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 학습자의 대학 고전수업의 문화적 변인들과 학습효과에 대한 실증연구

An Empirical Analysis on Multicultural Learner’s Variables and Learning Effects in Classics Reading Classes

Article information

Korean J General Edu. 2022;16(2):187-202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2 April 30
doi : https://doi.org/10.46392/kjge.2022.16.2.187
유경애
부산대학교 강사, kosmos5710@hanmail.net
Lecturer, Pusan National University
이 논문은 2021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21S1 A5B5A17052294)
Received 2022 March 20; Revised 2022 April 04; Accepted 2022 April 18.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인과 외국인 학생으로 이루어진 다문화 학생들의 고전과 고전수업에 대한 인식변인들의 차이성과 이러한 학습변인들이 고전수업의 학습효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t 검정과 교차분석 그리고 판별분석 결과, 고전수업을 통하여 한국인 학생이 외국인 학생보다 더 논리적 사고력이 신장되고 수업을 통하여 고전에 대한 흥미가 제고되는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 고전수업의 학습변인들인 고전에 대한 평소 흥미, 중요성, 필요성, 독서량 등은 고전수업의 학습효과인 필요성과 수업의 만족도에 대하여 직접적인 영향을 못 미치고 있다. 그러나 고전수업을 통한 표현력과 발표력의 향상과 논리적 사고력 향상, 그리고 고전의 흥미 등의 인식변인은 고전읽기 학습효과들인 고전수업의 필요성과 수업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경로분석 결과, 고전에 대한 중요성에 대한 변인은 고전수업의 학습효과에 대해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지만, 표현력과 발표력의 향상, 논리적 사고력 향상, 그리고 고전의 흥미라는 매개변인을 통하여 고전수업의 학습효과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rans Abstract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ulticultural learning variables and the learning effects of classics reading lessons regarding Korean and foreign students. The t-test, cross tabulation table, and discriminant analysis showed that Korean students improved their logical thinking power and became more interested than foreign students through the classic reading classes. Th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recognition variables such as interest level, importance, necessity, and the reading of the classics did not influence the learning effects of classics reading class in regards to the necessity of the classics and the satisfaction level derived from classics reading classes. However, the improvement in presentation and the power of expression, logical thinking power, and the interest in the classic classes did affect the learning effects of classics reading class. As for the path analysis, while the recognition variable regarding the importance of the classics did not directly affect the learning effects of the classics reading classes, it appeared to indirectly influence the learning effects via the mediate variables of the enhancement of presentation and power of expression, logical thinking power, and the interest in these classic reading classes.

1. 서언

우리나라의 다문화가족 인구는 2020년 연말 기준 약 30만 가구를 훨씬 넘고 있으며, 2000년대 들어 우리나라 대학에서도 다문화 학습자들의 교육에 대한 논의와 연구가 있어 왔다. 그리고 다문화사회에서 의사소통은 아주 중요하므로, 다문화 학생들을 가진 우리나라의 대부분의 대학교에서도 의사소통과 다문화 혹은 상호문화의 이해와 모색을 위하여 교양과목으로서 고전수업을 주제로 한 수업을 많이 개설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다문화 학습자들에 대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대학교의 한국어로 된 고전교육은 우리나라의 대학들이 도입한지 얼마 되지 않으며, 대학마다 선정한 고전들과 고전수업 형태들도 다양하지만, 고전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호응과 만족도와 그 학습효과에 대한 분석이 미흡하다. 특히 다문화 학습자들의 국적에 따른 고전수업에 대한 문화적 배경을 고려한 학습변인을 고려한 고전수업에 대한 학습효과 연구는 아주 희소하지만 중요한 과제이다.

다문화 대학에서 고전수업의 효과성을 연구하는데 있어서는 고전수업에 대한 다문화 학생들의 필요성과 흥미, 고전교육의 현실상황에 대한 실제성, 고전수업의 학습동기, 고전 교재에 대한 흥미와 난이도에 대한 변인 등은 고전수업에 있어 중요한 학습변인들이 된다. 아울러 우리나라의 주요 대학들의 고전수업에서는 외국인유학생들도 상당히 많이 있으며, 그 다문화 유학생들에 있어서는 한국에서 문화적 이질성으로 인한 고전수업의 학습효과를 분석하는데 있어 그 학습변인이 중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문화 유학생들에 대한 고전수업과 다문화 학습자의 학습변인별 고전수업의 학습효과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많이 미흡하다.그렇지만 다문화 대학생들의 학습변인별 고전수업의 학습효과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매우 미흡하므로 이에 대한 연구가 절실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전 혹은 고전수업의 다문화 학습자변인별 학습효과에 관한 실증연구로서 연구주제 및 연구방법에 있어 희소성과 독창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하여 고전수업에 대한 변인별 분석을 통하여 향후 우리나라 대학에서 다문화 학생들의 학습효과를 제고할 수 있는 좀 더 현실적이고 설득력 있는 새로운 해석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고전수업에 있어 다문화 학습변인들에 따른 고전수업의 학습효과 등을 비교분석하여 우리나라의 다문화 외국인 유학생들의 고전수업에 대한 학습효과를 제고하고 또한 다문화 외국인 유학생들에 대한 고전교육의 좀 더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활성화 정책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점에 주안점을 둔다.

첫째, 다문화 학습자가 존재하는 대학교육에 있어 고전수업을 통한 학습효과를 제고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통하여 대상 수업의 학습자의 다문화적 배경이 되는 국적과 거주기간, 한국문화 이해력과 한국어 실력 등의 기초배경, 고전의 중요성과 한국 문화 이해력, 교재와 토론 수업의 유용성 등에 대한 학습변인별로 고전수업의 학습효과를 분석한다.

둘째, 현재 각 대학에서 시행되고 있는 다문화 대학생들의 문화적 배경이 다른데도 불구하고 차별 없이 고전수업이 시행되고 있는데, 현행 대학의 다문화 대학생들의 고전수업의 만족도와 학습효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셋째, 그리하여 이러한 다문화 학습자의 문화적 배경 등의 학습변인 등의 매개효과를 통하여 다무화 대학의 고전수업의 학습효과를 비교분석하여 주요 학습수요자인 다문화학생들의 고전수업에 대한 학습 만족도를 높이고 문화가 다른 사회의 의사소통과 삶의 가치관에도 도움을 주고자 한다.

2. 선행연구

우리나라 대학들은 2000년대 들어 대부분 고전과목을 많이 개설하고 있는 실정이다. 시카고대학은 1929년 허친스 총장의 ‘시카고 플랜’으로 고전 100편을 읽기를 권장하는 것을 시작으로 현재는 우리나라의 주요 대학에서도 고전수업 혹은 연관과목들을 개설하고 있다.

Pope (2008)Lipman (2005)의 연구 등에서 나와 있듯이 고전은 대학생들의 삶의 가치관과 철학을 바꿀 수 있으며, 고전수업을 통해 논리적 사고력을 제고하기도 한다. 아울러 고전은 인류 문명과 문화에 대해 균형이 잡힌 깊은 통찰력을 제공하며, 고전수업은 고전과 토론을 통해 표현력과 발표력이 신장되며, 고전은 심미적 안목을 주어 삭막한 현대를 살아가는 인생에 있어 삶의 가치관을 심어줄 수 있다.

