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소연, 최금진(2006). “공학기본소양과목의 학습성과에 관한 연구”, 공학교육연구 9(1), 75-88.
김경민(2017). “컴퓨팅 사고력 향상을 위한 정보소양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0(4), 59-66.
김동욱(2017). “초등예비교사의 과학 동기유발과 과학적 소양의 역량에 대한 인과 구조”, 초등과학교육 36(3), 208-218.
김문정(2016). “간호대학생의 인문학적 소양과 공감능력이 윤리적 가치관에 미치는 영향”, 수산해양교육연구 28(6), 1865-1874.
김병만, 윤정진, 김성원(2017). “영화를 활용한 플립러닝 기반의 학제 간 융합 창의성 증진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창의성과 융합인재소양에 미치는 효과”,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7(7), 37-47.
김유신, 윤상근, 안호영(2012). “공학소양과 인문교육의 통섭”, 수산해양교육연구 24(2), 346-354.
김태훈(2009). “예비 초등교사의 교직 소양 함양을 위한 권장도서 연구”, 공주교대논총 46(1), 53-80.
김형숙(2010). “대학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미적소양교육의 재개념화”, 미술교육논총 24(1), 51-92.
남영(2018). “공학소양교육 사례로서의 DNA 구조 발견”, 공학교육연구 21(6), 54-62.
남지연(2020). “체험중심의 창의⋅인성 역량강화 교양교육 - 융합적 접근 수업사례”, 교양교육연구 14(1), 한국교양교육학회, 239-257.
박진원, 백현덕, 심수만, 정보현(2004). “공과대학의 소양교육 현황 분석-홍익대학교 과학기술대학을 중심으로-”, 저널명 7(3), 한국공학교육학회, 19-31.
박현희(2017). “교양 사회과학에서 민주적 시민성 함양을 위한 체험과 협력 기반 교육 방법”, 교양교육연구 11(4), 한국교양교육학회, 41-80.
손승남, 남기호(2019). “소양교육의 관점에서 본 퇴계 [성학십도]의 재음미”, 교양교육연구 13(2), 한국교양교육학회, 313-330.
송성수(2012). “통섭교육으로서 공학소양교육의 위상과 과제”, 공학교육연구 15(1), 18-25.
안미영(2017). “인문소양 함양을 위한 교과 연계 대면 첨삭 -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글쓰기랩 운영을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1(2), 한국교양교육학회, 255-276.
오만덕, 이승희(2011). “대학생 직업소양능력 진단 및 지원 프로그램 적용: D 전문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4), 497-506.
유지혜, 이영희(2019). “대학 교양교과 온라인 융합과학 프로그램이 이공계열 학생에게 미치는 효과 분석: 과학의 본성(NOS) 및 융합인재소양(STEAM Literacy) 중심으로”, 과학교육연구지 43(2), 207-226.
윤승준, 권준원, 김수연, 김지영, 주현재, 최예정(2019). “대학 교양교육 현황 조사”, 연구보고서 RR - 2019 - 00978, 한국교양기초교육원.
이연주, 이동욱, 유지성, 전종희(2020). “대학 소양교육의 현황과 과제 연구보고서” RR - 2020 - 8 - 703, 한국교양기초교육원.
이지성(2019). 에이트-인공지능에 대체되지 않는 나 만들기, 차이정원.
이창훈(2014). “대학의 인문 소양교육과 경찰의 직업능력과의 관계 연구”, 한국치안행정논집 11(3), 107-138.
임수진(2020). “무용소양 수준의 유형화 연구”, 한국무용학회지 19(4), 77-86.
장상필, 김지일(2015). “비교과 교육을 통한 융합적 사고력 증진방안 연구: 대학생의 다문화 수용성, 인문학적 소양을 중심으로”, 교육종합연구 13(4), 135-156.
정연재, 주소영(2019). “인문학적 소양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5), 453-472.
정은정(2015). “공학계열 대학생들의 공학소양교육 요구분석”, 공학교육연구 18(5), 22-31.
정치봉(2002). “대학의 기초 수학 소양 교육”, 순천향자연과학연구논문집 8(2), 133-141.
최윤식(2020). 당신 앞의 10년-미래학자의 일자리 통찰. 김영사.
최혜진 (2016). “대학에서의 체험기반 교양교과목 운영 모델 연구”, 교양교육연구 10(2), 한국교양교육학회, 193-218.
함복희(2018). “대학 교양과정에서 건축학부생의 인문학적 소양강화 필요성 고찰”, 우리말교육현장연구 12(2), 149-172.
홍선희, 우애자(2009). “고등학생과 대학생의 과학적 소양과 비과학적 신념 조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9(3), 331-346.
Harari, Y. N.(2017). 호모데우스:Homo Deus,
김명주 역, 김영사.
Patton, M. Q(2002). Two decades of developments in qualitative inquiry:A personal experiential perspective,
Qualitative Social Work 1(3), 261-283.
Plato, (2005). 국가⋅정체, 박종현 역, 서광사.
Schwab, K(2016).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송경진 역(2016), 새로운 현재.
World Economic Forum. (2016). The future of jobs:Employment, skills and workforce strategy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Global Challenge Insight Re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