고역량
• 심미적 감성역량
• 의사소통 역량
• 공동체 역량
교육 받는 결과의 모습 활동어로 제시 역량 즉 능력 핵심어 제시

* 소경희(2017:163)을 근거로 역량의 특성을 추가하고 표를 재구조화하여 제시함

한편 소경희(2017:165)에 의하면 핵심역량이 학교교육과정 전반을 안내하는 일반적인 원리나 방향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각 교과의 교육을 세부적으로 규정할 수 없다. 교과교육이 역량 중심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과별로 고유의 역량이 규명되고 이에 따른 교육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학생들의 역량은 개별 교과의 지식과 기능의 지속적인 고양을 통해서만 발달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교과별로 규명할 수 있는 개별 교과 고유의 혹은 개별 교과에 특수한 역량을 교과 역량이라고 한다. 교과 역량은 학습자가 특정 교과를 배웠을 경우 응당 보여주어야 할 그 교과 고유의 지식, 기능, 가치 및 태도 측면에서의 수행 능력을 의미한다(<표 8> 참조). 핵심역량은 이러한 교과 역량이 제대로 발달될 때 획득 가능할 수 있으며, 이 점에서 교과 역량은 핵심역량을 위한 필수 조건이라고 할 수 있다.
<표 8>
교과 역량의 7가지 측면
내용 구분
학생들이 주어진 능력들을 사용할 때 능력
학생들이 이용 가능한 지식에 접근하거나 새로운 지식을 얻을 수 있을 때 지식
학생들이 한 영역 내에 있는 핵심 관계들을 이해할 때 이해
학생들이 적절한 행동들을 선택할 때 기능
학생들이 이들 행동들을 수행하기 위해 획득한 기능들을 적용할 때 행동
학생들이 경험을 쌓기 위한 기회로서 능력을 사용할 때 경험
학생들이 자신의 행동에 수반되는 인지를 활용하여 적절하게 행동하려고 할 때 동기

