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 General Edu Search

CLOSE


Korean J General Edu > Volume 16(1); 2022 > Article
비교과프로그램 모듈화를 통한 역량기반 교양교과목 개발 및 운영에 관한 사례연구 -신입생 대학생활 적응을 위한 ‘G-MAP설계도’를 중심으로

Abstract

본 연구는 W대학교의 비교과 프로그램을 모듈화한 역량기반 교양교과목 ‘G-MAP설계도’ 개발⋅운영한 사례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교양과목 및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현황 분석과 교수자 포커스 인터뷰 및 교육수요자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교과목은 신입생에게 대학생활 전반에 대한 이해력과 적응력 증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며, 이를 계기로 입학 초 주 2회 학과장과의 집중이수제 수업운영을 통해 대학생활 적응이 어려운 학생을 조기에 발견하여 적절한 지도가 가능하며, 신입생 중도탈락을 예방하는 기회가 마련됨, 둘째, 대학내 교양교육전담기구 조직이 구성되지 않은 대학에서도 전담인력양성과 교양교과 졸업이수 학점 확대를 위한 교양교과목 개발에 대한 실현 가능한 사례가 제시 됨. 셋째, 대학차원에서 교양교육 중요성에 대한 인식 고취를 위하여 교양교과목 담당 교수자 및 전공담당 교수자가 함께 운영 가능한 실질적 사례연구 공유로 교양교육의 확장성이 제시됨. 넷째, 비교과 프로그램 모듈화를 통한 역량기반 교양교과목 개발과정 및 절차 소개로 향후 대학 교양교육 운영의 다각화 및 발전적 방향 모색에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한 점. 다섯째, 3년간의 종단연구로 교양교육에 대한 교육성과 및 효과성 확대로 실현 가능한 사례를 제시한 점에 중요한 교육적 의미를 둔다.
이에 본 연구는 전문대학 일개 사례연구의 한계점이 있을 수 있으나, 향후 지속적인 연구 자료로 활용될 가치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case study of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the ‘G-MAP blueprint’, a competency-based liberal arts subject that has modularized the non-curricular program of W University.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we conducted an analysis of the operation status of liberal arts and non-curricular programs, focus interviews with professors, and a satisfaction survey of education consum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course is absolutely necessary for new students to improve their understanding and adaptability to college life in general. Appropriate guidance is available, and opportunities are provided to prevent dropout of freshmen,
Second, a feasible case of developing liberal arts subjects for nurturing dedicated human resources and expanding the number of credits required for graduation from liberal arts is presented even at universities that do not have an organization dedicated to liberal arts education within the university.
Third, in order to rais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liberal arts education at the university level, the scalability of liberal arts education is suggested by sharing practical case studies that can be operated together by professors in charge of liberal arts subjects and professors in charge of majors.
Fourth, by introducing the competency-based liberal arts development process and procedure through modularization of the non-curricular program, it presented important basic data for diversifying the operation of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and seeking developmental directions in the future.
Fifth, it has important educational significance in that it presents a case in which it is possible to expand the educational performance and effectiveness of liberal arts education through a three-year longitudinal study.
Therefore, although this study may have limitations as a case study at a junior college,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of value to be used as a continuous research data in the future.

1. 서론

오늘날 대학교육은 4차산업혁명시대에 따른 새로운 패러다임 변화에 직면하면서 교양교육과정 및 비교과 교육과정의 중요성을 새롭게 인식하고 있다. 고도의 기술발전에 따른 급속한 변화의 흐름에 대비하여 이러한 시대변화를 이끌어갈 수 있는 융⋅복합적이고 창의적인 사고를 가진 새로운 인재 육성을 위한 역량기반 교육과정으로의 전환이 모든 대학의 공통된 화두일 것이다. 또한 최근 교양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기존의 내용과 방법을 넘어서 융복합 교육을 통해 창의적인 문제해결 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한다는 주장과 아울러 그동안 대학 교양교육이 저학년에서는 문제해결에 필요한 기본적인 소양을 습득하고, 고학년에서는 문제해결에 실제 적용기회를 제공하는 방식의 연계형 학습을 추구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민충기, 2017: 294). 또한 ‘무엇을 아는가’에서 ‘무엇을 실제로 할 줄 아는가’로 대학교육의 패러다임이 바뀌면서 전공 및 교양에 상관없이 모든 학생이 갖추어야 할 기본능력으로서 지식, 기술, 태도, 동기를 포함한 복합적이고 종합적인 핵심역량을 강조하고 있다(박은숙, 2021: 149). 이러한 흐름속에 한국의 대학들은 대학교육에 있어서 다양한 측면에서 심도깊은 연구가 필요함을 인식하고, 나아가 교원의 지능정보 역량, 융합적⋅통합적 교육과정 재구성 역량, 협업 및 의사소통 역량, 네트위크역량, 공동체 역량, 감성 역량 등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임종헌⋅유경훈⋅김병찬, 2017:15). 아울러 대학 고유의 교육이념과 철학을 기반으로 사회가 요구하는 인재를 양성하고 나아가 자신의 삶을 주관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사회인 양성을 위해 대학별 인재상과 핵심역량을 설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교육과정을 개발, 편성 및 운영, 평가하고자 많은 교육적 수고와 논의를 거듭하고 있다.(김순임, 이효성, 김현정, 서명희, 2013; 박수정, 소영수, 2016; 박혜정, 2018; 손종현, 지정임, 2013; 양영근, 정원희, 2015; 유기웅, 신원석, 2012; 정선호, 2016).
하지만 현재의 대학들은 입학자원이 급감하는 현실 속에도 신입생이 대학생활에 빠르게 적응하여 성공적인 대학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체계적인 교육과정 연구 및 다양한 교과목 개발이 더 시급히 요청되고 있다. 특히 선행연구에서 나나탄 결과를 살펴보면 비교과 활동의 참여가 학업지속 및 대학생활만족(신소영, 권성연, 2013; 장형유, 노미진, 2011; White & Gager, 2007)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보고가 있다. 또한 Kuh(1995)는 비교과 활동의 참여는 비판적 사고, 인지적 유연성, 반성적 사고 등과 같은 고차적 사고 능력 개발, 지식의 습득 및 적용, 인도주의, 타인에 대한 관심, 자신감 및 자아정체성 확립, 대인관계 개발, 의사결정능력, 진로 준비 등과 같은 실제적 능력에 기여할 수 있으며, 대학 차원에서는 중도탈락률의 감소와 교육적 성과에 관련이 있다는 연구가 있다. 또한 배상훈, 김혜정(2012)은 비교과활동 참여가 대학교육의 성과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인이라고 밝히고 있다. 이에 Schroeder(1999)는 성공적인 학습을 위해서는 정규교육과정과 비공식적 학습경험 즉, 비교과활동을 잘 연결할 수 있는 대학의 노력이 중요하다고 지적한 바 있다. 하지만 많은 대학에서 학생들의 비교과 활동 경험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지원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까지 비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환경이 갖추어져 있지는 않은 실정이다(양근우, 2015: 116). 특히 전문대학은 사회에서 요구하는 전문 직업인을 양성하기 위해 전공위주의 교육과정을 통해 직무수행 능력과 직업기초능력을 함양하고 있으나, 전공교과로 사회에서 요구하는 직업기초능력을 충분히 함양하기에는 분명한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교양교과목 및 교육과정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음은 그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현실이지만 전문대학에서 교양교육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은 매우 낮은 편이다. 나아가 현재 고등교육에서는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체계화하여 미래사회에 성공적인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학습자들에게 필요한 핵심역량을 길러 대학별 교육목표를 달성하여 설정한 인재상을 양성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상황속에서 W대학교는 2018년부터 대학 차원에서 그동안 다양한 국고 사업으로 진행되었던 비교과 활동 프로그램을 고도화하여, 정규 교양교육과정으로 체계화 하기 위하여 비교과 프로그램 모듈화를 통한 역량기반 교양교과목을 개발 운영하여 교육성과 및 효과성을 극대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난 2017년 4차 산업혁명시대에 따른 전문대학 교양교육의 개선방향 연구를 토대로 신입생 대학생활 적응을 위한 교양교과목을 개발 운영하고자 그동안 학교에서 진행해 오던 비교과 프로그램 모듈화를 통한 역량기반 교양교과목 ‘G-MAP설계도’를 연구자가 직접 개발하고, 이를 18개학과 1학년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2019학년 1학기 시범 운영에 이어 2020학년도 2학기와 2021학년도 1학기에 걸쳐 총 3년간 3학기를 운영한 교양교과목 ‘G-MAP설계도’ 사례연구이다. 논자는 본 사례연구를 통하여 전문대학 신입생들에게 대학생활 전반에 대한 이해력과 적응력 증진을 통하여 중도탈락을 예방하고, 역량기반 교양교육의 발전을 위해 실질적 사례 연구에 대한 개발 절차 및 운영 방법을 공유함으로써 향후 대학 교양교육의 지속적인 연구에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하며, 본 연구가 역량기반 교양교육의 발전적 방향 모색 및 교양교육의 다각화 모색에 중요한 활용자료를 제공한 기여점이 있다고 하겠다.

