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리(2014). “학습동아리 활동에서 나타난 대학생들의 학습과정 분석”, 교양교육연구 8(6), 61-110.
강혜진, 김정섭(2012). “학습동아리 활동이 대학생들의 공동체 의식과 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효과”, 평생교육연구 18(1), 1-22.
고영미(2017). “자기성찰과 공유를 통해 함께 성장해가는 학습공동체 활성화 방안 연구”, 구성주의유아교육연구 4(1), 67-84.
김누리, 장선영, 송청락(2013). “학습공동체 활동 유형에 따른 대학생의 자기결정성 및 학습만족도의 차이”, 열린교육연구 21(1), 23-48.
김다원(2015). “지역사회 개선활동을 통해서 본 학습공동체 참여에 대한 질적 연구: 대학생을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9(1), 57-90.
김은영, 김소정(2016). “대학생 학습공동체 참여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교육학연구 22(4), 87-113.
김은영, 김아람(2013). “대학생 학습공동체 활동의 교육적 의미 탐색: 스터디그룹 지속참여자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5), 91-119.
김인수(2010). “학습공동체 운영사례 연구: K대학교 동료 튜터링을 중심으로”, Andragogy Today 13(3), 1-32.
김인영(2020). “역량기반 교양교육 설계 요건과 적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교양교육연구 14(6), 한국교양교육학회, 237-251.
나승일, 김종우, 이광용, 마상진(2002). “전문대학의 학습공동체 구축 방안”, 직업교육연구 21(2), 19-44.
박경희, 한상훈(2016). “성인학습자의 학습공동체 지속요인과 활성요인 분석”,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6(10), 155-163.
박상옥(2009). “지역사회 실천조직으로서 학습동아리에서의 학습과정”, 평생교육학연구 15(1), 225-259.
박성희(2015). “대학생 융복합능력 함양을 위한 학습공동체 효과성 분석”, 디지털융복합연구 13(9), 29-37.
백승수(2020). “핵심역량기반 교양교육의 당면 과제와 개선 방향”, 교양교육연구 14(3), 11-23.
서금택(2008). “튜터링 프로그램이 튜터와 튜티의 이해력과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사고개발 4(1), 49-62.
송윤희(2011). “대학 학습동아리 활용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 집단효능감, 지식공유 및 만족도와의 관계”, 교육과학연구 42(3), 179-209.
염민호, 박선희(2008). “대학 학습공동체의 이해와 활성화 방안: 전남대학교 ‘아하! 학습공동체’ 사례”, 교육학연구 46(5), 127-156.
염민호, 박선희, 오종욱(2012). “대학 학습공동체 효과 분석: 전남대학교 사례”, 교육행정학연구 30(2), 1-26.
오혁진(2005). “학습공동체의 다원적 성격과 구현 원리에 관한 연구”, 평생교육학연구 11(1), 23-41.
유경아(2016). “동료 튜터링 운영 사례 연구: 교양영어 학습 성취와 만족도 중심”, 교양교육연구 10(2), 93-126.
유지원, 이미나(2018). “대학생의 학습공동체 활동에서 팀 성취 목표지향성과 팀의 심리적 안전이 팀 창의성 및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사고개발 14(3), 1-24..
이병준, 장소은(2013). “학습공동체: 사회적 공간 및 친교 담론적 접근: Georg Simmel의 이론을 중심으로”, 교육사상연구 27(2), 123-137.
이석재, 장유경, 이헌남, 박광염(2003). 생애능력 측정도구 개발 연구: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중심으로,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이지혜(1994). “학습공동체를 통한 학습권의 실현”, 사회교육연구 19(1), 248-259.
이홍재(2013). “계획된 행동이론을 적용한 학습공동체(Cop) 참여와 성과”,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16(1), 35-57.
이홍재, 강재상(2005). “효과적인 지식관리를 위한 학습공동체 운영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보 9(4), 1-23.
장선영, 김누리(2013). “공학전공 학생들의 학습공동체 활동에서 문제해결능력, 학습전략,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방법연구 25(3), 581-602.
정민승(1997). “‘학습공동체’ 개념 구안을 위한 시론”, 평생교육연구 3(1), 75-90.
정연재(2020). “인공지능의 시대, 프로페셔널리즘의 위기와 교양교육의 방향”, 교양교육연구 14(1), 59-77.
정현자, 표창우(2011). “튜터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D대학 대학생들의 자기조절 학습능력 수준에 대한 조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2(1), 170-180.
조영재, 박수홍(2017). “대학에서 SNS를 활용한 학습공동체 사례연구: 동료 튜터링의 학습자 경험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24), 157-184.
조진숙, 전영미(2019). “대학생의 학습참여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1), 524-534.
주영주, 조은아(2006). “교사 학습공동체 내 지식창출 활동의 성격 및 촉진요인에 대한 사례 연구”, 교과교육학연구 10(1), 37-54.
최근정, 최선주(2019). “역설적 공간’으로서의 학습공동체: 후기 구조주의 공간 관점에서 학습공동체 재사유하기”, 교육문화연구 25(3), 5-28.
최금주(2006). “공동체 의식의 의미-화이트헤드의 유기체적 철학을 중심으로”, 한국동서정신과학회지 9(1), 17-26.
최성호, 정정훈, 정상원(2016). “질적 내용분석의 개념과 절차”, 질적탐구 2(1), 127-155.
최화숙(2016). “핵심역량에 근거한 대학 교양교육과정 개발”,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6(1), 243-250.
홍영수(2004). 청소년의 자살행동에 대한 생활스트레스와 심리 사회적 자원의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Branford, J. D., & Stein, B. S. (1984). The IDEAL problem solver:A guide for improving thinking, learning and creativity, New York, NY: W. H. Freeman.
Clark, M. C., Nguyen, H. T., Bray, C., & Levine, R. E. (2008). “Team-based learning in an undergraduate nursing cours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7(3), 111-117.
Elo, S., & Kyngas, H. (2008).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proces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2(1), 107-115.
Gabelnick, F., MacGregor, J., Matthews, R. S., & Smith, B. L. (1990). “Learning communities:Creating connections among students, faculty, and disciplines”, In New Direc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41. San Francisco: Jossey-Bass.
Holsti, O. R. (1968). Content Analysis in Lindzey, Edited by Aronson G. E,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2. Reading, MA: Addison-Wesley.
Lauri, S., & Kyngäs, H. (2005). Developing nursing theories (Finnish:Hoitotieteen Teorian Kehittäminen). Werner Söderström, Dark Oy, Vantaa.
McCarver, P. M. (2003). “What a learning community learns:A cooperative inquir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alifornia Institute of Integral Studies.
OECD. (2019). OECD Learning Compass 2030:A series of concept notes, OECD.
Rourke, L., Anderson, T., Garrison, D. R., & Archer, W. (2001). “Methodological issues in the content analysis of computer conference transcripts”. International Journal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Education, 12(1), 8-22.
Shapiro, N. S., & Levine, J. H. (2000). Creating learning communities:A practical guide to winning support, organizing for change, and implementing programs, San Francisco: Jossey-Bass.
Williamson, S. N. (2007). “Development of a self-rating scale of self-directed learning”.
Nurse Researcher, 14(2), 66-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