4. 학생 직업기초능력 자기 평가 결과

4.1. 수업 전후 자기평가 결과

해당 강좌 수강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 전후 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 성과인식 자기평가를 모두 실시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업전후 두 차례 자기평가를 모두 받은 학생은 인간관계의 이해 과목에 64명, 리더십 이론과 적용 과목에 33명 총 97명이다. 인간관계의 이해 2개 분반, 리더십 이론과 적용 2개 분반은 합해서 과목별로 분석한 것이다. 사이버 온라인 수업이라 분반에서는 모두 같은 내용과 과제가 주어졌다. 설문을 회수해준 학생들의 비율을 보면 총 140명 중에서 97명이 응답하여 69%의 회수율을 보였다. 전체 97명 중에서 인간관계의 이해 수강학생 64명으로 66.0%, 리더십 이론과 적용 33명으로 34%에 해당한다. 학년별로 보면 1학년 34% 2학년 31%, 3학년 21.6%, 4학년 12.4%에 해당한다(<표 9> 참조).
<표 9>
수업전후 자기평가 응답 학생의 학년별 분포
과목 / 학년 1학년 2학년 3학년 4학년
인간관계의 이해 18 19 15 12 64(66.0)
리더십 이론과 적용 15 12 6 0 33(34.0)
33(34.0) 31(32.0) 21(21.6) 12(12.4) 97(100.0)
국가직업기초능력에 대한 학생의 수업전후 자기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표 10> 참조).
<표 10>
과목별 직업기초능력 수업전후 자기평가 기초통계
기초 능력 하위요소 인간관계의 이해 리더십 이론과 적용
수업전 수업후 수업전 수업후 수업전 수업후
M SD M SD M SD M SD M SD M SD
의사소통능력 (5개) 문서이해능력 3.33 .668 3.89 .715 3.30 .847 3.79 .696 3.32 .730 3.86 .707
문서작성능력 2.92 .841 3.67 .736 3.09 .678 3.79 .820 2.98 .790 3.71 .763
경청능력 3.97 .890 4.55 .561 4.09 .914 4.39 .659 4.01 .896 4.49 .597
의사표현능력 3.64 .880 4.22 .826 3.64 .859 4.39 .659 3.64 .868 4.28 .774
기초외국어능력 2.77 1.020 3.11 1.010 2.48 1.004 2.94 .933 2.67 1.018 3.05 .983
소계 3.33 .538 3.89 .543 3.32 .585 3.86 .514 3.32 .551 3.88 .530
인간관계능력 (5개) 팀웍능력 3.59 .830 3.92 .783 3.73 1.008 3.91 .805 3.64 .892 3.92 .786
리더십능력 3.09 .849 3.63 .807 3.45 1.003 4.18 .846 3.22 .915 3.81 .858
갈등관리능력 3.50 .943 3.98 .845 3.61 .864 4.12 .781 3.54 .914 4.03 .822
협상능력 3.38 .807 3.88 .766 3.48 .795 4.06 .747 3.41 .800 3.94 .761
고객서비스능력 3.87 .917 4.06 .906 4.09 .805 4.21 .781 3.95 .882 4.11 .865
소계 3.49 .574 3.89 .628 3.67 .705 4.10 .617 3.55 .624 3.96 .629
수리능력 (4개) 기초연산능력 3.23 .938 3.42 .956 3.39 1.088 3.76 .969 3.29 .989 3.54 .969
기초통계능력 2.86 .814 3.22 .951 3.12 1.083 3.45 .905 2.95 .917 3.30 .937
도표분석능력 2.97 .776 3.30 .937 3.27 1.008 3.76 .969 3.07 .869 3.45 .968
도표작성능력 2.88 .968 3.17 .969 3.06 1.197 3.70 .984 2.94 1.049 3.35 1.000
소계 2.98 .742 3.28 .844 3.21 1.013 3.67 .823 3.06 .846 3.41 .853
정보능력(2개) 컴퓨터활용능력 2.88 1.031 3.52 .959 2.88 1.083 3.42 1.032 2.88 1.043 3.48 .980
정보처리능력 2.94 .871 3.56 .957 3.15 1.093 3.58 .830 3.01 .952 3.57 .912
소계 2.91 .839 3.54 .856 3.02 1.011 3.50 .866 2.94 .898 3.53 .855
문제해결능력 (2개) 사고력 3.20 .717 3.80 .760 3.39 .827 3.91 .723 3.27 .757 3.84 .746
문제해결력 3.38 .701 4.00 .690 3.70 .810 4.27 .674 3.48 .752 4.09 .693
소계 3.29 .641 3.90 .656 3.55 .743 4.09 .631 3.38 .684 3.96 .651
기술능력(3개) 기술이해능력 3.11 .799 3.66 .859 3.24 .867 3.94 .659 3.15 .821 3.75 .804
기술선택능력 3.02 .807 3.58 .686 3.24 .708 3.79 .650 3.09 .778 3.65 .678