최근의 우리나라에서 고전수업에 대한 국내 주요연구들 보면 주로 교양교육 혹은 인문학과 연계하여 고전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한 연구와 활성화 방안 등에 관한 연구로 나눌 수 있다. 그러나 다문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고전수업의 다문화적 학습변인에 대한 학습효과에 대한 연구는 없는데, 주요 기존연구들은 다음과 같다.

이동철(1998)은 고전 프로그램과 교양에 대한 연구를 하였고, 한금윤(2006)김현주(2011)는 고전읽기와 교양교육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김종영(2008)은 의사소통과 통합수업모델, 이황직(2011)은 인문학 독서토론과 교양교육 혁신에 대한 연구를 각각 하였다. 그리고 이우정⋅박태건(2013) 역시 의사소통을 위한 대학의 고전수업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한수영(2012)은 독서문화의 변화와 고전 연구를 하였고, 김미령(2014)은 고전에서 인문학적 감성과 교육적 가치를 연구하였다. 정인모⋅허남영(2013)허남영⋅정인모(2014)는 고전과 토론 강좌에서의 읽기모형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전은진(2014)은 언어와 철학을 고전수업에 융합된 연구를 하였고, 김민라(2015)는 우리나라 고전문학인 허생전을 토대로 하여 외국인을 위한 고전문학 작품수업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안미영(2015)은 다문화교실에서의 한국문화교육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전은주(2012) 역시 교육과정을 설계할 때 다문화 배경을 가진 학습자의 복잡하고 다양한 학습자들에 따라 교육과정이 달라져야 하며, 학습환경, 언어문화적 차이, 정체성 혼란 등을 고려하여 다문화 학습자의 특성에 맞는 교육과정을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강옥희(2016)는 대학에서의 고전독서 교육 프로그램 개발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유경애(2018), 유경애⋅이재득(2020)은 외국인과 한국인 학생들에 대한 고전에 대한 학습효과를 분석하였지만, 다문화적 학습변인들과의 관계는 분석하지 않았다. 박현희(2019)는 인성함양과 고전읽기 수업의 운영과 특성과 효과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김수진(2020)은 고전 독서와 고전교육에 대한 연구를 하였고, 정인모(2020)은 고전읽기와 교양교육의 관계를 정성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그러나 위의 기존연구들은 주로 교양교육의 일환으로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나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고전수업의 활성화를 위한 연구들이 많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들 대부분의 기존연구들과는 달리 한국인과 외국인 학습자 변인과 고전에 관한 인식변인들에 따라서 고전읽기 수업의 만족도와 학습효과가 어떤 차이가 있는지 규명하기 하여 그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학습변인별로 교차분석과 판별분석을 통하여 다문화 대학생들의 고전에 대한 인식변인들의 연관성과 차이성을 먼저 규명한다. 그 후에 이들 고전에 대한 인식변인들이 고전수업의 학습효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회귀분석과 경로분석 등을 통하여 직접적인 인과관계와 매개변인을 통한 간접적인 매개효과를 분석한다.

3. 연구조사와 변인 및 연구모형

3.1. 조사대상과 연구방법

본 연구의 분석대상과 방법은 우리나라의 대학에서 고전수업을 수강하고 있는 다문화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고전읽기 수업을 수강하고 있는 현재 4년제 대학생 26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그리고 설문 작성에 관한 것들은 연구대상 표본의 신뢰도 증진을 위해서, 여러 전문가들의 조언을 받아 자료수집의 왜곡으로 발생하는 오류를 줄이기 위해 다음과 같이 표본을 선정하고 조사분석을 하였다.

첫째, 표본의 선정이 왜곡되거나 치우치지 않기 위해서 여러 학기에 걸쳐서 고전수업을 받고 있는 우리나라 학생들과 외국 유학생들로 이루어진 수강생을 대상으로 한다.

둘째, 표본 신뢰도를 제고하기 위하여 설문지 문항 작성과 표현 등을 고전을 가르치고 있는 교수들의 감수를 통해 작성하고 변인별 문항들에 대한 신뢰도 검정을 한다.

셋째, 먼저 조사대상에 대한 기초분석으로 시작하여, 한국인 학생과 외국인 학생들의 인식변인별로 연관성과 차이성 등을 분석하기 위해 다변량 학습변인 분석을 한다.

넷째, 본 연구의 핵심적인 분석으로서 고전수업의 학습자 인식변인들이 고전수업의 효과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채택하여 회귀분석과 경로분석을 한다. 그리고 구조방정식 모형에서 인과관계 검정을 위해선 설정된 연구가설에 대해서 직접효과와 매개효과를 통한 간접효과에 대한 가설검정을 한다.

3.2. 고전수업 학습자의 다문화 학습변인

우리나라와 외국의 학생들로 이루어진 다문화 학생들의 우리나라 대학의 고전수업에 있어 가장 중요한 관심사는 그 학습효과를 들 수 있다. 이 학습효과를 창출하는데 기여하는 학습변인으로는 먼저 다문화 학생의 기초 학습자의 학습변인, 고전수업에 대한 가치와 유용성 등에 대한 인식변인, 그리고 이러한 문화적으로 다른 국가 차이에서 오는 고전에 대한 이해와 문화적 차이에서 오는 고전인식 변인 등이 중요한 변인이 된다.

그리하여 고전수업에 있어 중요한 학습변인을 살펴보면 크게 다문화 학습자변인으로서, 학습자들의 평소 고전에 대한 흥미, 고전의 중요성, 고전의 필요성, 고전 독서에 대한 호감 등에 대한 인식변인들을 독립변인으로 채택하였다. 그리고 고전수업 가치와 유용성에 대한 변인으로서 표현력과 발표력, 논리적 사고 확립, 삶의 가치관 형성, 그리고 고전수업에 대한 흥미제고 등을 매개변인으로 두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고전수업의 학습효과로는 고전수업의 필요성 제고, 고전수업에 대한 인식의 변환, 고전수업에 대한 만족도 등을 종속변인 등으로 구성하였다.

3.3. 학습효과에 대한 연구가설과 연구모형

다문화 학생들의 고전수업의 학습모형에 따라 학습변인들에 의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고전수업의 효과성을 분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학습모형에 의한 고전수업의 변인별 학습효과를 비교분석한다.

3.3.1. 학습효과에 대한 연구가설

고전읽기 수업의 주요 학습변인들이 고전읽기 수업의 학습효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주요 연구가설을 설정한다.

<연구가설 설정>

H1 학습자의 고전에 대한 흥미는 고전수업의 학습효과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H2 학습자의 고전의 중요성이 클수록 고전수업의 학습효과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H3 학습자의 고전의 필요성이 클수록 고전수업의 학습효과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H4 학습자의 고전 독서량이 많을수록 고전수업의 학습효과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H51 고전 흥미는 고전수업의 가치와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고 고전의 학습효과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매개효과 분석).

H52 고전의 중요성은 고전수업의 가치와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고 고전의 학습효과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매개효과 분석).

H53 고전 필요성은 고전수업의 가치와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고 고전의 학습효과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매개효과 분석).

H54 고전 독서 취미는 고전수업의 가치와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고 고전의 학습효과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매개효과 분석).

3.3.2. 고전수업 학습효과 연구모형

본 절에서는 <그림 1>의 구조방정식 연구모형을 가지고 먼저 고전수업의 다문화 학습자의 평소 고전에 대한 인식변인들을 독립변인으로 두고 인식변인별로 고전읽기 수업에 대해 직접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 학습효과를 분석한다. 그리하여 고전읽기 수업의 학습효과를 나타내는 고전수업의 필요성 제고와 수업의 만족도를 종속변인으로 두었다. 마지막에는 고전읽기 수업의 가치와 유용성에 대한 매개변인 4개를 고려하여 매개효과가 있는지 분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하였다.