2. 이론적 배경

2.1. 교양교육의 목적 및 개발 방향

2.1.1. 교양교육의 목적 및 필요성

급격한 사회 및 환경적인 변화와 정부 주도의 대학교육 구조조정 등으로 인해 대학들 사이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시대적 상황속에서도 21세기 미래 사회를 성공적으로 살아가는데 필요한 대학교육으로는 어느 특정 분야에 대한 전공교육보다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교양교육을 통해서 함양될 수 있다. 이에 전문대학에 있어서 교양교육은 그 역할과 기능의 중요성이 매우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며, 아울러 직업교육에 대한 다양한 성과와 질에 대한 논의들이 이루어지고 있는 시점이다. 현재 전문대학교육은 기존 SCK사업으로 직업교육의 현장성 강화 및 대학 경쟁력 확보 등 다양한 성과를 제시하고 있으나, 직무중심의 실습(실기) 교과목이 강화됨으로써 상대적인 전공기초 및 교양 교과목의 약화가 한계점으로 드러나고 있는 상황이다. 반면 한국교양기초교육원은 「대학 교양기초교육의 표준 모델」에서 교양교육의 이념과 함께 교양기초교육과정의 기본 모형을 <표 1>과 같이 제시 하고 있다(정승원외, 2020).
<표 1>
교양기초교육의 목표와 교양과정 내의 담당영역(한국교양기 초교육원, 2016)
목표 교육과정 내의 담당영역
가. 학문탐구를 위한 보편적 문해능력 함양 기초교육 기초교육
나. 비판적 사고능력, 합리적 의사소통능력 함양 기초교육 기초교육
다. 인간과 세계에 대한 바람직한 가치관 정립 교양교육 교양교육
라. 융합적 사고 및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 함양 교양교육 교양교육
마. 공동체의식, 시민정신 함양 교양교육/ 소양교육 교양교육/소양교육
바. 심미적 공감능력 함양 교양교육/소양교육 교양교육/소양교육
<표 1>과 같이 한국교양기초교육원에서는 미래사회에 다수의 새로운 직무분야가 나타날 것으로 예측되는 상황에서 전공교육만으로는 변화하는 미래의 직업생활에 대비할 수 없으므로 새로운 지식을 창출할 수 있는 맥락중심의 사고를 키우기 위해서 기초교육, 교양교육, 소양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에서는 대학의 자율성을 제고하고, 전반적인 혁신 기반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전문대학이 자율적으로 혁신하고 경쟁력을 강화하여 고등직업교육의 질을 제고함으로써 미래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고등직업교육의 체제 혁신과 함께 교양교육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2주기 대학기본역량진단에서 교양교육과정은 2단계 평가로 대학의 부담이 완화되었으나, 3주기(2021년) 대학기본역량진단 1.2단계가 통합되어 ‘교양교육과정의 체제 구축 및 운영(6점)이 추가됨에 따라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전반적 점검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대학교육의 패러다임 변화와 고등직업교육 체제를 혁신하기 위해서는 각 대학이 대학의 건학이념, 교육목적, 인재상에 기반하여 학풍과 지향점을 고려한 핵심역량 달성을 위한 교양교육과정 개편의 필요성이 시급하게 요청되고 있다.
특히 전문대학은 복잡한 사회에서 성공적인 삶을 살아가는 데 필요한 핵심역량과 직업인이 직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는데 필요한 직업기초능력을 모든 직업인이 공통적으로 갖추어야 할 능력이므로 핵심교양교과로 편성되어야 하지만 직업기초능력 자체를 대학의 핵심역량과 동일시해야 할 필요는 없다. 이는 직업기초능력에 관한 선행연구들에서 밝히고 있듯이 직업기초 능력은 ‘개인이 입직을 위해 반드시 갖추어야 할 능력’을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류지은 외, 2016: 54). 따라서 전문대학 역량기반 교양교육과정을 개발하는데 있어서는 직업기초능력과 교과를 포함하여 대학의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교양교육과를 종합적으로 개발하는 것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이수현, 2020:14(2)). 또한 일반대학에 비하여 비교적 짧은 수업연한과 전공중심의 교육운영체계 등으로 교양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은 편은 아니지만, 미래사회를 살아가는데 반드시 필요한 핵심역량 함양을 위해서는 전인적 교육으로서 전문대학 교양교육의 역할이 반드시 강화되어야 한다.
이에 대부분의 전문대학은 현실적으로 교양교육 전담기구 및 인력이 부족하고, 교양교육 교과목이나 이수학점이 종합대학에 비하여 매우 낮으며, 취업 및 직업교육과 교양교육 간의 관계에 대한 논의 부족 및 각종 대학 평가나 기업의 요구 반영에 급급한 실정이다.
하지만 이러한 상황속에서도 전문대학의 교양교육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교양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이나 정책, 교양교육목표 등을 명확히 수립할 수 있는 전담기구와 전담인력이 필요하고, 대학차원에서 교양졸업이수학점 확대 및 이에 따른 교양교과목 개발이 최우선 과제이다.