기술적용능력 3.00 .836 3.55 .795 3.33 .854 3.88 .696 3.11 .852 3.66 .776
소계 3.04 .706 3.59 .686 3.27 .738 3.87 .559 3.12 .721 3.69 .656
자기개발능력 (3개) 자아인식능력 3.67 .818 4.14 .774 4.00 .750 4.33 .692 3.78 .807 4.21 .749
자기관리능력 3.42 .956 4.13 .678 3,70 1.015 4.09 .843 3.52 .980 4.11 .734
경력개발능력 3.20 .876 3.80 .800 3.55 .905 3.85 .795 3.32 .896 3.81 .795
소계 3.43 .699 4.02 .560 3.75 .745 4.09 .631 3.54 .727 4.04 .583
조직이해능력 (4개) 국제감각 2.95 .950 3.41 .868 2.88 .992 3.12 .893 2.93 .960 3.31 .882
조직체제이해능력 3.42 .869 3.78 .745 3.45 .754 3.88 .740 3.43 .828 3.81 .741
경영이해능력 2.81 .753 3.36 .932 2.94 .899 3.58 .867 2.86 .804 3.43 .912
업무이해능력 3.47 .755 3.92 .783 3.55 1.034 4.00 .707 3.49 .855 3.95 .755
소계 3.16 .601 3.62 .642 3.20 .719 3.64 .625 3.18 .640 4.04 .633
자기관리능력 (4개) 시간관리능력 3.33 .944 3.84 .840 3.19 .965 4.00 .935 3.28 .948 3.90 .872
예산관리능력 3.39 1.002 3.72 .967 3.66 .971 3.97 .770 3.48 .995 3.80 .909
물적자원관리능력 3.17 .865 3.53 .908 3.42 .867 3.82 .727 3.26 .869 3.63 .858
인적자원관리능력 3.17 .952 3.63 .972 3.53 .950 3.88 .893 3.29 .962 3.72 .948
소계 3.27 .701 3.67 .760 3.44 .712 3.92 .649 3.32 .706 3.76 .730
직업윤리(2개) 근로윤리 3.78 .899 4.06 .871 4.03 .770 4.42 .561 3.87 .862 4.19 .795
공동체윤리 3.94 .889 4.20 .858 4.09 .805 4.55 .506 3.99 .860 4.32 .771
소계 3.86 .842 4.13 .778 4.06 .726 4.48 .459 3.93 .806 4.25 .704
3.27 .396 3.74 .482 3.42 .567 3.91 .563 3.32 .463 3.81 .483
첫째, 인간관계의 이해 과목에서 먼저 직업기초능력은 수업 전에 3.0이하로 나타난 것이 수리능력(2.98), 정보능력(2.91)이었으며 나머지는 3.0이상 4.0이하였다. 수업 후 자기평가에는 3.0이하는 없고, 자기개발능력은 4.02, 직업윤리 4.13으로 나타났으며, 나머지는 모두 3.0이상 4.0미만 수준이었다. 다음으로 세부적으로 하위요소를 살펴보면 수업 전에 3.0이하로 나타난 역량은 문서작성능력(2.92), 기초외국어능력(2.77), 기초통계능력(2.86), 도표분석능력(2.97), 도표작성능력(2.88), 컴퓨터 활용 능력(2.88), 정보처리능력(2.94) 등 총 7개 하위요소이다. 4.0이상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 후 3.0이하는 전혀 없었고 4.0이상은 경청능력(4.55), 의사표현능력(4.22), 공동체윤리(4.20), 자아인식능력(4.14), 자기관리능력(4.13), 근로윤리(4.06), 고객서비스능력(4.06), 문제해결능력(4.00) 등 8개로 나타났다. 전체 수업전 평균은 3.27이고 전체 수업후 평균은 3.74로 나타나 기초소양능력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리더십 이론과 적용 과목에서는 먼저 10개 기초소양능력에서 수업 전 모두 3.0이상이며 4.0이상은 직업윤리(4.06)로 한 개로 나타났다. 수업 후에는 4.0이상이 인간관계 능력(4.10), 문제해결능력(4.09), 자기개발능력(4.09), 직업윤리(4.48) 등 4개의 기초소양능력이다. 34개 하위요소능력에서는 수업 전 3.0이하가 기초외국어능력(2.48), 국제감각(2.88), 컴퓨터활용능력(2.88), 경영이해능력(2.94)로 4개이며, 4.0이상으로는 자아인식능력(4.0), 근로윤리(4.03), 경청능력(4.09), 공동체윤리(4.09), 고객서비스능력(4.09) 등 5개로 나타났으며 나머지 하위요소능력은 3.0과 4.0사이로 평가되었다. 수업 후 하위요소능력을 보면 3.0이하는 기초외국어능력(2.94) 하나이며, 4.0이상은 공동체윤리(4.55), 근로윤리(4.42), 경청능력(4.39), 의사표현능력(4.39), 자아인식능력(4,33), 문제해결능력(4.27), 고객서비스능력(4.21), 리더십능력(4.18), 갈등관리능력(4.12), 자기관리능력(4.09), 협상능력(4.06), 업무이해능력(4.00), 시간관리능력(4.00) 등 13개로 나타났다. 