[그림 1]

학습효과 연구모형과 회귀분석 및 경로분석

그리하여 먼저 평소 고전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변인들인 고전 흥미, 고전의 중요성, 고전의 필요성, 고전에 대한 독서량 등을 독립변인으로 두어 회귀분석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고전수업의 매개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수업의 가치에 대한 인식변인 4 개 즉, 표현력과 발표력 향상, 논리적 사고력 향상, 삶의 가치관 형성, 그리고 수업의 흥미 제고, 등을 매개변인으로 두고 앞의 평소 고전에 대한 인식들이 학습효과에 이러한 매개변인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보기 위하여 경로분석을 하였다.

4. 학습효과에 대한 실증분석

본 장에서는 가장 기본적인 다문화 학생과 한국 학생들의 문화적 배경으로 기초 학습자의 학습배경으로 국적, 출신국가, 거주기간, 한국어 수학기간 등에 대한 기초적인 통계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앞에서 살펴 본 연구가설에 대한 분석에 앞서 국적별 즉 한국인 학생과 외국인 학생의 학습변인 별 차이성과 연관성을 분석한 후, 판별분석 등을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앞의 연구모형과 연구가설 등 을 검정하고 분석하기 위해 학습변인별 회귀분석, 매개변인을 통한 경로분석을 통한 매개효과 분석 등을 할 것이다.

4.1. 조사대상의 기초 통계롸 신뢰도 분석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대학교에서 한 학기 동안 기초 필수과목으로 개설된 고전읽기 수업을 수강하고 있는 다문화 학생들 266명 이었는데, 성별로 보면 남학생 104명, 여학생 162명, 총 266명으로부터 설문지를 받았다. 조사 시기는 2015년부터 2019년에 걸쳐 학생수가 30명 내외로 구성된 9개 분반을 조사대상으로 하였다. 학년별로 보면, 1학년 135명(50.75%), 2학년 64명(24.06%), 3학년 46명(17.29%), 그리고 4학년 21명(7.89%) 으로 구성되어 있다.

<표 1>에서 나타난 것 같이, 국적별로 보면, 응답자 중 한국인 학생은 94명, 외국인 학생들의 응답자는 172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국인 응답 학생 중 중국학생들이 거의 대부분인 158(91.86%)명, 러시아 3명, 터키 1명, 카자흐스탄 2명, 몽골 1명, 아랍국 1명, 기타 6명으로 나타나 거의 다 외국인은 중국인 학생인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 학생들의 한국 거주 기간과 한국어 학습 기간

그리고 외국인 학생들의 거주기간을 보면, 이 문항의 응답자 169명 중 6개월 미만이 3명, 6개월 이상-1년 미만 11명, 1년 이상-2년 미만 91명(53.85%), 2년 이상-3년 미만 56명(33.14%), 3년 이상 8명으로 각각 나타나, 약 80% 정도가 1년 이상-3년 미만의 외국인 학생으로 구성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외국인 학생들의 한국어 학습기간을 보면, 이 문항의 응답자 169명 중에서 6개월 미만이 5명, 6개월 이상-1년 미만 54명(31.95%), 1년 이상-2년 미만 81명(47.93%), 2년 이상-3년 미만 16명(9.47%), 5년 이상 13명(7.69%)으로 각각 나타나, 한국어를 학습한 기간이 1년 이상 2년 미만이 약 48%를 차지하고 있으며, 한국어를 1년 이상 학습한 외국인 학생은 약 65%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 외국인 학생 중 약 83%는 2년 이하의 한국어를 학습한 것으로 나타나, 외국인 학생들의 한국어 실력이 한국인 학생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학습 변인별 설문 문항의 신뢰도(Reliability) 검정을 하기 위해서 크론바하 α(Cronbach’s α) 계수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통상적인 기준으로 Cronbach’s 계수가 0.7보다 클 때 신뢰도가 확보되는 것으로 판정한다. 그 본 연구의 추정 결과는 <표 2>에서와 같이 나타났다.

학습변인들의 신뢰도 검정

먼저, 평소 고전에 대한 흥미, 중요성, 필요성, 독서 애호도 등을 포함하는 학습자의 평소 고전에 대한 인식변인의 크론바하 α는 원 데이터와 표준화된 데이터 모두 0.82 이상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 크론바하 α 값이 수업교재들의 감동과 흥미에 대한 변인 0.72, 고전읽기와 토론 수업의 유용성에 변인 0.92이상으로 각각 나타났다. 그리고 고전읽기와 토론 수업의 만족도 변인의 크론바하 α는 원 데이터와 표준화된 데이터 모두 0.93 이상으로 나타났다. 그리하여 모든 문항항목의 신뢰도가 모두 0.7이상으로 나타나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항목들의 신뢰도는 확보된 것으로 나타났다.

4.2. 학습변인과 고전수업 차이성 분석

4.2.1. 고전에 대한 인식

고전수업을 듣고 있는 한국인 학생과 외국인 학생의 고전에 대한 흥미, 고전에 대한 중요성, 고전의 필요성과 독서량 등의 학습자의 고전에 대한 평소 인식변인들에 국적별 차이성이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먼저 평소 고전에 대한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한 다문화 학생들의 한국인과 외국인 학생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표 3>에서 나타나 있듯이 평소 고전에 대한 흥미에 대해 조사한 결과, 외국인들의 응답의 평균은 3.51, 한국인의 응답 평균은 3.24로 나타났다.

학습자의 고전에 대한 평소 인식

이들의 분산이 동일(pooled) 혹은 다르다(Satterthwaite)이라고 가정했을 경우 그 차이성을 나타난 t 통계량 값과 그 p 값으로 추정해볼 때, 모두 5% 유의수준에서 유의적인 차이성이 있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그리하여 외국인 학생들이 한국인 학생들보다 평소에 더 고전읽기에 대해 흥미와 취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2.2. 고전읽기 수업의 가치와 유용성

수업방식은 강의 및 토론, 발표 등으로 주로 구성되어 있는데, 고전읽기 수업 교재는 본 연구에서 현재 대상 학교에서 공통적으로 수업시간에 사용하고 있는 서양 고전과 동양 고전 그리고 대표적 문학작품들을 선정하였다. 그리하여 서양의 대표적 고전인 ‘성서’ 중 창세기와 신약성경, 동양의 고전인 ‘노자’ 의 도덕경, 그리고 서양고전으로서 빅토르 위고의 ‘레미제라블’ 등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수업시간에 ‘레미제라블’영화 등도 활용하여 학생들의 고전에 대한 이해와 흥미를 도와주기 위해 사용하였다.