2.1.2. 교양교육의 내용 및 개발 방향

W대학교는 대한민국의 교육이념과 원불교 정신에 바탕하여 과학과 도학을 겸비한 전인교육으로 실용적 지식과 기술을 연마시키고 공동체 구성원으로서 덕성을 함양하여 국가와 사회에 봉사하는 인재양성을 교육목표로 한다. 이에 ‘인격도야’, ‘기술연마’, ‘성실봉사’라는 교훈으로 ‘인문학적 융합기초 직업능력 함양교육’, ‘창의적 문제해결 실무능력 증진 교육’, ‘창조적 글로벌 시민성 배양 교육’, ‘실천적 사회적 책무성 강화 교육’ 등의 4가지 교육목표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교육목표 달성을 위하여 비교과와 교양교과 그리고 산업체 맞춤형 직무 교육과정 및 글로벌 특성화 교육 시스템인 ‘글로윙(GloWing)’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빠르게 변화하는 세계화, 정보화 사회에 대비할 글로벌 인재를 양성하고 있다(최미숙, 2017: 667).
또한 최근 10여년간 ‘세계적 수준의 전문대학’, ‘산학협력선도전문대학육성사업’, ‘전문대학기관평가인증’, ‘교육역량강화사업’, ‘특성화 전문대학 육성사업’, ‘세계로 프로젝트’ ‘혁신지원사업’, ‘바이오헬스(BH) 공유대학사업’ 등 대학 핵심사업 전분야를 석권하는 그랜드 슬램을 달성하면서 외적 성과와 아울러 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마음공부 인성교육 및 LTM기반 교육 시스템 구축 및 글로윙 프로그램을 연계한 학과의 차별화된 교육목표 및 인재상 수립을 위한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운영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교양기초교육이란 대학교육 전반에서 요구되는 기본적 지식 및 자율적 학구능력 함양과 아울러 인간, 사회, 자연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바탕으로 올바른 세계관과 건전한 가치관을 확립하는 데 기여하는 중요한 교육이다. 그러므로 대학에서 교양교육은 학업분야의 다양한 전문성을 넘어서서 모든 학생들에게 요구되는 보편적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W대학교는 대학의 인재상인 지식정보화기반 글로벌 스마트사회를 선도하는 인문학적 소양과 창의융합역량을 겸비한 창조적 공익형 전문 직업인인 “G-MAP Elit(Globat - MAP Elit)”를 양성하기 위하여 앞서 제시한 4가지 교육목표 달성으로 대학생활의 적응력을 높일 수 있도록 교양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W대학교 교양교육의 목적 및 세부내용은 <표 2>와 같다.
<표 2>
W대학교 교양교육의 목적과 목표 및 세부내용
교양교육의 목적
우리대학의 건학이념과 교육목표를 구현하기 위해 “세계적 수준의 창조적 직업교육 특성화로 국제경쟁력 대학으로의 도약” 이라는 비전을 바탕으로 우리대학의 인재상인 전인적 인재, 창의융합 인재, 공익형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한다.
세부내용
교양교육의 혁신으로 대학3대 인재상과 4개의 핵심역량 즉 인문역량, 창의융합역량, 글로벌 역량, 공동체 역량 함량을 높일 수 있도록 지원 인간과 사회에 대한 이해를 갖추기 위해 인문학과 사회과학, 자연과학에 대한 기초지식과 이를 통합할 수 있는 사유능력 및 창의적 교육 혁신 실천 한 분야의 지식을 다른 인접분야와 유기적으로 연계-융합-교차하여 새로운 전문성과 융복합 능력을 창출할 수 있는 혁신적 교양 교육과정 실천
<표 2>와 같이 W대학교는 “G-MAP Elit(Globat - MAP Elit)”를 양성하기 위하여 <표 3>과 같이 대학의 교육목표와 연계한 교양교육 목표를 수립하였다.
<표 3>과 같이 W대학교의 교양교육목표 달성을 위하여 한국교양기초교육원에서 표준모델로 제시한 기초교육, 교양교육, 소양교육으로 구분하여 대학의 핵심역량기반의 교양기초 교육과정을 <표 4>와 같이 수립하여 체계적인 교양교육 운영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표 3>
W대학교 교양교육 목표
대학인재상 대학의 교육목표 교양교육목표
전인적 인재 01. 인문학적 융합 기초 직업능력 함양 교육
▪인문학적 소양을 기반으로 바른 인성과 가치관을 확립하며 ICT를 활용한 정보를 습득함으로써 미래사회에 적응하고 대처할 수 있는 역량 함양
▸인간, 사회, 자연에 대한 이해 및 지식을 탐구하는 인재양성
창의융합 인재 02. 창의적 문제해결 실무능력 증진 교육
▪창의적 사고에 기반하여 문제를 해결하며 다양한 지식과 기술을 융합적으로 분석하여 새로운 가치를 역동적으로 창출할 수 있는 역량 함양
▸창의력, 융합능력, 문제해결능력을 갖춘 인재양성
공익형 인재 03. 창조적 글로벌 시민성 배양 교육
▪글로벌 의사소통능력을 함양하여 글로벌 사회환경에 선제적으로 적응하며 성숙하고 긍정적인 시민의식을 주도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역량 함양
▸타문화 이해를 바탕으로 국제사회에서 소통할 수 있는 글로벌 인재양성
04. 실천적 사회적 책무성 강화 교육
▪유연하고 성실한 태도를 바탕으로 타인과의 원만한 관계유지와 협업 관계를 이끌며 공동체 발전을 위해 사회에 공헌할 수 있는 역량 함양
▸균형잡힌 인성 및 직무능력을 갖춘 인재양성
<표 4>
W대학교 교양교육 추진 전략 및 과제
교양교육목표 기초소양교육을 통해 인성, 글로벌, 창의융합, 공동체 역량을 갖춘 인재 양성
추진 전략 교양교육과정 지원 체제 강화 핵심역량 제고 교양교육과정 체계화
▪ 교양교육 운영지침 개정
-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과정 개발 체계 정립
- 교양교육 질관리 체계 정립
▪ 교양교육 조직 강화
- 교양교육과정개발운영위원회 구성
- 교양교육과정 운영 교수 역량 강화
▪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과정 개발
- 교양교육과정 개발 절차 준수
- 핵심역량 기반 비교과 연계
▪ 교양교과목 강의안 표준화
- 교과목 프로파일 및 강의 계획서 도출
- 교양교육 온라인 강좌 개발
전략 과제 핵심역량 기반 기초교육 강화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 강화 핵심역량 기반 소양교육 강화
▪ 문해 및 의사소통능력 함양
- 리터러시 교육
- 언어활용교육
▪ 직업기초능력 함양
- 직무기초 교육
▪ 올바른 가치관 정립
- 인간 세계 가치관 확립교육
▪ 창의융합적 사고 능력 함양
- 창의적 문제해결 교육
- 융합지식 가치창출 교육
▪ 공동체의식함양
- 소통과 창업교육
- 신입생 대학정착 지원교육
▪ 인성함양
- 나눔과 배려 실천교육