전체 수업전 평균은 3.42이고 전체 수업후 평균은 3.91로 나타나 기초소양능력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두 교과목 종합 결과로 살펴보면 먼저, 10개의 기초소양능력에 대해서 수업전 평가결과는 정보능력이 2.94로 3.0이하로 나타났고 4.0이상은 없으며 나머지 9개 능력 모두 3.0이상과 4.0미만 사이로 평가되었다. 수업 후 평가결과는 3.0이하는 없으며 4.0이상으로 나타난 것이 자기개발능력 4.04, 조직이해능력 4.04, 직업윤리 4.25로 나타났다. 나머지 7개 능력은 3.0과 4.0사이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하위요소별로 보면 수업 전 4.0이상은 경청능력 (4.01) 1개의 하위요소가 있고 3.0 이하로 나온 하위역량은 문서작성능력(2.98), 기초외국어능력(2.67), 기초통계영역(2.95), 도표작성능력(2.94), 컴퓨터 활용능력(2.88), 국제감각능력(2.93)등 6개로 나타났다. 수업후 자기평가에서는 평균 3.0이하로 자기평가한 역량은 없으며 4.0이상으로 나타난 역량은 직업윤리(4.25), 조직이해능력(4.04), 자기개발능력(4.04)로 나타났다. 하위요소역량을 보면 3.0이하는 전혀 없었다. 4.0이상의 요소능력은 경청(4.49), 공동체 윤리(4.32), 의사표현(4.28), 자아인식(4.21), 근로윤리(4.11), 자기관리(4.11), 고객서비스(4.11), 문제해결력(4.09), 갈등관리(4.03) 등 총 9개로 나타났다.
수업전후 자기평가는 고객서비스 능력은 .05수준, 공동체윤리 능력은 .01수준, 나머지 32개 하위요소와 10개 국가직무소양능력 모두 .001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다(<표 11> 참조).
<표 11>
직무기초소양능력 과목종합 수업전후 성과인식 차이분석
기초 능력 하위요소 두 과목 종합 t값(자유도:96)
수업전 수업후
M SD M SD
의사소통능력 (5개) 문서이해능력 3.32 .730 3.86 .707 -7.307***
문서작성능력 2.98 .790 3.71 .763 -9.193***
경청능력 4.01 .896 4.49 .597 -6.236***
의사표현능력 3.64 .868 4.28 .774 -7.688***
기초외국어능력 2.67 1.018 3.05 .983 -5.494***
소계 3.32 .551 3.88 .530 -12.383***
인간관계능력 (5개) 팀웍능력 3.64 .892 3.92 .786 -3.270**
리더십능력 3.22 .915 3.81 .858 -5.849***
갈등관리능력 3.54 .914 4.03 .822 -5.203***
협상능력 3.41 .800 3.94 .761 -5.738***
고객서비스능력 3.95 .882 4.11 .865 -2.179*
소계 3.55 .624 3.96 .629 -6.984***
수리능력 (4개) 기초연산능력 3.29 .989 3.54 .969 -3.681***
기초통계능력 2.95 .917 3.30 .937 -4.780***
도표분석능력 3.07 .869 3.45 .968 -4.968**
도표작성능력 2.94 1.049 3.35 1.000 -4.580***
소계 3.06 .846 3.41 .853 -6.036***
정보능력(2개) 컴퓨터활용능력 2.88 1.043 3.48 .980 -7.165***
정보처리능력 3.01 .952 3.57 .912 -7.183***
소계 2.94 .898 3.53 .855 -8.742***
문제해결능력 (2개) 사고력 3.27 .757 3.84 .746 -6.745***
문제해결력 3.48 .752 4.09 .693 -8.375***
소계 3.38 .684 3.96 .651 -8.855***
기술능력(3개) 기술이해능력 3.15 .821 3.75 .804 -7.758***
기술선택능력 3.09 .778 3.65 .678 -6.424***
기술적용능력 3.11 .852 3.66 .776 -6.694***
소계 3.12 .721 3.69 .656 -8.576***
자기개발능력 (3개) 자아인식능력 3.78 .807 4.21 .749 -5.941***
자기관리능력 3.52 .980 4.11 .734 -6.930***
경력개발능력 3.32 .896 3.81 .795 -5.957***
소계 3.54 .727 4.04 .583 -8.555***
조직이해능력 (4개) 국제감각 2.93 .960 3.31 .882 -4.501***
조직체제이해능력 3.43 .828 3.81 .741 -4.642***
경영이해능력 2.86 .804 3.43 .912 -6.674***
업무이해능력 3.49 .855 3.95 .755 -5.386***
소계 3.18 .640 4.04 .633 -8.037***
자기관리능력 (4개) 시간관리능력 3.28 .948 3.90 .872 -5.161***
예산관리능력 3.48 .995 3.80 .909 -3.366**
물적자원관리능력 3.26 .869 3.63 .858 -3.940***
인적자원관리능력 3.29 .962 3.72 .948 -4.363***
소계 3.32 .706 3.76 .730 -5.906***
직업윤리(2개) 근로윤리 3.87 .862 4.19 .795 -3.883***
공동체윤리 3.99 .860 4.32 .771 -3.572**
소계 3.93 .806 4.25 .704 -4.096***
3.32 .463 3.81 .483