그리하여 수업을 듣고 있는 학습자들의 국적에 따른 고전읽기 수업의 유용성에 대한 조사 결과는 먼저 <표 4>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고전읽기 수업을 통해, 한국인과 외국인 학생에 따른 발표력과 표현력 향상에 있어서 5% 유의수준에서 차이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전수업 학습가치와 유용성 학습변인의 차이성 분석

그러나 논리적 사고력의 신장에 대한 조사결과 한국인과 외국인 학생들 간에 차이성이 모두 5% 유의수준에서 나타났으며, 한국인 학생이 외국인 학생보다 고전읽기 수업을 통하여 외국인 학생들보다 더 논리적 사고력이 신장된 반면, 가치관형성에서는 외국인과 한국인 학생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고전읽기 수업의 흥미와 고전읽기 수업을 듣고 난 후 고전수업의 수월도에 대한 조사 결과, 역시 외국인과 한국인 학생들 간에 모두 5% 유의수준에서 차이성이 났다. 그리하여 한국인 학생들이 외국인 학생들 보다 수업을 듣고 난 후 고전에 대한 흥미와 선호가 더 많이 생겨났으며, 고전읽기 수업을 한 후 수업을 듣기 전 보다 더 쉽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고전읽기 수업 시간 중에 본 레미제라블 영화감상은 고전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는지 외국인과 한국인 학생들 간에 차이성이 있는지 조사하였다. 그 결과 <표 4>에서 나타나 있듯이 영화감상은 5% 유의수준에서 한국인 학생들에게 더 도움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4.3. 국적 변인과 고전인식 및 학습효과 연관성과 차이분석

본 장에서는 학습자들인 한국인과 외국인 학생들의 고전에 대한 인식, 그리고 고전의 가치와 유용성, 이들 변인에 따른 학습효과 등의 연관성을 교차분석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4.3.1. 한국인과 외국인들의 고전인식에 대한 교차분석

한국인과 외국인의 고전에 대한 흥미와 독서 회수 간에는 교차분석 결과, <표 5>에서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그 연관성이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학습자의 국적 변인과 고전에 대한 흥미 간에는 교차분석 결과, χ2(카이제곱) 통계량이 12.80, 우도비 카이제곱(likelihood ratio χ2) 통계량이 12.28, 그리고 Mantel-Haenszel χ2값이 4.0605 등으로 각각 나타나, 한국인 학생보다 외국인 학생들이 한국어 실력은 부족하지만 평소에 고전에 대한 흥미를 더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인과 외국인 학습자의 평소 고전인식에 대한 교차분석

둘째, 고전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한 인식에 대해서는 외국인 학생들과 한국인 학생들 간 학습자의 국적 변인과 5% 유의수준에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것은 학습자들이 국적에 관계없이 모두 고전읽기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해서 높게 평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외국인과 한국인 학생들 간 평소 고전에 대한 독서량 간의 차이는 교차분석 결과, 그 차이성이 5% 유의수준에서 있는데, 이것은 평소 외국인 학생들이 더 많이 고전을 읽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하여 위의 교차분석에서 외국인과 한국인 학습자들의 국적변인과 고전에 대한 흥미와 독서량 간에는 상호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외국인 학생들이 더 흥미와 독서량이 많다는 것은, 외국인 학생들의 학교수업이 평소 우리나라의 단기적인 입시지향적인 수업보다 삶의 가치관과 인생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고전에 대한 관심과 독서를 더 권장하는 문화적 배경이 있는 것으로 추론된다.

4.3.2. 고전수업의 차이성에 대한 판별분석

본 절에서는 학습변인의 다문화 집단별 차이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판별분석(Discriminant Analysis)을 통해 한국인과 외국인 학생 집단에 대해 어느 관측치가 어떤 특정 집단에 소속되는지 판별한다.

한국과 외국인 학생에 의한 국적별 판별변인에 따라 판별관측 변인인 평소 고전에 대한 인식에 어떤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판별분석을 한 결과가 <표 6>에 나타나 있다. 그리하여 국적(판별변인)별 학생들의 고전읽기에 대한 4가지 인식들(판별관측 변인)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다.

국적별 변인과 평소 고전에 대한 인식 등에 대한 판별분석

F 통계량 값과 그 확률값(Pr>F)으로 볼 때, 5% 유의수준에서 고전읽기에 대한 흥미, 고전읽기의 중요성, 고전읽기의 필요성 등에 있어서는 그 차이성이 나타나지 않았지만, 고전읽기 횟수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외국인 학생들이 평소에 더 많이 고전을 읽는 것으로 앞의 교차분석 결과를 재확인 해주고 있다.

4.3.3. 국적별 학습효과 만족도 연관성

고전읽기와 토론 수업의 수강 학생들의 국적에 따른 고전읽기 수업의 학습효과의 연관성에 대한 조사결과가 <표 7>에 나타나 있다.

고전읽기 학습효과의 국적별 연관성

먼저 고전읽기 수업의 국적 변인 즉 한국인 학생들과 외국인 학생들에 따라 고전읽기 수업의 필요성과, 고전수업 인식의 제고에 대한 연관성은 5% 유의수준에서 각각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하여 한국어 실력이 상대적으로 뛰어난 한국인 학생들이 수업 필요성과 고전에 대한 인식이 제고된 것으로 나타났다.

4.4. 학습변인의 학습효과에 대한 회귀분석 및 경로분석

고전읽기 수업의 학습의 직접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먼저 고전읽기 수업의 필요성 제고와 고전수업에 대한 만족도를 종속변인으로 두었다. 그리고 독립변인으로서 평소 고전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변수들을 채택하여 회귀분석을 각각 하였다.

그 다음에는 이들 독립변인이 매개변인인 고전수업 가치와 유용성 변인을 통하여 종속변인인 학습효과에 간접적인 매개효과가 있는지 없는지, 즉 종속변인에 미치는 직⋅간접효과를 모두 분석하기 위하여 고전가치와 유용성에 관한 매개변인을 통한 경로분석을 하였다.

4.4.1. 표현력과 발표력의 수업 필요성에 대한 학습효과 분석

① 학습변인과 표현력과 발표력의 수업 필요성 회귀분석

먼저 회귀분석을 한 추정 결과가 <표 8>에서와 같이 나타났다. 독립변인들 중에서 평소 고전독서 횟수와 수업의 가치와 유용성을 나타내는 표현력과 발표력의 향상 인식변인은 고전읽기 수업의 필요성 제고에 대해 5% 유의수준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들로 나타났다. 그러나 그 외 다른 학습인식변수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그 조정된 결정계수는 0.47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발표력과 표현력이 향상된다고 생각할수록 고전읽기 수업의 필요성에 대한 학습효과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인식변인들과 표현력 및 발표력의 고전수업 필요성에 대한 분석

a. 회귀분석: 조정된 결정계수: 0.4746

② 표현력과 발표력의 수업 필요성에 대한 매개효과와 경로분석

그 다음 이들 평소 고전에 대한 인식변인들이 그 매개변인인 표현력과 발표력의 향상을 통하여 그 학습효과인 수업의 필요성에 어떤 간접효과가 있는지 분석하기 경로분석을 하였다. 경로분석을 한 결과, 고전에 대한 인식변인들 중에서 다른 변인들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고전의 중요성 변인만이 그 추정계수의 p 통계량 값이 0.02로 나타나 발표력과 표현력의 향상을 통한 경로계수가 5% 유의수준에서 정의 방향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하여 인식변인들 중에서 고전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중요성 변인은 수업의 필요성 제고에 대해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수업의 가치를 나타내는 표현력과 발표력의 향상이라는 매개변인을 통하여 학습효과에 5% 유의수준에서 간접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간접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고전읽기 수업은 표현력과 발표력의 향상이라는 그 매개변인을 통하여 고전읽기 수업의 학습효과에 대한 간접적인 매개효과가 0.66545*0.28349=0.18865로 유의하게 나타나, 고전읽기 수업의 학습효과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독서 횟수는 직접적으로는 영향을 미치지만, 표현력과 발표력의 향상을 통한 매개효과와 간접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4.4.2. 논리적 사고력과 수업 필요성에 대한 학습효과 분석

① 학습변인과 논리적 사고력의 수업 필요성 회귀분석

먼저 회귀분석을 한 추정 결과가 <표 9>에서와 나타난 것과 같이 독립변인들 중에서 고전에 대한 인식변인들 즉, 고전에 대한 흥미, 고전의 중요성, 고전의 필요성, 그리고 평소 고전에 대한 독서 횟수 등은 고전읽기 수업 후 조사한 수업의 필요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다.