2.1.3. 교양교육과정 개발 및 핵심역량 모델

W대학교 핵심역량 개발팀은 ADDIE 모형기반의 교양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해서 <표 5>와 같은 절차에 의하여 교양교육과정을 수립하고, 구성원과의 공유를 통한 종합적인 의견과 전문가들 의견을 검토한 결과를 반영하여 [그림 1]과 같이 핵심역량 모델을 개발하였다.
<표 5>
W대학교 교양교육과정 개발 절차
단 계 세부 내용
분석 (A) 1. 환경분석 및 요구분석 1.1. 내⋅외부 환경분석
1.2. 수요자 요구분석
1.3. 환경 및 요구분석 시사점 도출
2. 대학 인재상 및 교육목표 확인 2.1. 대학의 비전 및 교육목표 확인
2.2. 교양교육과정개발운영위원회 구성
설계 (D) 3. 교양교육목표 및 정책 수립 3.1. 교양교육목표 수립
3.2. 교양교육정책 수립
4. 핵심역량 도출 및 역량체계 구성 4.1. 핵심역량 및 하위역량 도출
4.2. 행동지표 도출
4.3. 핵심역량 체계 타당성 검증
5. 교양교육영역 설계 5.1. 기초교육, 교양교육, 인성소양교육 영역 설정
개발 (D) 6.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과목 도출 6.1. 하위역량별 교과목 도출
6.2. 교양교육과정 편성표 작성
7. 학습성과 평가체계 설정 7.1. 학습성과 평가도구, 평가방법, 평가체계 구성
7.2. 학습성과 역량달성 평가모델 구성
7.3. 학습성과별 평가체계 설정
8. 교과목 프로파일 작성 8.1. 교과목 프로파일 작성
9.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과정 로드맵 9.1. 핵심역량 기반 교육과정 로드맵 구성
- 핵심역량별 정규/비정규과정을 포함하여 로드맵 작성
운영 (I) 교육과정 운영 핵심역량기반 교양교육과정 운영
평가 (E) 교육성과 평가 및 분석 핵심역량 학습성과 평가 및 분석
[그림 1]
W대학교 핵심역량 모델
kjge-2022-16-1-315-gf1.jpg
이어 4대 핵심역량에 대한 정의 및 이에 따른 하위역량 정의서를 <표 6>과 같이 완성하였다.
<표 6>
W대학교 핵심역량 및 하위역량 정의서
핵심역량 정의 하위역량 정의 구성요인
인문역량 인문학적 소양을 기반으로 바른 인성과 가치관을 확립하며 ICT를 활용한 정보를 습득함으로써 미래사회에 적응하고 대처할 수 있는 역량 인문학적 소양 인간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문화적 소양(교양)을 함양하여 올바른 가치관을 확립할 수 있는 능력 • 인간이해
• 문화적 소양(교양)
• 올바른 가치관
ICT 문해 능력 ICT(정보통신기술)로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수집⋅분석⋅활용하고 윤리적으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능력 • ICT 기술능력
• ICT 활용능력
• ICT 윤리적 정보관리능력
창의융합 역량 창의적 사고에 기반하여 문제를 해결하며 다양한 지식과 기술을 융합적으로 분석하여 새로운 가치를 역동적으로 창출할 수 있는 역량 창의적 문제해결 기존 사고의 유형에서 벗어나 새롭고 다양한 시각으로 아이디어를 창출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 • 비판적 사고
• 창의적 아이디어 도출
• 문제해결능력
융합적 사고능력 다양한 분야의 지식과 기술을 논리적으로 분석하고 통합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실천할 수 있는 능력 • 개방성과 유연성
• 통합적 사고력
• 가치창출능력
글로벌 역량 글로벌 사회환경에 선제적으로 적응하며 성숙하고 긍정적인 시민의식을 주도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역량 글로벌 사회적응력 진취적인 도전정신으로 글로벌 의사소통능력을 함양하여 글로벌 사회에 적응하고 주도할 수 있는 능력 • 글로벌 도전정신
• 외국어활용능력
• 글로벌소통능력
글로벌 시민의식 글로벌 사회에 적합한 문화적 다양성을 증진하여 성숙한 글로벌 시민으로 사고하고 실천할 수 있는 능력 • 다문화 포용력
• 국제사회 문제인식
• 참여와 실천능력
공동체 역량 유연하고 성실한 태도로 타인과 원만한 관계유지와 협업 관계를 이끌며 공동체 발전을 위해 사회에 공헌할 수 있는 역량 대인관계 능력 조직에서 갈등을 원만하게 해결할 수 있는 의사소통능력과 조직 발전을 위한 리더십과 팔로우십을 발휘할 수 있는 능력 • 관계형성 및 갈등관리
• 의사소통능력
• 리더십과 팔로우십
사회공헌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써 지역사회 문제를 공감하며 적극적으로 나눔과 배려를 실천하여 사회에 공헌할 수 있는 능력 • 공감능력
• 나눔과 배려
• 봉사실천력

2.1.4. 비교과 및 교양교육 운영현황

대학에서는 정부의 제정지원사업의 종류와 규모가 늘어나면서 비교과교육과정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이는 재학기간 중 정규교육과정에서 제공하지 못하는 학생의 자기계발 노력을 지원하고 지도하는 정기적인 교육프로그램으로 최근 다양한 비교과 교육과정이 개발 운영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W대학교는 세계적 수준의 Global-MAP Elite 교육체계 구축 및 확산을 목표로 <표 7>과 같이 정규와 비정규 교육과정을 구분하여 운영하고 있다.
<표 7>
정규와 비정규 교육과정
과정 구성 세부 내용
정규 교양교과 ▸교양 및 소양과 직업관 확립을 위해 대학의 인재상과 교육목표를 반영한 핵심역량 달성에 필요한 교과목
전공교과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전공역량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행동지표별로 학생이 도달해야 하는 기준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학습성과를 도출하는데 필요한 교과목
특화교과2) ▸글로벌특화, TDC(융복합)특화로 구분
- 글로벌특화 : 글로벌 분야 교과목(교과목 선택)
- TDC(융복합)특화 : 전공과 관련된 4차 산업분야와 연관된 교과목 2개 이상의 학제⋅학과 간 협업을 통하여 도출된 융⋅복합 교과목
비정규 비교과 ▸대학 및 학과의 교육목표 달성을 지원하기 위한 정규과정의 교양, 전공, 특화교과와 연계된 교육 프로그램
▸혁신지원사업, LINC+사업 각각의 특화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표 7>에서와 같이 W대학교는 정규교과에서 얻게 된 학문적 지식 이외에 학생 개개인의 역량을 발굴하고 진로계획에 따라 필요한 역량을 높이기 위하여 비정규교육과정을 수행하여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에 2019학년도에 운영된 비교과 프로그램 현황을 살펴보면 <표 8>과 같다.
<표 8>
2019학년도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현황
구분 교수학습센터 취창업지원팀 산학실습팀 LINC+사업단 학생상담센터
프로그램 수 12 5 3 10 14 44
운영 시기 1학기 5 2 1 9 17
2학기 6 3 2 9 5 25
1, 2학기 1 (산업체전문가활용) 1 (융합실습(방학) 1 0 0 3
프로그램 운영 목적 취창업 0 5 0 6 0 11
학습 5 0 0 0 0 5
직무 6 0 3 4 0 13
학교생활 1 0 0 0 2 3
정서적 지원 0 0 0 0 12 12
역량 인문 5 0 0 0 2 7
창의융합 7 5 3 10 0 25
글로벌 0 0 0 0 0 0
공동체 0 0 0 0 12 12