4.2. 비대면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

해당 강좌 수업이 끝나고 기말시험 탑재 시 학생들에게 설문지를 함께 송부해 주기를 요청하였다. 선택형 문항에 대해 학생들이 응답한 의견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표 12> 참조).
<표 12>
비대면 수업 효과성에 대한 의견
문항 인간관계의 이해 리더십 이론과 적용
N % N % N %
비대면 수업이 대면수업보다 효과적이라고 생각하는가 효과적이다 19 29.6 11 33.3 30 31.0
비효과적이다 45 70.3 22 66.6 67 69.0
64 100.0 33 100.0 97 100.0
비대면 수업이 대면수업보다 가장 효과가 있다고 생각되는 것 반복 청취 가능 40 63.4 25 75.7 65 67.7
강의 내용의 명확한 전달 2 3.1 1 3.0 3 3.1
재택 청취 4 6.3 2 6.0 6 6.2
시간의 효율적 활용 17 26.9 5 15.1 22 22.9
63 100.0 33 100.0 96 100.0
비대면 수업 수강에 가장 힘들었던 것 주별 과제 제출 25 39.0 18 54.5 43 44.3
교수-학생 관계 형성 14 21.8 6 18.1 20 20.6
수강학생들 간의 소통 부재 10 15.6 7 21.2 17 17.5
질의 응답 기회 부족 9 14.0 2 6.0 11 11.4
사이버 시스템 접속 곤란 6 9.3 - - 6 6.1
64 100.0 33 100.0 97 100.0
비대면 수업의 적당한 비율 25% 미만 14 23.3 10 32.2 24 26.3
25% 이상 ~ 50% 미만 28 46.6 17 54.8 45 49.4
75% 이상 10 16.6 3 9.6 13 14.2
기타 8 13.3 1 3.2 9 9.8
60 100.0 31 100.0 91 100.0
첫째, 비대면 수업 효과성에 대한 의견을 살펴보면 효과적이라고 생각하는 학생 34.0% 보다 비효과적이라고 생각하는 학생 69.0%로 많았다. 완전비대면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적응도가 매우 낮은 경향을 보이고 있다. 또한 비상사태로 진행된 1학기 수업에 있어서 교수들의 준비도가 낮은 이유도 있을 것이다.
둘째 질문인 비대면 수업이 대면수업보다 가장 효과가 있다고 생각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반복청취 가능이 67.7%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시간의 효율적 활용이 22.9%, 그리고 재택 청취가 6.2%, 마지막으로 강의 내용의 명확한 전달이 3.2%로 가장 낮았다.
셋째, 비대면 수업 수강에 가장 힘들었던 부분에 대해서는 주별 과제 제출이 44.3%, 교수학생 관계 형성이 22.6%, 수강학생들 간의 소통 부재가 17.5%, 질의 응답 기회 부족이 11.4%, 사이버 시스템 접속 곤란이 6.1%로 가장 낮게 응답하였다.
넷째, 앞으로의 비대면 수업에 대한 비중에 대해 25% ~ 50% 미만이 49.4%, 25% 미만이 26.3%, 75% 이상이 기타 9.8%로 나타났다. 비대면 수업 50% 미만을 희망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이 사이버 수업을 위한 실시간 수업체제가 갖추어져 있어 않아 교양과목을 모두 동영상 비대면 수업으로 진행한 것뿐만아니라, 시스템 미비로 출석 확인을 수업에서 제시한 과제를 제출하여 출석을 인정하는 것으로 통일하여 1학기 동안 학생들의 과제 부담이 큰 것에 대한 의견 표출이 많았다.
2학기는 1학기 수업 사례보다 개선된 시스템으로 동영상 강의를 들으면 자동 출석 전환이 되어 출석 문제를 해결하고, 대면 수업 강화를 위한 대면 시험과 실시간 사이버 수업을 통해 실시간 대화가 가능한 형태로 보완되었다.
다음으로 전면적인 비대면 동영상 수업에 따른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개방형 의견조사 사항인 전면적인 비대면 동영상 수업의 장점과 단점을 수업내용과 수업방법 측면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인간관계 이해 수업에서 수업 내용에 대한 좋은 점으로 학생이 제시한 77개의 의견을 종합 분석해 보니 학습 성장 측면으로 인간관계의 방안을 알게 된 점(24명), 자기 성찰 가능 및 활용 능력(14명), 갈등관리(4명), 수업 방법적인 측면에서 반복 청취가 가능(9명), 핵심 요점 명확하고 이해하기 쉬움(4명), 과제 부담 적음(3명)의 의견이 있었으며 기타 장소 구애 받지 않음(1명), 목소리 좋음(1명), ppt 좋음(1명) 등의 반응을 보였다.
한편 학생들이 제시한 보완해야 할 점으로는 39개 의견을 종합하면 학습 내용 측면에서 인간관계 문제해결 능력을 더 강화(2명), 실습 측면 추가(2명), 갈등해결 방안 더 확대(2명), 이론에 대한 예시 더 추가(2명), 자신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 더 추구(2명)이 있었다. 수업 방법 측면에서는 비대면으로 인한 소통의 어려움(10), 영상화질과 음질 보완(4명), 과제 안내 및 피드백(4명), 즉각적 출석처리(2명), 영상자료 추가(1명), 교수 학생 유대관계(1명), 과제 제출 시간제한(1명), 질문 못한 것(1명) 등이었다.
다음으로 리더십 이론과 적용 교과에서 좋았던 점 총 21개의 의견을 종합해 보니 학습 내용 면에서 부족한 리더십 확인하여 자기성찰(8명), 리더십 발전(3명), 다양한 리더십 이론(3명) 등이 있었고, 수업 방법적인 측면에서는 주별 과제(3명), 이해하기 쉬운 가르침(2명), 반복 학습(1명), 재택 청취(1명)이 있었다.
한편 보완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총 8개의 의견을 종합하면 수업 내용 측면에서 리더십 적용 사례 추가(2명)를 제안하였고, 수업방법 측면에서 조별 활동을 희망(3명), 동영상과 실시간 수업을 추가(3명) 등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이 학생들은 수업에 대한 좋은 점과 보완해야 할 점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2020년 1학기 갑작스런 전면 비대면 동영상 수업에서의 의견 수렴이라 전체 교수들의 비대면 수업에 대한 준비가 안 된 상태에서 바로 도입된 수업이었다. 2020년 첫 학기는 매차시를 PPT를 작성해야 하는 과정에서 PPT 만들고 녹음 영상하여 탑재하고 과제를 메일로 받아 출석체크 하였다. 대부분의 시간이 수업 준비에 쓰였으며, 교수들도 그 체제에 적응하느라 학생들과의 소통 및 과제 피드백의 여유시간 확보가 어려웠다. 그러나 1차 전면 비대면 동영상 수업이라는 경험을 통해 학생 의견 수렴을 근거로 하여 2학기 수업부터는 좀 더 여유를 가지고 수업 내용과 수업 방법의 질을 높여 나가는 고민을 하는 계기가 되었다.

5. 논의 및 발전 방안

5.1. 논의

2020년 3월부터 코로나 사태라는 급작스런 위기 상황에서 대학 수업이 비대면 수업으로 진행되었다. 수업을 진행한 교수신분의 연구자로서 PPT근거 동영상을 만들어 올리면서 대학 차원으로 전체 온라인 수업체제 형태로 2020년 1학기 수업을 진행하였다. 비대면 수업이지만 평소하는 대로 학생들의 국가직업기초능력 및 하위요소능력에 대한 수업전후 학생들의 자기평가 결과를 통해 성과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 등을 기초로 다음과 같은 논의와 발전 방안을 제안하였다.