인식변인과 논리적 사고력의 고전수업 필요성에 대한 분석

a. 회귀분석 : 조정된 결정계수: 0.5347

그러나 논리적 사고력 향상은 5% 유의수준에서 고전읽기 수업의 필요성 제고에 대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들로 나타났고 그 조정된 결정계수도 0.53로 나타났다.

② 논리적 사고력과 수업 필요성에 대한 경로분석과 매개효과

그 다음 이들 평소 고전에 대한 인식변인들 중, 고전에 대한 인식변인들 중에서 고전의 중요성 변인만이 그 추정계수의 p 통계량 값이 거의 0.05로 나타나 논리적 사고력 향상을 통한 추정계수가 5% 유의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하여 학습자의 고전에 대한 문화적 배경을 포함하고 있는 학습자의 인식변인들 중에서 고전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변인은 수업의 필요성 제고에 대한 직접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고전읽기 수업의 가치와 유용성에 대한 인식변인인 논리적 사고력 향상이라는 매개변인을 통하여 학습효과인 수업 필요성 제고에 간접적인 매개효과가 거의 5% 유의수준에서 0.71104*0.23471=0.16689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그리하여 논리적 사고력 향상은 고전수업의 학습효과인 고전수의 필요성에 간접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4.3. 고전수업 흥미의 수업 필요성에 대한 학습효과 분석

① 학습변인과 고전수업 흥미의 수업 필요성 회귀분석

먼저 고전읽기 수업의 직접적인 학습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고전읽기 수업의 필요성 제고를 종속변인으로 두고, 평소 고전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변인들과 고전읽기 수업에 대한 흥미를 모두 독립변인으로 두고 회귀분석을 한 그 추정 결과가 <표 10>에서와 같이 나타났다. 그리하여 독립변인들 중에서 학습자들의 평소 고전에 대한 인식변인들 즉, 고전에 대한 흥미, 고전의 중요성, 고전의 필요성, 평소 고전의 독서 횟수 등은 고전읽기 수업 후 조사한 고전수업의 필요성 제고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다.

인식변인과 흥미의 고전수업 필요성 제고에 대한 분석

a. 회귀분석: 조정된 결정계수: 0.5735

그러나 평소 학습자의 고전읽기 수업에 대한 흥미가 클수록 고전읽기 수업의 필요성을 제고시키는 것에 대해 5% 유의수준에서 정의 유의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들로 나타났고, 이 회귀모형에서 조정된 결정계수는 0.53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② 고전수업에 대한 흥미의 수업 필요성에 대한 경로분석과 매개효과

그 다음 학습효과인 고전읽기 수업의 필요성에 대한 간접적인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매개변인인 고전수업에 대한 흥미를 통한 경로분석을 하였는데, 그 결과가 <표 10>에서와 같이 나타난 것과 같다. 여기서 그 간접적인 매개효과는 0.73085*0.30786=0.22500로 유의하게 나타나, 고전읽기 수업의 학습효과에 간접효과가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4.4. 표현력과 발표력의 수업 만족도에 대한 학습효과 분석

① 학습변인과 표현력과 발표력의 수업 만족도 회귀분석

먼저 회귀분석을 한 추정 결과가 <표 11>에서와 같이 나타났다. 독립변인들 중에서 고전에 대한 흥미, 평소 고전에 대한 독서 횟수는 5% 유의수준에서 고전수업의 만족도 제고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다.

학습 인식변인과 발표력의 수업 만족도 효과

a. 회귀분석: 조정된 결정계수: 0.5266

그러나 수업의 가치와 유용성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변인인 표현력과 발표력의 향상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로 나타났고 그 조정된 결정계수는 0.53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리하여 고전읽기 수업을 통해 발표력과 표현력이 향상되었다고 생각할수록 고전읽기 수업의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고전읽기 수업의 효과가 더 높게 나타났다.

② 표현력과 발표력의 수업 만족도에 대한 매개효과와 경로분석

그 다음 이들 평소 고전에 대한 인식 변인들이 매개변인인 수업의 가치와 유용성을 나타내는 변인인 표현력과 발표력의 향상을 통하여 고전읽기 수업의 효과인 그 만족도에 어떤 매개효과와 간접효과가 있는지 알기 위해 경로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고전에 대한 인식변인들 중에서 고전의 중요성 변인만이 그 추정계수의 p 통계량 값이 0.03으로 나타나 오직 발표력과 표현력의 향상을 통해 수업의 학습효과인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경로계수가 5% 유의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하여 <표 11>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고전을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변인은 수업의 학습효과를 나타내는 수업만족도 제고에 대한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수업의 가치와 유용성을 나타내는 변인인 표현력과 발표력의 향상이라는 매개변인을 통하여 고전읽기 수업의 학습효과에 간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간접적인 효과가 5% 유의수준에서 나타났다.

따라서 고전의 중요성에 대한 학습자 변인의 수업 만족도에 대한 효과는 표현력과 발표력의 향상이라는 간접적인 매개효과를 가지고 그 매개효과는 0.71614*0.31713= 0.22711로 나타나, 고전읽기 수업의 학습효과인 만족도에 정의 방향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4.5. 논리적 사고력의 수업 만족도에 대한 학습효과 분석

① 학습변인과 논리적 사고력의 수업 만족도 회귀분석

먼저 학습자들의 인식변인들과 논리적 사고력의 학습효과에 대한 직접효과를 추정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한 추정 결과가 <표 12>에서와 같이 나타났다. 독립변인들 중에서 학습자의 평소 고전에 대한 흥미, 평소 고전의 독서 횟수는 5% 유의수준에서 고전읽기 수업의 만족도 제고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고전수업의 가치와 유용성에 대한 인식변인인 논리적 사고력 향상은 정의 방향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고 그 조정된 결정계수는 0.53으로 높게 나타났다.

인식변인들과 논리적 사고력의 수업 만족도 효과

a. 회귀분석 : 조정된 결정계수: 0.5265

② 논리적 사고력의 수업 만족도에 대한 매개효과와 경로분석

평소 고전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변인들이 매개변인인 논리적 사고력의 향상을 통하여 수업의 만족도에 어떤 간접효과가 있는지 알기 위해 경로분석을 하였다. <표 12>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고전에 대한 학습자 인식변인들 중에서 고전의 중요성 변인만이 그 추정계수의 p 통계량 값이 0.05로 나타나 발표력과 표현력의 향상을 통한 경로계수가 5% 유의수준에서 정의 방향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하여 학습자의 고전의 중요성 인식변인은 수업의 만족도 제고에 대한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논리적 사고력의 향상이라는 매개변인을 통하여 고전읽기 수업의 학습효과인 만족도에 간접적인 매개효과가 0.79515*0.28707=0.69234로 유의하게 나타나, 고전읽기 수업의 학습효과인 수업 만족도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4.6. 고전수업에 대한 흥미의 수업 만족도에 대한 학습효과 분석

① 학습변인과 고전수업 흥미의 수업 만족도에 대한 회귀분석

먼저 고전수업 학습자의 인식변인과 고전읽기 수업에 대한 흥미를 모두 독립변인으로 두고, 이들 학습변인들이 고전읽기 수업의 학습효과인 수업 만족도에 대한 직접효과가 있는지 분석하기 위하여 고전읽기 수업의 만족도를 종속변인으로 두고 회귀분석을 한 결과가 <표 13>과 같이 나타났다.