※ 행정부서에서 제공된 비교과프로그램 운영만 분석됨

<표 8>에서와 같이 비교과프로그램은 주로 행정부서를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이러한 비교과교육과정을 통합 관리하여 학생들의 역량 강화 및 원광교육 3색인증과 연계 할 수 있는 전산 시스템을 구축하여 비교과 교육과정 이력 및 성과 관리를 위한 통합 관리 및 학생, 교수, 수요자 요구에 맞는 질 높은 비교과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을 확대하고 있다(원광보건대 혁신교육원, 2020).
또한 최근 3년간 교양교과목 이수학점 현황을 살펴보면 <표 9>와 같다.
<표 9>
W보건대학교 최근 3년간 교양과목 이수학점 현황표
학년제 총졸업학점 졸업가능최소 교양학점 졸업가능최소 교양필수학점
2018 학년 2019 학년 2020 학년 2018 학년 2019 학년 2020 학년 2018 학년 2019 학년 2020 학년
2 80 75 75 8 8 8 8 8 8
3 120 112 112 8 10 10 8 10 10
4 140 130 130 25 25 16 14 16 16
<표 9>에서와 같이 2019년부터 총 졸업학점이 5~10학점 줄어든 반면 교양학점은 2학점이 증가한 것을 볼 수 있다. 이에 대한 세부 내용은 <표 10>과 같다.
<표 10>
대학지정 필수 개설 교과목
영역 과 목 명 학점 시수 비고
이론 실기
교양 교양필수 종교와 원불교 2 2
생활영어 I 2 2 온라인 수업(1:4)
생활영어 II 2 2 온라인 수업(1:4)
G-MAP설계도(※1학년 1학기 편성) 2 2 모듈식수업
교양선택 사회봉사 2 2 봉사활동 30시간 Pass/Fail 과목
교양 또는 전공 직업기초능력 Ⅰ 2 2
취⋅창업 교과목 2 2
캡스톤 디자인 Ⅰ 2 2 Pass/Fail 과목
<표 10>과 같이 2019학년도부터 대학지정 필수 개설 교과목 1학년 1학기에 2학점 교양필수 교과목이 새롭게 개설되었다. 이 교과목 내용구성은 그동안 다양하게 진행되어온 비교과프로그램을 4가지 영역으로 모듈화하여 정규교양교과목으로 개설한 것이다(W대학교 교육과정운영 지침, 2019).
또한 학과 특성화 방안을 마련하여 ‘무엇을 아는지’에서 ‘무엇을 할 수 있는지’로 기존의 교과목 중심에서 역량기반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전면 개편하고, 학사제도의 유연화 및 학생의 학습선택권 보장에 중점을 두고 교양교육과정을 운영하였다. 이는 대학재정지원사업(WCC, SCK, LINC+)의 다양한 비교과 프로그램을 대학의 교육목표 및 인재상에 연계 고리를 마련하고, 각 단위사업간 차별화 및 연계성을 도모하고 있다. 특히 정형화된 교양 및 전공 교과목 이외에 다양한 일반선택 교과목을 개설하여 교육과정 운영의 탄력성과 더불어 학과별 성과확산을 유도하여 교육성과를 극대화 하고 있다. 이에 W대학교 2020학년도 학과별 교양교육과정 운영현황을 살펴보면 <표 11>과 같다.
<표 11>
W보건대학교 2020학년도 학과별 교양교육과정 운영현황표
학과명 교양 선택 교양 필수 교직 봉사 일반 선택 전공 선택 전공 필수
간호학과 39(54) 14(14) 22 2 25(25) 93(149) 195(268)
임상병리과 7(8) 8(8) 2 80(107) 31(37) 128(160)
물리치료과 4(4) 10(10) 2 87(126) 33(48) 136(188)
방사선과 9(10) 8(8) 2 70(92) 40(41) 129(151)
치기공과 4(4) 8(8) 2 79(107) 37(37) 130(156)
치위생과 5(6) 8(8) 2 85(149) 40(50) 140(213)
의무행정과 4(5) 8(8) 2 87(101) 31(41) 132(155)
안경광학과 8(9) 8(8) 2 72(90) 40(50) 130(157)
유아교육과 5(7) 8(8) 22 2 45(54) 44(49) 126(141)
사회복지과(주/야) 5(8) 8(8) 2 2(3) 51(64) 27(34) 95(119)
글로벌호텔관광과 2(2) 8(8) 2 97(134) 18(21) 129(177)
글로벌항공서비스과 2(2) 8(8) 2 49(50) 28(35) 89(95)
식품영양과 5(5) 8(8) 2 51(61) 26(38) 92(112)
외식조리과 5(5) 8(8) 2 56(74) 26(32) 97(121)
미용피부화장품과 2(2) 8(8) 2 104(145) 24(31) 140(188)
3D제품디자인과 4(4) 8(8) 2 40(57) 30(40) 84(109)
의무부사관과 2(2) 8(8) 2 74(88) 23(31) 109(129)
전투부사관과 4(5) 8(8) 2 55(72) 21((29) 90(114)

3. 교양교과목 ‘G-MAP설계도’ 사례연구

3.1. 교양교과목 ‘G-MAP설계도’ 개발 및 절차

3.1.1. 교과목 개발 배경 및 목적

교양교과목 ‘G-MAP설계도’는 본 연구자가 2017년 12월 한국교양교육학회지에 게재한 4차 산업혁명시대에 따른 전문대학 교양교육의 개선방향 연구 논문을 기반으로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문제해결력과 창의성 육성으로 글로벌 스마트 사회를 선도하는 창의융합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하였다. 이는 대학차원에서 교양교육 강화를 위한 최우선 과제인 교양교육 전담인력과 교양교육이수학점 확대를 위한 교양교과목 개설을 동시 추진과 아울러 대학 구성원들에게 교양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시키고자 하는 전략으로 신입생들에게 대학생활에 필요한 대학의 학사 및 행정의 전반적인 시스템을 이해하고 학생들의 자기주도형 학습능력을 향상시키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새롭게 시도하였다.
W대학교는 2000년 출생 밀리니엄세대가 입학하게 되는 2019학년도부터 총체적인 교육과정의 변화에서 학과의 특성과 연계한 세부전공 및 특화분야를 운영하여 교육과정을 다양화하였다. 이와 더불어 전공과 연계한 특화 분야를 운영하여 교육의 질적 강화 모색 방안 마련으로 교양필수 개설학점을 2학점씩 추가하여 학생들의 진로지도 탐색을 위한 교과목으로 1학년 1학기에 ‘G-MAP설계도’ 교과목을 개설하고, 이를 통해 신입생들에게 학교에 대한 자긍심을 고취시키고 대학교육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여 중도탈락을 방지하고 대학 및 학과 생활에 원활한 적응을 돕고자 하는 목적으로 집중이수제(주2회) 수업을 실시하기로 결의하였다(교양과정개발운영위원회 회의록, 2018).
이에 본 교과목은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을 통해 4대 핵심역량인 인문역량(인재성공설계), 공동체역량(학습성공설계), 글로벌역량(인성성공설계), 창의융합역량(미래성공설계)을 균형있게 함양할 수 있도록 그동안 다양한 국고 사업으로 진행되어오던 비교과 프로그램 모듈화를 통한 역량기반 교양교육과정으로 체계화하여 교양교육의 성과를 극대화 하고자 하였다.