5.1.1. 국가직업기초능력 중심의 역량중심 교양교육의 강화 및 성과 확인

대학교육이 역량중심 교육으로 패러다임이 변화하면서 직업기초능력 증진이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연구자가 수업마다 학생들에게 제시하고 있는 10개의 직업기초능력과 34개의 하위요소 능력들을 소개하면서 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능력을 증진시키고 있다. 먼저 학생들에게 교양교육을 통해 길러야할 역량을 인식하게 하고 교과마다 수업전후에 이를 진단하게 함으로써 4년간 학생들이 교양교과의 중요함과 목표를 인식하고 자기관리하게 하였다. 학생들이 4년간 길러야 할 교양교과의 역량을 자기주도적으로 관리하면서 증진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그 결과 수업전후 학생들의 유의한 성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후의 교양교과 선택 시에도 상대적으로 부족한 역량에 대한 과목선택을 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5.1.2. 위기 상황에서의 비대면 수업 첫 적용으로 소통 부족으로 소통 활성화 필요

전면 비대면 수업이라는 위기를 기회로 수업 혁신을 이루어야 한다는 연구자의 생각에 그동안 시도해 보지 못한 온라인 비대면 수업에서 지식 전달과 더불어 배운 이론을 적용해 보는 성찰할 수 있는 기회가 된 것 같아 긍정적인 면이 있었다.
그러나 가장 큰 문제인 학생 간 소통과 학생 간 소통 부족을 비대면 수업을 통해 어떻게 증진시켜 줄 것인가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1대1 소통, 1대다 소통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과제가 남아 있다. 2학기 때는 사이버캠퍼스, 밴드 및 페이스북 등 각종 SNS를 통해서 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강화시켰다. 내용적으로는 리더십 과목에서 지도성 사례가 더 제공될 필요가 있다는 학생들의 의견이 있었고 인간관계 과목에서도 어떠한 과목보다도 학생들 간 인간관계 실천의 장이 닫힌 탓으로 필드가 없어졌다는 단점을 토로하였다.

5.1.3. 온라인수업과 대면수업 장단점 분석을 통한 온-오프라인 브렌디드 수업 설계

학생들의 비대면 수업에 대한 효과에 대해 대면수업이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69%, 비대면수업이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31%로 나타났다. 외적 환경변화로 인해 도입된 동영상 온라인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긍정적 반응 중에서 34%의 학생들이 효과적이라고 응답한 배경에는 반복 청취학습에 대한 효과가 있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수업 시간에 핵심을 놓치는 경우나 지각 혹은 결석의 경우 학습에 대한 접근이 어렵다. 그러나 이번 온라인 동영상 수업에서는 동영상을 반복적으로 청취하면서 학습을 더욱 명확하게 이해하는 계기가 되었다는 학생들의 의견도 있었다. 수업 청취시간의 효율적 활용으로 인한 시간의 효율적 활용 및 재택 청취 등에 대한 긍정적 의견도 있었다. 그러나 비대면 수업으로 가장 힘들었던 점으로 교수-학생간 관계 형성, 수강학생들 간의 소통 부재, 그리고 질의응답 기회 부족, 사이버 접속 곤란 등에 대한 의견 중에서 1학기 출석을 학교 차원에서 과제를 제출하고 제출한 학생에 대한 결석처리를 하지 않는 것으로 하여 매주 수업에 과제를 내는 현상이 있었다. 이는 학기 후 학생들의 과대 과제로 인한 의견이 있어 2학기부터 온라인 자동 출석 시스템 도입으로 이 문제가 해결되는 특수 사항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두 수업 방식의 장점들을 잘 조화시키면서 수업을 진행하면 더욱 효과적인 수업이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5.1.4. 온라인 수업에서의 시스템 고도화

갑작스런 전면 온라인 수업 도입에 따라 준비가 되지 않은 대학 내 온라인 수업 시스템 정비가 필요하였다. 사이버 시스템의 용량 부족 현상이 있었고 메일로 받아 일일이 과제를 검토하는 것이나 메일이 도착하지 않는 사례 등으로 과제 및 평가에 약간의 혼란이 있었다. 이는 다음 학기 바로 보완조치가 이루어져 온라인 수업에 지장을 없애고 시스템을 전격 발전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이번 연구 대상인 2020년 1학기에는 다소 불편한 시스템으로 수업을 이끌어갈 수밖에 없는 실정이어서 학생들의 시스템에 대한 의견이 있기도 하였다. 앞으로 이 시스템은 고도의 수업 시스템으로이 되도록 다양한 기능을 포함한 시스템으로 더욱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5.1.5. 학생 의견 수렴을 통한 지속적 개선 노력

2020년 1학기 수업에 대해 학생 대상 의견 수렴은 온라인 수업의 개선점으로 매우 적절한 조치를 찾을 수 있었다. 온라인 수업의 비율이나 시스템 발전, 소통의 문제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해 학생들의 의견은 바로 반영해야 할 중요한 사항들이다. 또한 교수들의 자체 평가를 통한 개선점 도출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었다.
특히 이번 학기 수업을 통한 2학기 비대면 수업은 실제적으로 대학 차원에서 실시간 대면 수업 비중 강화(5주/15주), 교수의 얼굴이 보이는 동영상 제작, 대학교 ppt 제작 양식 체계화, 오리엔테이션 동영상 1주차 수업 별도 사전 탑재로 학생 강좌 선택 전 탐색 기회 제공, 1주차 부터 실질적 수업 시작 등 다섯 가지 면에서 발전적으로 개선되었다. 교수 개인 차원에서는 학교 차원의 개선 방향에 따라 개선하면서 1학기 학생들의 개인적 수업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에 나온 것을 바탕으로 온라인 조별 프로젝트 부여를 통해 학생 간 소통 활성화, 두 차례 학생 프로젝트는 동영상으로 발표하는 유튜브로 제출하기, 교수의 과제 동영상 및 유튜브 개발을 통한 학생 지도 활용, 과목별 밴드 개설을 통한 의사소통 활성화 등을 더욱 적극적으로 실천하는 계기가 되었다.