인식변인들과 고전수업 흥미의 수업 만족도 효과

a. 회귀분석 : 조정된 결정계수: 0.5265

그리하여 먼저 회귀분석을 한 추정 결과가 독립변인들 중에서 평소 고전에 대한 인식변인들 즉, 고전에 대한 흥미, 고전의 중요성, 고전의 필요성, 평소 고전의 독서 횟수 등은 5% 유의수준에서 고전읽기 수업 후 조사한 수업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앞에서와 같이 고전읽기 수업에 대한 흥미는 5% 유의수준에서 고전읽기 수업의 만족도에 대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들로 나타났고 그 조정된 결정계수도 0.53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② 고전수업 흥미제고 및 학습효과 만족도에 대한 매개 효과와 경로분석

그 다음 수업의 만족도에 대한 고전읽기 수업의 학습효과에 대한 간접적인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매개변인인 고전읽기 수업에 대한 흥미를 통한 경로분석 결과가 <표 13>에서 나타나 있다. 고전의 중요성 변인은 수업의 만족도 제고에 대한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고전수업을 통한 흥미라는 매개변인을 통하여 고전수업의 학습효과인 만족도 제고에 간접적인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그 때 매개효과를 나타내는 경로계수가 0.81863* 0.30829 = 0.2524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학습자들이 고전수업에 대한 흥미가 크면 클수록 고전수업의 학습효과인 만족도에 간접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결언

우리나라는 다문화사회에 접어들고 있고 우리나라의 각 대학들도 외국인 유학생을 많이 유치하고 있다. 그리고 우리나라 대학에서는 외국인을 위한 고전수업의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다문화적 배경을 가지고 있는 학습변인별 학습효과에 대한 실증분석은 아직도 매우 미흡하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대부분의 기존연구들과 달리, 먼저 고전읽기 수업을 하고 있는 우리나라와 외국인 학생들로 이루어진 다문화 학습자들의 문화적인 차이에서 오는 평소 고전에 대한 학습자 인식과 고전수업에 대해 느끼는 인식변인들이 고전수업의 학습효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또 학습변인별 차이성과 연관성이 있는지 검정하기 위하여 t 검정과 다변량 교차분석과 판별분석을 하였다.

그 다음에는 평소 고전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변인들이 고전수업의 학습효과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을 추정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한 후, 매개변인을 통한 간접적인 학습효과가 있는지 추정하기 위하여 경로분석을 하였다. 그리하여 본 연구의 추정 결과를 종합해서 보면,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t 검정결과 한국인 학생과 외국인 학생 간에는 고전수업을 통하여 한국인 학생이 외국인 학생보다 더 논리적 사고력이 신장되고 수업을 통하여 고전에 대한 흥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업을 통한 학습자들의 가치관 형성을 제고하는데 있어서는 외국인과 한국인 학생 간에는 차이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한국인 학생과 외국인 학생 간에 평소 고전에 대한 흥미와 중요성과 필요성, 독서량 등에 대한 교차분석 결과, 상호 연관성이 나타나고 있다.

셋째, 회귀분석 결과, 고전읽기 수업의 학습자변인인 고전에 대한 평소 흥미, 중요성, 필요성, 그리고 독서량 등은 고전읽기 수업의 학습효과인 수업의 필요성 제고와 수업의 만족도에 대하여 직접적인 영향을 못 미치고 있다.

넷째, 경로분석 결과에 의하면, 다문화 학습자들의 인식변인들 중에서 고전에 대한 중요성 변인은 고전수업의 학습효과인 수업의 필요성과 수업의 만족도에 대해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지만, 고전읽기 수업을 통하여 얻을 수 있는 표현력과 발표력의 향상, 논리적 사고력 향상, 그리고 고전의 흥미 등의 매개변인을 통하여 학습효과인 수업의 필요성과 만족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 추정 결과, 고전읽기 수업의 학습효과를 제고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수업에 전략적 혹은 정책적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다. 고전수업에 대한 가치와 유용성에 대한 인식들에서 논리적 사고력, 고전수업의 흥미, 고전수업의 용이성, 수업시간 고전 영화감상 등의 유용성 등에서 한국인 학생과 외국인 학생 간에는 차이성이 존재하고 있다.

더구나 이러한 고전에 대한 표현력과 사고력, 그리고 고전 흥미 등은 매개효과에 의해 고전수업의 필요성이나 만족도에 직접효과는 없으나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우리나라 대학에서 외국인 유학생이 많은 다문화 학생들에게 고전수업을 할 때에는 고전읽기 뿐만 아니라, 표현력의 향상을 위한 한국어 수업과 한국사회와 한국문화에 대한 이해 수업 등을 병행한다면, 그 학습효과를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그리고 외국인 유학생들이 중국에 많이 편중되어 있는데 좀 더 다양한 외국 유학생들을 위하여 한국어와 한국 역사 및 문화에 대한 수업을 같이 한다면 더 효과적인 수업이 될 것이다.

그리고 다양한 외국유학생들을 위해서 영어와 모국어로 된 교재와 강의, 그리고 영상매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도움이 될 것이다. 고전수업의 효과를 제고하기 위해 외국인 유학생들을 위한 한국어 토론대회와 한국문화축제를 통하여 한국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도 좋을 것이다.

그리하면 우리나라 대학들이 다문화학생들이 한국 역사와 문화를 좀 더 이해할 수 있어 고전수업을 받는 다문화학생들이 한국 사회를 좀 더 이해하고 아울러 자신들의 삶의 가치관을 확립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외국인 유학생들이 우리나라 문화를 이해하는 것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학생들도 외국 유학생들의 다문화를 좀 더 상호 이해할 수 있게 간문화 수업도 제공하여 다문화 학생들의 고유한 문화와 인생관과 삶의 의미 등을 높여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종합적이고 다면적이고 효율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흥미를 제고한다면 더 효과적인 고전수업이 될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다문화 학생들이라 하지만, 외국인 유학생들은 중국인 학생들이 대부분이라서 여러 국가에서 온 소수의 외국인 학생들의 고유한 전통과 문화의 개별적인 특성을 상정하지 않았다. 향후 시간과 자료 수집의 한계가 있지만 여러 국가들에서 온 유학생들의 자국문화의 개별적인 고유문화의 전통을 고려하여 외국인 다문화 학습자들과 심층 면담 등을 통한 질적인 측면을 보완한다면 더 엄밀한 연구가 될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다음 향후 과제로 남긴다.

