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길수(2008). “철학교육의 현실 기여”, 철학과 현실 76, 156-161.
김보영, 한승우(2020). “코로나19로 인한 비자발적 ‘대학 온라인 강의’에 대한 만족도 연구”, 교양학연구 13, 7-31.
김선규(2021). “4차 산업혁명 시대, 교양교육으로서 철학의 의의”, 철학탐구 64, 147-177.
김영환, 송성숙(2021). “성인대학생의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학습경험 탐색”, 공공사회연구 11(3), 5-32.
김용환, 이종하(2011). “교양철학 교육의 현실과 학습자중심 교양철학교육-한남대 교양철학 교육을 중심으로”, 동서철학연구 60, 347-368.
남미영(2014). “교양으로서의 철학 교과목의 필요성 및 운영 사례”, 한국교양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149-158.
문성훈(2012). “교양교육 특성화와 철학의 역할-서울여자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철학 111, 187-208.
박중열(2021). “코로나19로 촉발된 비대면 교육의 대규모 확장”, 대한기계학회논문집 C권 9(1), 1-5.
박중열(2020). “코로나19로 촉진된 대학의 온라인 교육에 대한 고찰”, 기계저널 60(7), 32-36.
안준후, 이지연(2020). “K-MOOC 학습자의 학습행태 분석 및 서비스 방향성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7(3), 221-252.
양수연, 김혜진(2021). “비대면 실시간 온라인 대학 글쓰기 수업에 관한 자전적 사례 연구-수원대학교 ‘글쓰기와 고전읽기’ 과목을 통한 교수자의 인식 및 성찰을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5(6), 115-134.
오종환(2020). (교양인을 위한) 분석미학의 이해, 세창출판사.
윤옥한(2020). “코로나 19 이후 교양 교육 방향 탐색”, 교양교육연구 14(4), 25-34.
윤주한(2017). “의도주의-비의도주의 논쟁에 대한 하나의 답변 - 보완된 가설의도주의”, 인문논총 74(4), 217-252.
이강서(2005). “다시 돌아보는 철학 교양교육-철학 교양과목의 목표 설정과 연관하여”, 철학과 현실 67, 135-145.
이난(2021). “코로나 시대의 온라인 수업과 온라인 피드백을 활용한 대학의 교양강좌 운영에 관한 연구”, 교양교육연구 15(1), 259-272.
이동주, Misook Kim(2020). “코로나19 상황에서의 대학 온라인 원격교육 실태와 개선 방안”, Multimedia-Assisted Language Learning 23(3), 359-377.
이명숙(2021). “해커톤 수업사례를 통한 메타버스 플랫폼의 교육적 활용방안”,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4(6), 61-68.
이정민, 전정아(2019). “K-MOOC 대학생 수강자의 인식 분석”, 디지털융복합연구 17(3), 1-11.
이지연, 성은모, 이지은, 임규연, 한승연(2020). “코로나19 시대 온라인 수업의 도전과 과제”, 교육공학연구 36(3), 671-692.
이하준(2014). “대중교양철학서의 범람, 철학의 대중화에 기여하는가?”, 새한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4-37.
정지영, 조광수, 최진해, 최준호(2017). “VR 콘텐츠의 사이버 멀미 유발 요인: 시점과 움직임의 효과에 대한 실험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4), 200-208.
조인식(2020a). “K-MOOC(한국형 공개 온라인 강좌)의 현황과 개선과제”, NARS 현안분석 171, 국회입법조사처, 1-20.
조인식(2020b). “대학의 원격수업 관련 쟁점과 개선과제”, NARS 현안분석 147, 국회입법조사처, 1-20.
홍성연(2020).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원격교육 환경에서 대학 교양교과목의 수업성찰”, 교양교육연구 14(6), 283-298.
황경식(1990). “현실의 철학적 욕구에 부응하는 교양 철학교육”, 철학과 현실 6, 265-276.
황지원(2012). “교양으로서의 철학교육의 위상과 필요성”, 한국교양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487-503.
황희선(2021). “대학 교양 강의에서의 비대면 토론 방안 연구-자기성찰노트를 분석 대상으로”, 교양학연구 15, 115-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