5.2. 발전 방안

5.2.1. 학생 측면

이번 전면 비대면 수업 상황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은 국가직업기초능력을 4년간의 교양과목을 통해 성장시킬 각자의 계획을 가지고 교양과목을 선정 학습하여 자신의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학생 자기주도 관리가 필요하다.
나아가 끊임없는 자기진단과 교과 학습에 따라 발전 정도를 체크하고 부족한 부분은 4년동안 제공되는 교과를 잘 선정하여 발전시키고 대학에 교과가 없을 경우 타대학 연계 학습과 학원 학습도 계획해 볼 필요가 있다.

5.2.2. 교수 측면

교수는 무엇보다 교수자의 수업혁신 지원이 가장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실질적으로 수업에 필요한 연수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고 이들 강좌는 매우 유용한 것이었다. 주기적으로 비대면 수업에 대한 연수가 이루어지기를 희망한다. 둘째, 교수 학생 간의 소통 및 관계 강화 방안이다. 교수 학생 간 의사소통 활성화를 위해서는 온라인 실시간 수업을 보완하여야 한다. 부수적인 소통 채널로 사이버 캠퍼스에 학생 소통 채널이 있지만 일대다의 채널이 상호소통적 채널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셋째, 이론과 더불어 활동 역량 프로그램 역할 강화 시간 운영의 효율화가 필요하다. 온라인 수업에서는 학생들의 역량 강화를 위해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보완해야 한다. 학생들이 활동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학생들이 실현하고 효과를 볼 수 있는 수업의 재구조화가 필요하다. 넷째, 온오프라인 브렌디드 수업 정교화가 필요하다. 코로나로 대면 수업이 이루어지지 못했지만 온라인 수업이 이루어지더라도 그 수업이 온라인 오프라인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수업 정교화 방안이 필요하다.

5.2.3. 대학 측면

우선 대학단위로 국가의 직업기초능력을 지도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대학에서 교양교육이 필수로 운영되고 있지만 국가 수준에서 개발하여 제공한 국가직무능력표준의 직업기초능력이 체계적으로 지도되고 함양, 관리할 수 있도록 시스템이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사이버 시스템인 LMS 기능의 극대화를 할 필요가 있다. 그동안 대면수업의 보조적 기능이었으나 이제는 온라인 동영상 수업에서는 이 시스템이 중심에 있게 되므로 모든 것을 시스템 내에서 처리하게 된다. 따라서 다양한 기능을 포함하여 효율적인 처리가 되도록 해야 한다. 셋째, 지원 조교의 확대가 필요하다. 온라인 수업은 교수의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지므로 모든 것을 교수 자신이 직접 하기에는 연구, 봉사, 산학협력의 고른 역할을 조화롭게 할 여유가 없다. 따라서 수업 지원에 필요한 조교의 확대가 더욱 필요한 현실이다.

5.2.4. 국가 측면

국가 수준에서는 첫째, 국가 수준에서 국가직무능력표준을 개발하여 배포하였듯이 후속적으로 모든 교양교육 강좌에서 관련되는 NCS의 직업기초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도록 교과지도에 활용할 수 있는 매뉴얼과 교과 지도 사례집을 세부적으로 개발하여 제공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국가 수준에서 비대면 온라인 대학 교육 혁신을 위한 재정지원을 확대하여야 한다. 대학마다 사이버캠퍼스 시스템 성능을 적절한 수준으로 높이고 수업 역량 증진에 필요한 인력과 연수가 이루어지도록 지원하여야한다. 이는 단기적으로는 코로나 사태에 대비한 비대면 수업에 대한 질을 높이는 효과뿐만 아니라 중장기적으로는 온오프라인 브렌디드 수업 등 대학 교육 혁신을 통한 경쟁력 확보의 기초 조건이 될 것이다.