References

1. 강옥희(2016). “창의성과 비판적인 사고능력 개발을 위한 고전읽기 수업 방안연구”, 교양교육연구 10(4), 한국교양교육학회, 543-578.
2. 김미령(2014). “고전소설에 나타나는 인문학적 감성과 교육적 가치”, 한국교양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교양교육학회, 607-616.
3. 김민라(2015).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고전문학 교육방법-허생전을 중심으로”, 한국어교육연구 2, 한국어교육연구학회, 15-32.
4. 김수진(2020). “한 학기 한 권 읽기를 활용한 고전소설 교육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종영(2008). “의사소통 교과목 수업의 수사학적 고찰-통합수업모델개발을 위한 시론”, 수사학 9, 한국수사학회, 141-172.
6. 김현주(2011). “인문학교양교육과 독서토론”, 교양교육연구 5(1), 한국교양교육학회, 229-261.
7. 박현희(2019). “인성함양을 위한 고전읽기 강좌의 운영특성과 효과-서울대 <독서세미나-고전에 길을 묻다> 교과목을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3(5), 11-37.
8. 안미영(2015). “다문화교실에서의 한국문화교육 방안-고전수필 텍스트 활용을 중심으로”, 어문론집 63, 313-348.
9. 유경애(2018).“다문화사회 대학의 고전읽기 수업의 학습 변인별 학습효과에 대한 실증연구”, 언어와 문화 14(2),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55-79.
10. 유경애, 이재득(2020). “고전읽기 수업의 외국인과 한국인 학생의 학습 변인과 학습 효과의 차이에 대한 실증분석”, 교양교육연구 14(3), 한국교양교육학회, 205-216.
11. 이동철(1998). “교양교육의 활성화와 고전읽기 프로그램”, 학생 생활연구 6, 용인대학교학생생활연구소, 65-86.
12. 이우정, 박태건(2013). “대학의 고전읽기 교육에 관한 모색- 원광대학교글쓰기 센터를 중심으로”, 국제언어문학 28, 255-271.
13. 이황직(2011). “고전읽기를 통한 교양교육의 혁신-숙명여대의 인문학 독서토론 강좌를 중심으로”, 독서 연구 26, 한국독서학회, 517-548.
14. 전은주(2012), “다문화 배경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국어교육학연구 45, 49-80.
15. 전은진(2014). “언어와 철학을 융합한 고전읽기 교육”, 한국교양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한국교양교육학회, 26-39.
16. 정인모(2007). “교양교육과 고전읽기”, 독어교육 39,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131-140.
17. 정인모(2020), “고전 읽기와 교양교육”, 교양기초교육연구 1(2), 1-24.
18. 정인모, 허남영(2013). “고전읽기를 활용한 수업모형”, 교양교육연구 7(1), 한국교양교육학회, 41-74.
19. 한금윤(2006). “대학에서 학제적 독서교육의 실제와 전망”, 독서연구 15, 한국독서학회, 173-205.
20. 한수영(2012). “독서문화의 변화와 고전읽기 교육”, 어문론집 52, 203-223.
21. 허남영, 정인모(2014). “고전읽기와 토론강좌에서의 읽기모형 개선 방안”, 교양교육연구 12(8), 한국교양교육학회, 529-557.
22. Lipman. Mattew(2005). 고차적 사고력 교육, 김혜숙 옮김. 서울: 인간사랑.
23. Pope. Loren(2008). 내 인생을 바꾸는 대학. 김현대 옮김. 서울: 한겨레출판사.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그림 1]

학습효과 연구모형과 회귀분석 및 경로분석

<표 1>

외국인 학생들의 한국 거주 기간과 한국어 학습 기간

한국 거주 기간 학생 수(%) 한국어 학습기간 학생 수(%)
6개월 미만 3(1.78) 6개월 미만 5(2.96)
6개월 이상-1년 미만 11(6.51) 6개월 이상-1년 미만 54(31.96)
1년 이상-2년 미만 91(53.85) 1년 이상-2년 미만 81(47.93)
2년 이상-3년 미만 56(33.14) 2년 이상-3년 미만 16(9.47)
3년 이상 8(4.73) 3년 이상 13(7.69)
합계 169(100) 합계 169(100)

<표 2>

학습변인들의 신뢰도 검정

고전수업의 설문 항목 원데이터 Cronbach’s α 표준화 데이터 Cronbach’s α
평소 고전에 대한 인식 0.821263 0.821252
고전수업교재에 대한 감동과 흥미 0.718043 0.718723
고전수업의 가치와 유용성 0.929557 0.926440
고전수업의 만족도 0.936572 0.930023

<표 3>

학습자의 고전에 대한 평소 인식

학습자 인식 국적 평균 평균차이 추정방법 분산가정 t 통계량 Pr > |t|
고전 흥미 한국인 3.2447 -0.2669 Pooled Equal -2.03 0.0437
외국인 3.5116 Satterthwaite Unequal -1.98 0.0487
고전 중요성 한국인 3.9149 -0.1723 Pooled Equal -1.51 0.1323
외국인 4.0872 Satterthwaite Unequal -1.52 0.1299
고전 필요성 한국인 4.0745 -0.0651 Pooled Equal -0.57 0.5673
외국인 4.1395 Satterthwaite Unequal -0.60 0.5516
독서 애호 한국인 2.4706 -0.3799 Pooled Equal -2.82 0.0054
외국인 2.8505 Satterthwaite Unequal -2.65 0.0092

<표 4>

고전수업 학습가치와 유용성 학습변인의 차이성 분석

고전수업 가치와 유용성 국적 평균 차이 =한국인 -외국인 추정방법 분산 t 통계량 Pr > |t|
표현력과 발표력 한국인 3.8404 0.0672 Pooled Equal 0.54 0.5915
외국인 3.7733 Satterthwaite Unequal 0.58 0.5599
논리적 사고력 한국인 4.0147 0.3044 Pooled Equal 2.07 0.0396
외국인 3.7103 Satterthwaite Unequal 2.27 0.0245
가치관 형성 한국인 3.8298 -0.0656 Pooled Equal -0.48 0.6293
외국인 3.8953 Satterthwaite Unequal -0.50 0.6162
고전수업 흥미 한국인 4.2941 0.5394 Pooled Equal 3.43 0.0007
외국인 3.7547 Satterthwaite Unequal 3.84 0.0002
수업 수월도 한국인 3,6170 0.4691 Pooled Equal 3.52 0.0005
외국인 3.1479 Satterthwaite Unequal 3.70 0.0003
영화감상의 유용성 한국인 4.3191 0.2552 Pooled Equal 2.04 0.0422
외국인 4.0640 Satterthwaite Unequal 2.23 0.0265

<표 5>

한국인과 외국인 학습자의 평소 고전인식에 대한 교차분석

학습자 인식변인 카이제곱 통계량 확률
고전 흥미 카이제곱 12.8006 0.0123
우도비 카이제곱 12.4823 0.0141
Mantel-Haenszel 카이제곱 4.0605 0.0439
고전중요성 카이제곱 5.0847 0.2787
우도비 카이제곱 5.6879 0.2237
Mantel-Haenszel 카이제곱 2.2686 0.1320
고전 필요성 카이제곱 7.8051 0.0990
우도비 카이제곱 8.7249 0.0684
Mantel-Haenszel 카이제곱 0.3288 0.5664
고전 독서 애호 카이제곱 16.3213 0.0026
우도비 카이제곱 16.4511 0.0025
Mantel-Haenszel 카이제곱 7.6455 0.0057

<표 6>

국적별 변인과 평소 고전에 대한 인식 등에 대한 판별분석

판별관측 변인 (고전에 대한 인식) 국적별
F (Pr>F)
고전에 대한 흥미 1.50 0.2222
고전읽기의 중요성 0.25 0.6159
고전읽기의 필요성 0.00 0.9461
고전의 독서 애호와 회수 7.95 0.0054

<표 7>

고전읽기 학습효과의 국적별 연관성

수업 필요성 제고 통계량 확률
카이제곱 15.7360 0.0034
우도비 카이제곱 18.2152 0.0011
Mantel-Haenszel 카이제곱 0.0001 0.9906
수업인식 제고 통계량 확률
카이제곱 8.8690 0.0645
우도비 카이제곱 9.6204 0.0473
Mantel-Haenszel 카이제곱 4.5193 0.0335