3.1.2. 교과목 개발 절차

본 대학은 Industry 4.0 시대에 요구되는 교육혁신을 위해 대학의 인재상을 글로벌 스마트 사회를 선도할 창의융합 인재(G-MAP Elite)로 정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해 직무중심에서 역량중심으로 대학교육의 체제를 혁신하고 교양(Liberal-Arts), 전공(Tech-Edu), 학과특화(Integrated-Edu), 비교과(Extra-Curriculum)를 포함한 LTE2 창의융합 교육과정으로 개편하여 모듈형의‘G-MAP(Global-Mind, Attitude, Performance) 설계도’ 교양교과목을 개발하여 2019년 1학기에 신입생 전체를 대상으로 시범 운영하였다. 이 교과목 개발 절차는 [그림 2]와 같다.
[그림 2]
교과목 개발 절차
kjge-2022-16-1-315-gf2.jpg
본 교과목은 [그림 2]의 절차에 따라 2018년 11월 1일 교양과정개발운영위원회에서 심의되어 2019년 1월 10일 교육과정심의위원회에서 확정 후 2019년 3월 2일부터 5월 10일까지 1학기에 처음 개발 운영되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교양교과목개발 위원으로 선정 된 후 2018년 9월 1일부터 ‘G-MAP설계도’ 개발을 위해 Tyler (1949)의 교육과정 개발 모형과 교육과정 요소들의 상호작용을 강조한 Taba(1962)의 교육과정 개발모형을 바탕으로 만든 이귀윤(1996)의 모형을 근거로 연구자가 수정⋅보완한 모델을 적용하여 [그림 3]의 절차에 따라 ‘G-MAP설계도’를 개발하였다(최미숙, 2012: 60).
[그림 3]
‘G-MAP설계도’ 개발 절차
kjge-2022-16-1-315-gf3.jpg

3.2. ‘G-MAP설계도’ 개요 및 운영사례

3.2.1. 교과목 개요

학생이 행복한 W대학교는 세계적 수준의 창조적 직업교육 특성화 대학으로 성장해오면서 2019 대한민국 전문대학 지속지수 교육부문 전국 1위, 국가고객만족도(NCSI) 전문대학분야 전국 3위, LINC+사업 매우 우수 등급 획득,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선정 등 우수한 성과를 이루었다. 이러한 성과를 기반으로 그간의 비교과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구조화하여 전인적 인성교육을 위한 교양교육의 체계정비로 정규교과목인 G-MAP설계도를 역량기반 교양교육과정으로 개발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운영하여 교육혁신을 통한 학생성공 사회공헌 대학으로 힘차게 도약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에 ‘G-MAP 설계도’는 학생 개개인이 자신의 특성에 맞는 자신만의 교과서를 본 수업을 통해서 완성해 갈 수 있도록 설계된 워크북 형식의 교재로 구성하였다. 이에 본 교과목을 통해 학생 맞춤형 및 자기주도형 학습법과 교수학습자간 상호작용을 통한 공감코칭 교수법 그리고 다양한 수업방식을 활용한 온-오프라인 병행학습제를 통해 입학에서 취업까지의 대학생활 전 과정을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네비게이션이다(최미숙, 2020: 4).
이러한 교과목 개발의 배경 및 필요성과 목적에 따라 학교 부서장워크숍(2019.02.15)과 전체 교직원연수(2019. 03.17)를 통해 이 교과목 전반에 대한 개발안 발표 및 의견수렴과 협의를 하였다. 본 교과목에 대한 개요는 <표 12>와 같다.
<표 12>
‘G-MAP설계도’ 개요
교과목명 G-MAP설계도
강좌형태 온라인, 블렌디드, 강의식, 현장체험
교과목 특징 본 교과목은 학교 및 학부 학과의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 전공, 창의, 인성, 글로벌 4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여 매 차시에 제시된 work sheet 및 온라인(LMS)과 오프라인 병행 학습을 통해 집중이수제(주2회수업가능)방식에 따라 운영되며, 자기주도적 문제해결과 창의성 육성에 따른 실습 및 체험 형태로 운영되는 수업이다.
수업목표 1. 역량기반 교양교육과정 개발을 위해 비교과로 진행된 다양한 프로그램을 일정한 모듈로 구성하여 정규교과로 신설한다.
2. 자기주도적 문제해결과 창의성 육성에 따른 인문⋅공동체⋅글로벌⋅창의융합역량을 보다 효과적으로 달성한다.
3. 세계적 수준의 글로벌 스마트 사회를 선도할 수 있는 역량기반 교육과정 및 G-MAP 인증제를 이해하여 대학과 학과의 인재상을 구현한다.
4. 자기이해 및 인식 그리고 학습설계와 자기관리 및 설계 그리고 전공진로 이해 및 탐색으로 개인맞춤형 비전설계를 완성한다.
5. 교수-학습 상호작용을 위한 Mind Study와 감사잘함 다짐을 통해 건학이념 구현 및 학생성공전략을 실천한다.
6. WU G-MAP설계도 비전선언문을 작성하여 동영상 제작 후 실천 서약서를 작성하여 공유한다.
기대효과 • 자기주도적 창의력 향상과 문제해결능력 증진
• 대학생활 전반에 대한 이해와 적응력 증진으로 중도 탈락률 감소
• 학교 및 학과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
• 전인적 인성교육 및 대학 4대 핵심역량 강화
• 학생들의 대학생활에 대한 만족도 향상
• 학생 맞춤형 자기주도적 Blended Learning 수업진행
• 교수-학습 상호작용 활성화
• 균질화된 교육 콘텐츠 제작 및 제공
• 역량기반 교육과정 및 G-MAP인증제 실현 가능