6. 결론 및 제언

이 연구는 코로나 사태로 인한 긴급 전면 비대면 수업의 학생 대상 국가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수업전후 자기평가 결과를 통해 성과를 분석하고 개선 사항을 찾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내용은 직업기초능력 및 역량에 대한 이론적 분석, 수업전후 직업기초능력 자기평가 및 학생 의견 조사 결과 분석, 학생, 교수, 대학, 국가에서의 발전 및 지원 방안 등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은 연구자가 대학에서 수업을 실시하고 있는 4개 강좌 수강 학생을 전집으로 한 사례 연구이다.
직업기초능력은 대학생들이 교양과목을 통해 충분히 기를 수 있는 역량이다. 나아가 전공과목에서 길러야 할 능력을 전문 분야의 직무수행능력이라고 한다. 이번 연구에 활용한 것은 연구자인 교수자가 교양교육대학 소속이므로 교양과목을 통해 직업기초능력을 중심으로 수업 전후 진단을 통해 학생 스스로 진단하여 자기 관리할 수 있도록 유도한 것이다. 나아가 추가적으로 학생들의 비대면 수업에 대한 의견을 분석하였다.
수업 전후 직업기초능력 성과 분석 결과 학생들은 10개의 직업기초능력과 34개의 하위요소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성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교과별 특성은 찾아 볼 수 없으며, 학년별 차이도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언택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으로 가장 유용한 점은 반복 청취와 시간의 자율적 활용이었다. 가장 문제점으로 지적한 것은 학생과 교수의 소통의 문제를 삼았다. 이 강좌에 대한 좋은 점으로 수업 내용과 과제를 통한 적용에 대한 의견이 있었고, 보완할 점으로는 역시 소통의 강화를 요청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먼저 국가 직업기초능력 증진을 위해 제안한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4년간 국가직업기초능력을 진단하고 교양과목 선택, 관리, 성과 파악 등을 통해 자기주도적으로 역량을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교수 측면에서 교양과목에서 국가직업기초능력을 증진할 수 있도록 15주간의 교육과정에서 설계, 운영하고, 성과도 파악하는 사례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대학 측에서는 10개의 국가직업기초능력과 34개의 하위능력들 중 특히 미흡한 역량에 대해서는 교과목을 개설하고, 이를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다. 국가에서는 국가직업기초능력 개발에 대한 교양교육 적용 매뉴얼을 구체적으로 개발 보급하고,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직업기초능력을 직원 채용에 활용하고 있지만 이를 적용하는 관련 기관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언택시대 효과적인 비대면 대학교양교육을 위해 다음과 같이 추가적으로 제안하였다. 학생들은 휴학이라는 잠시 휴식보다는 언택이라는 위기를 기회로 언택시대에 필요한 기술을 배울 수 있는 기회로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비대면 수업 참여 방법, 비대면 영상 발표능력, 동영상 제작 능력, 컴퓨터 활용 능력 등 이 기술들은 국가직업기초능력에 포함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언택시대, 4차 산업혁명시대에 필수적인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이라고 할 수 있다. 교수들은 비대면 수업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법을 익히고, 동영상 제작 및 수업 프리젠테이션, 다양한 소통 방법 등을 통해 학생과 교수의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해야 할 것이다. 대학은 비대면 수업에서 가장 중요한 시스템을 고도의 기능을 갖춘 시스템으로 업그레이드해야 할 것이며, 과도한 수업 준비에 따른 조교 지원도 활성화 되어야 할 것이다. 국가에서는 대학교육의 사이버시스템의 기능과 용량을 확대할 수 있도록 재정 지원을 대폭 확대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찬종(2012). 포트폴리오 교수 - 학습 및 평가 - 과학교과를 중심으로, 교육과학사.

김혜영, 이숙정(2012). “역량교육모델의 진단과 방향”, 교양교육연구 6(4), 한국교양교육학회, 11-40.

나승일(2015). 대학에서의 효과적인 교수법 가이드,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동국미디어센터(2010). 세계의 대학-그들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나”, 동국대학교출판부.

박일우(2020). “교양기초교육의 성찰과 새로운 방향”, 교양기초교육연구 1(1), 21-50.

박혜정(2018). “핵심역량 기반 대학 교양교육과정 설계 모형 연구”, 교양교육연구 12(2), 한국교양교육학회, 65-87.

백승수(2019). “4차 산업 혁명과 교양교육의 미래”. 교양교육연구 13(3), 교양교육학회, 11-29.

변기용, 김병찬, 배상훈, 이석열, 변수연, 전재은, 이미라(2017). 잘 가르치는 대학의 특징과 성공요인2, 학지사.

소경희(2017). 교육과정의 이해, 서울: 교육과학사.

안종배(2017). “4차 산업혁명에서의 교육패러다임 변화”, 미디어와 교육 7(1), 21-34.
pmid
이수현(2020). “전문대학 역량기반 교양교육과정 개발 연구, D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4(2), 한국교양교육학회, 233-246.

이형관, 채제분(2008). 최고의 교수, EBS 최고의 교수 제작팀 예담.

정선호(2016).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P대학 학생의 인식 분석”, 교양교육연구 10(4), 한국교양교육학회, 283-310.

정은상(2021). “뉴 노멀 시대에 교양교육의 새로운 연구과제와 방향에 대한 모색”. 지역산업연구 44(1), 263-279.

조용개, 심미자, 이은화, 이재경, 손연아, 박선희(2009). 성공적인 수업을 위한 교수전략, 학지사.

조한무(2001). 수행평가를 위한 포트폴리오 평가, 교육과학사.

조현국(2017).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대학교육의 변화와 교양교육의 과제”. 교양교육연구 11(2), 교양교육학회, 53-89.

한국교육개발원 역(2012). 21세기 핵심역량-이 시대가 요구하는 핵심 스킬, 학지사.

NCS국가직무능력표준(2020. 2. 20). http://www.ncs.go.kr/ncs/page.do?sk=P1A4_PG09_005 (2020.2.20. 검색)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203-827. Chung-Ang University
84, Heukseok-ro, Dongjak-gu, Seoul, Republic of Korea, 06974
Tel: +82-2-820-5949    E-mail: hangang331@cau.ac.kr                

Copyright © 2022 by The Korean Association of General Education.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