<표 8>

인식변인들과 표현력 및 발표력의 고전수업 필요성에 대한 분석

a. 회귀분석: 조정된 결정계수: 0.4746

변인 추정계수 표준오차 t 통계량 Pr > |t| 표준 추정계수
상수 1.39338 0.30933 4.50 <.0001 0
고전 흥미 0.09933 0.07644 1.30 0.1956 0.10152
고전 중요성 0.12434 0.10272 1.21 0.2278 0.11078
고전 필요성 -0.02012 0.09694 -0.21 0.8358 -0.01783
고전 독서량 -0.17056 0.08327 -2.05 0.0421 -0.14856
표현력과 발표력 0.64870 0.05630 11.52 <.0001 0.66545
b. 경로분석: 표현력과 발표력의 매개효과
변인 추정계수 표준오차 t 통계량 Pr > |t| 표준 추정계수
상수 2.31097 0.38235 6.04 <.0001 0
고전 흥미 -0.08216 0.10395 -0.79 0.4304 -0.08186
고전 중요성 0.32642 0.13769 2.37 0.0189 0.28349
고전 필요성 0.03949 0.13203 0.30 0.7652 0.03412
고전 독서량 0.09519 0.11322 0.84 0.4016 0.08083

<표 9>

인식변인과 논리적 사고력의 고전수업 필요성에 대한 분석

a. 회귀분석 : 조정된 결정계수: 0.5347

상수 1.01203 0.30058 3.37 0.0009 0
고전 흥미 0.00973 0.07186 0.14 0.8924 0.00995
고전 중요성 0.14877 0.09618 1.55 0.1238 0.13254
고전 필요성 -0.04234 0.09128 -0.46 0.6434 -0.03752
고전 독서량 -0.08774 0.07822 -1.12 0.2636 -0.07643
논리적 사고력 0.75683 0.05775 13.10 <.0001 0.71104
b. 경로분석 : 논리적 사고력의 매개효과
변인 추정계수 표준오차 t 통계량 Pr > |t| 표준 추정계수
상수 2.48467 0.35075 7.08 <.0001 0
고전 흥미 0.04796 0.09536 0.50 0.6157 0.05217
고전 중요성 0.24750 0.12631 1.96 0.0517 0.23471
고전 필요성 0.06321 0.12112 0.52 0.6025 0.05962
고전 독서량 -0.02782 0.10386 -0.27 0.7891 -0.02580

<표 10>

인식변인과 흥미의 고전수업 필요성 제고에 대한 분석

a. 회귀분석: 조정된 결정계수: 0.5735

변인 추정계수 표준오차 t 통계량 Pr > |t| 표준 추정계수
상수 0.75900 0.29513 2.57 0.0110 0
고전 흥미 0.06126 0.06923 0.88 0.3775 0.06231
고전 중요성 0.08270 0.09285 0.89 0.3743 0.07359
고전 필요성 0.02826 0.08742 0.32 0.7469 0.02502
고전 독서량 -0.04440 0.07523 -0.59 0.5559 -0.03874
고전수업에 대한 흥미 0.71397 0.05016 14.23 <.0001 0.73085
b. 경로분석 : 고전수업에 대한 흥미의 매개효과
변인 추정계수 표준오차 t 통계량 Pr > |t| 표준 추정계수
상수 3.00683 0.38900 7.73 <.0001 0
고전 흥미 -0.02932 0.10614 -0.28 0.7827 -0.02913
고전 중요성 0.35415 0.13975 2.53 0.0122 0.30786
고전 필요성 -0.03370 0.13403 -0.25 0.8018 -0.02915
고전 독서량 -0.08469 0.11519 -0.74 0.4632 -0.07220

<표 11>

학습 인식변인과 발표력의 수업 만족도 효과

a. 회귀분석: 조정된 결정계수: 0.5266

변인 추정계수 표준오차 t 통계량 Pr > |t| 표준 추정계수
상수 1.38912 0.44636 3.11 0.0024 0
고전 흥미 -0.00790 0.10522 -0.08 0.9403 -0.00658
고전 중요성 0.14583 0.13172 1.11 0.2709 0.11608
고전 필요성 -0.06401 0.12091 -0.53 0.5977 -0.05185
고전 독서량 -0.12727 0.12787 -1.00 0.3220 -0.08129
표현력과 발표력 0.72624 0.07109 10.22 <.0001 0.71614
b. 경로분석: 표현력과 발표력의 메개효과
변인 추정계수 표준오차 t 통계량 Pr > |t| 표준 추정계수
상수 2.44495 0.57258 4.27 <.0001 0
고전 흥미 -0.09865 0.14621 -0.67 0.5014 -0.08330
고전 중요성 0.39288 0.17927 2.19 0.0307 0.31713
고전 필요성 0.04668 0.16833 0.28 0.7821 0.03835
고전 독서량 -0.06843 0.17795 -0.38 0.7014 -0.04433

<표 12>

인식변인들과 논리적 사고력의 수업 만족도 효과

a. 회귀분석 : 조정된 결정계수: 0.5265

변인 추정계수 표준오차 t 통계량 Pr > |t| 표준 추정계수
상수 1.09764 0.39264 2.80 0.0062 0
고전 흥미 -0.10962 0.09167 -1.20 0.2346 -0.09128
고전 중요성 0.14439 0.11452 1.26 0.2103 0.11493
고전 필요성 -0.04819 0.10552 -0.46 0.6488 -0.03904
고전 독서량 -0.13239 0.11159 -1.19 0.2383 -0.08456
논리적 사고력 0.88452 0.06815 12.98 <.0001 0.79515
b. 경로분석 ; 논리적 사고력의 매개효과
변인 추정계수 표준오차 t 통계량 Pr > |t| 표준 추정계수
상수 2.33697 0.52146 4.48 <.0001 0
고전 흥미 0.03401 0.13316 0.26 0.7989 0.03150
고전 중요성 0.32421 0.16327 1.99 0.0497 0.28707
고전 필요성 0.02045 0.15330 0.13 0.8941 0.01843
고전 독서량 -0.05039 0.16206 -0.31 0.7565 -0.03581

<표 13>

인식변인들과 고전수업 흥미의 수업 만족도 효과

a. 회귀분석 : 조정된 결정계수: 0.5265

변인 추정계수 표준오차 t-통계량 Pr->-|t| 표준 추정계수
상수 1.29479 0.40899 3.17 0.0021 0
고전 흥미 0.02574 0.09569 0.27 0.7885 0.02106
고전 중요성 -0.11401 0.11870 -0.96 0.3391 -0.08975
고전 필요성 -0.01867 0.10917 -0.17 0.8646 -0.01496
고전 독서량 고전수업에 0.01135 0.11587 0.10 0.9221 0.00720
대한 흥미 0.83888 0.06370 13.17 <.0001 0.81863
b. 경로분석 : 고전수업에 대한 흥미의 매개효과
변인 추정계수 표준오차 t-통계량 Pr->-|t| 표준 추정계수
상수 2.66380 0.58126 4.58 <.0001 0
고전 흥미 0.00105 0.14947 0.01 0.9944 0.00087911
고전 중요성 0.38216 0.18146 2.11 0.0377 0.30829
고전 필요성 -0.04955 0.17046 -0.29 0.7719 -0.04070
고전 독서량 -0.09020 0.18077 -0.50 0.6189 -0.058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