3.2.2. 교과목 운영사례

본 교과목은 신입생에게 대학생활 목표 수립 및 미래 비전설계를 학생이 자기주도적으로 설계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하여 인재성공설계, 학습성공설계, 인성성공설계, 미래성공설계 등 4가지 모듈로 구성하여 이에 따른 4대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교과목으로 운영하였다. 2019년 2월 21일 담당교원 워크숍을 실시하여 교과목 명세서와 강의계획서 및 PPT강의교안과 주차별 영상자료 및 G-MAP설계도 워크북을 교수자에게 배부하고, 다음 <표 13>과 같이 주차별 교수-학습 내용과 강의운영 계획안에 따라 18개 학과 1,647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24명의 교수자가 강의를 진행하였다.
<표 13>
‘G-MAP설계도’ 주차별 교수-학습내용 및 강의운영 계획안
주차 교수-학습내용 강의운영
영역 주제 차시별 내용 운영 방식 온라인 강의 장소 교수 매체
1 인재
성공
설계
인재 알아가기 1차시 : G-MAP설계도 오리엔테이션 강의식 학교홈페이지 강의실 영상
2차시 : 행복을 지원하는 학교 행정 서비스 알아보기
2 만나고 적응하기 1차시 : 대학생활 적응검사 및 학교 새로 알기 강의식 LMS (예방교육안내) 강의실 검사지
2차시 : 학생 상담프로그램 찾아보기
3 학습 디딤돌 놓기 1차시 : 학습진단평가 실시하기 강의식 강의실 검사지
2차시 : 학과교육과정 및 자격증 알아보기
4 WU인재 만들기 1차시 : 학습능력향상교육 지원프로그램 알아보기 온라인 교수학습지원센터홈페이지 재택 e-m러닝
2차시 : 나의 학습 Plan 세우기 e-m러닝
5 학습성공
설계
청춘 설계하기 1차시 : 신입생실태 조사하기(온라인) 강의식 LMS/강의실 강의실 온라인설문지
2차시 : MBTI검사하기 검사지
6 해피포인트 쌓아가기 1차시 : WU 프라이드 Up(장학제도, 학교 자부심) 강의식 강의실
2차시 : 해피포인트 전략 세우기
7 안전하게 살아가기 1차시 : 가정폭력 예방교육(교육부영상) 온라인 LMS 재택 e-m러닝
2차시 : 성폭력 및 성희롱 예방하기(교육부영상) e-m러닝
8 청춘 비상하기 1차시 : 나의 취업가이드북의 실제 on-off 병행 창의융합센터 재택
2차시 : 자기소개서 작성하기
9 인성성공설계 마음 디자인하기 1차시 : 마음아 부탁해(조성일교수영상촬영) 체험식 LMS/교당 재택 e-m러닝
2차시 : 꿈을 기억하는 우체통 인증샷 본관 3층
10 나를 새롭게 하기 1차시 : 마음 STAR 되기(최미숙교수영상촬영) 온라인 LMS 재택 e-m러닝
2차시 : 성격유형별 꿈 실행 계획하기 e-m러닝
11 G-MAP Leader 되기 1차시 :글로윙 로드맵 완성하기(이광영교수영상촬영) 온라인 LMS 재택 e-m러닝
2차시 : 글로벌 리더 찾기 (아프리카의성자 꼬꼬김 영상) e-m러닝
12 품격 업그레이드하기 1차시 : 펀펀(Fun-fun) 창업하기 온라인 자유선택 재택 학생자율
2차시 : 글로벌 인성리더십 설계하기 온라인
13 미래
성공설계
미래로 Jump하기 1차시 : 동문 선배 특강 및 선후배 멘토링하기 on-off
병행
학부학과재량
2차시 : 전공 관련 블로그 or 사이트 탐색하기
14 비전선언문 선포하기 1차시 : 비전선언문 작성하기 on-off
병행
학부학과재량
2차시 : 비전선언문 동영상 제작하기
15 G-MAP 설계도 공유하기 1차시 : WU G-MAP 설계도 실천 서약서 작성하기 강의식 강의실
2차시 : WU G-MAP 설계도 실천 서약서 공유하기
<표 13>과 같이 주차별 교수-학습 내용과 강의운영 계획안에 따라 강의를 진행하였으며, 강의 진행에 따른 평가 방식은 <표 14>와 같다.
<표 13><표 14>에 따라 주차별 강의와 평가가 진행되었으며, 교수자의 재량에 따라 수시로 교수-학습에 대한 피드백 및 상담 그리고 다양한 SNS매체를 통한 상호작용을 수시로 실시하였다.
<표 14>
강의 평가 방식
출석(20) 중간(40) 기말(40) 합계
오프라인 온라인(LMS) 검사 및 활동 인증샷 수업평가 제작 공유
1,2,3,5,6,8,13,14,15주차 4,7,9,10,11,12주차 2,3,5,9,10,13주차 4,8,12,15주차 Project work sheet 14주차:영상제작 15주차:서약서발표 100

3.3. ‘G-MAP설계도’ 교과목 운영에 대한 평가 분석

본 교과목 ‘G-MAP설계도’는 WU LMS를 활용하여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병행한 집중이수제 형태로 교양 필수 2학점 P/F 과목으로 운영하였다. 18개 전체 학과의 학과장 및 학부장을 대상으로 ‘G-MAP 설계도’교과목 운영을 위한 교수 워크숍을 연구자가 직접 진행하였다(2019.02.21). 이때 제공된 교수자료는 LMS에 업로드하여 수시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매 주차별 제공된 Work Sheet 양식에 따라 <표 13>과 같이 강의식, on-off병행, 체험식, 온라인 등 다양한 형태의 수업으로 진행하였다. 특히 14주에는 비전선언문을 작성한 후 각자 동영상을 제작하여 학과별 영상 경진대회를 개최하였다. 또한 15주차에는 WU G-MAP설계도 실천 서약서를 작성한 후 학과별 발표대회를 통해 함께 공유하고, 각 학과별 비전선언문 우수 영상 시상 및 워크북 작성 우수자 24명을 추천받아 장학금을 지급하였다(2019.07.02). 이 교과목에 대한 강의를 종료한 후 대학차원에서 <표 15>와 같이 교과목 운영에 대한 설문문항을 구성하여 강의평가를 실시하였다. 설문문항은 5점 리커트 척도로 1점(매우그렇다) ~ 5점(매우 그렇지 않다)으로 총 10문항이며, 각 문항별 강의평가 평균은 <표 15>와 같다.
<표 15>
교과목 운영에 대한 설문내용 및 강의평가 평균 N=1,313
문항 평가내용 강의평가 평균
1 강의계획서는 수업에 관한 정보(교과목표, 주별 강의계획, 교수학습방법, 성적평가방법 등)를 명확하게 제시하고 있습니까? 4.18
2 교수님은 매주 수업시 학습목표(수행준거)를 명확하게 제시하였습니까? 4.20
3 교수님은 규정된 수업시간을 준수하였습니까?(예를 들어 2시간 연속 수업일 경우 100분) 4.19
4 교과목 실제 수업내용은 일치하였습니까? 4.25
5 강의내용(이론시험, 실습, 구두평가, 보고서 등)이 평가에 적절히 반영되었습니까? 4.21
6 교수님의 강의는 이해하기 쉽고 전달이 잘 되었습니까? 4.15
7 교수님은 수업에 학생의 관심과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노력하였습니까? 4.16
8 수업내용에 학습매체(교재, 유인물, 사진, 동영상 등)가 수업의 이해를 높이는데 도움이 되었습니까? 4.13
9 보강은 잘 이루어졌다고 생각하십니까? 4.14
10 교수님은 수업에 대한 출석을 철저히 관리하였습니까? 4.21
<표 15>에서와 같이 강의 계획서에 따른 교과목 실제 수업내용 일치항목에서 평균 4.2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출석관리와 강의 내용에 대한 평가 반영의 적절성이 4.21로 나타났으고, 매주 학습목표 제시 4.20 순으로 나타났다. 가장 낮은 점수로는 수업 내용에 있어서 학습매체가 수업의 이해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되었는가에 대한 항목에서 4.13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더 다양한 학습매체를 보완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표 16>과 같이 교양과목 항목별 만족도에 있어서 ‘G-MAP설계도’ 운영 이전인 2018학년도 67.61에 비하여 본 교과목을 운영한 2019학년도 69.28로 만족도가 2.21높게 나타났다.
<표 16>
교양과목 항목별 만족도
구 분 세부항목 2018년만족도 2019년만족도 GAP (19-18)
교양과목 교과목의 다양성 69.18 70.50 +1.32
기본자질과 직무수행의 기초역량을 쌓는데 도움 67.78 70.08 +2.30
교육과정을 통한 기본소양 함양에 도움 67.76 69.85 +2.09
교양 교육과정 전반적 만족도 67.01 69.57 +2.56
비정규프로그램(인성함양, 마음공부 등)의 지원 67.84 70.27 +2.43
교양 교육과정 비정규프로그램 전반적 만족도 66.09 68.71 +2.62
평균합계 67.61 69.82 +2.21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논자는 ‘G-MAP설계도’를 담당한 교수자를 대상으로 표적집단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였다. 대상자 선정기준은 교과목을 직접 운영한 교수요원 중 강의평가 상위 20%에 해당하는 6명을 전문가그룹으로 선발하여 1. G-MAP설계도가 신입생에게 도움된 점 2. 인문역량, 공동체역량, 글로벌역량, 창의융합역량 강화를 위한 4가지 교육내용을 모듈화하여 구성한 ‘G-MAP설계’ 수업 진행사례 분석 3. 매 차시에 제시된 Work Sheet에 대한 피드백 및 상호작용 사례 분석 4. 본 교과목 운영이 학생과 교수자에게 도움 된 점 5. 온라인(LMS)과 오프라인 병행을 통한 집중이수(주2회)제 수업방식이 교수자와 학습자에게 도움된 점과 향후 개선점 6. G-MAP설계도를 운영하시면서 느낀 교수자의 보람과 감상에 대한 인터뷰 결과표가 <표 17>과 같다.
<표 17> 교과목 교수자 표적집단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결과표 내용을 종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다.
<표 17>
‘G-MAP 설계도’ 담당교수자 표적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결과표
연구대상 A B C D E F
1. 신입생에게 도움된 점 - 신입생이 대학에 입학하여 대학 생활과 학과 수업진행에 있어 대학시설 위치, 행정 부처 지원내용에 대해 단기간에 이해하기 쉬웠으며(학생들의 답변) 왜 대학을 다니고 학과에서 수업을 해야하는가의 의문을 해결 할 수 있는 계기(학생들의 답변)로 활용할 수 있었음.
- 학과장으로서는 학생 상담을 통해 개별신상 파악과, 진로설정지도에 도움이 되었음.
-학업부적응학생 파악, 수업에 영향을 주는 학생 파악등을 통하여 조기에 학생지도 방향 설정에 도움이 됨.
- 전반적인 학교시설과 제도 등을 소개함. (행정 서비스, 장학금 제 도, 학과의 역사)
- 두 반을 합반하면서 많은 학우들 의 얼굴을 알게 됨(학생수가 많아 서 아쉬운 점도 있었음)
- 1주차부터 10명씩 9개조를 구성 하여 자신이 작성한 ‘나의 바람 작성하기’를 조별활동으로 조원 들과 발표 및 공유하면서 조원들 의 생각과 성향을 파악하고 친구 를 사귀게 됨
-신입생은 과거에 주어진 틀에서 수 동적으로 수업에 임하던 중고등학 교와는 달리 자기주도적으로 대학 생활을 함에 따라서 수반되는 성취 감과 구체적인 인생 설계를 해보는 계기가 되었으리라 판단됨 - 대학생활에 필요한 학사업무 이해
- 자기주도적 학습, 목표지향적 대학생활 그리고 다소 미흡하지만 사회 초년생으로서 자신의 정체성 확립에 도움을 주었다고 생각함
- 자기주도형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 는 계기가 됨
-대학의 학사 및 행정의 전반적인 지 원 시스템을 이해할 수 있음.
- 고교생을 떠나 대학생이라는 신분의 변 화 속에서 처음 방문한 원광보건대학 교에 대한 첫인상을 좋게 하는 촉매제
-신입생들한테는 학교와 학교의 설립 이념을 이해하고, 더 나아가 자신들 의 대학생활과 미래의 목표를 정립 하는 계기가 됨.
2. 수업 진행 사례 - G-MAP설계도는 각 차시별 수행과제를 해결하도록 지도하였음.
- 먼저 대학진출이 잘 선택하였는가?에 대해 고민을 한 학생이 나의 취업가이드북 을 작성하면서(기존은 학과는 부사관 직업에 대한 미리 결정하고 입학하기 때문에 취업 가이드북은 작성하기 않았음) 자기주도적 미례설계를 할 수 있었다는 학생이 있었음.
-학과는 온라인 교육을 학교에 정상 등교 하여 해당 시간에(1~2교시)에 전산실에서 동시에 시청하고 바로 work sheet를 작성하고 업로드 하도록 지도함.
-집에서 온라인으로 하면 집중도가 떨어질 것으로 예상하여 학교에서 시청토록 하였음.
- 오프라인 시간에서 필요시 서로 토의도 시키면서 작성하도록 지도함.
- 다른 친구들의 생각도 서로 교류토록 함. 이를 위해 자리 배치는 학번대로 앉게 하였 으며, 주 단위로 위치를 변화하여 가급적 많은 친구와 교류토록 지도함.
- 이러한 방법은 단시간에 친구들을 사귀게 하여 친구들과 어울리지 못한 학생을 찾 아 상담도 병행하였음.
- 선배들의 직업세계를 안내하고 전공분야의 향후 비젼 제시
- MBTI검사를 통하여 자신과 타 인에 대한 이해를 넓힘
- 본교의 어학시스템, 해외현장실 습 등을 통한 글로벌시대를 살아 갈 수 있는 견문을 넓힘
- 위의 모든 내용을 섭렵하고 전공 과목 별 교육과정에 따른 양질의 교육을이수하면서 창의적인 사고 를 기를 수 있을것으로 사료 됨.
- 대학의 교육목표를 전반적으로 이 해할 수 있었으며 인문, 공동체, 글 로벌, 창의융합 등 4가지 역량교육 이 하나의 교육 프로세스로 자리잡 아 학교가 추구하는 인재상에 부합 되는 교과목으로 생각됨 - 막연하였던 전공분야에 대한 학습내용과 안경사라는 직업을 이해하는데 기여
-국제화 프로그램들을 소개 받고 어학연수나 해외 취업에 관심도 향상
- 대학에서 지원하는 다양한 프로그 램을 이해하여 재학동안 목표를 설 정하고 설계할 수 있음.
- 다양한 능력과 창의력을 필요로 하 는 4차 산업시대에 대비할 수 있는 인재로 나아갈 수 있음.
- 각 영역에 대하여 실제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미래에 설계를 할 수 있음.
- 입시가 대부분 수시(학생부 종합전형) 로 이루어져 학생들이 전공에 대해 심 사숙고하여 지원하였겠지만, 전공에 대한 이해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런 측면에서 3년간 학습할 전공에 대하 여 개략적으로 접할 수 있는 계기가 됨.
- 최근의 트렌드는 진취적 사고를 통 한 학생들의 자발적인 참여가 주를 이루므로 대학생활에 첫발을 내딛는 신입생으로서 창의적 사고와 신념에 활력을 불어 넣을 수 있는 계기가 됨.
- Y세대라 일컫는 밀레니엄 세대, 특 히 2020년도 신입생들은 부모로부터 받는 것에 익숙하고 자기중심적인 사 고가 깊이 자리 잡은 세대라서 인성 확립에는 관심이 부족했으리라 본 다. 본 과정에 직접 참여해 봄으로써 타인에 대한 배려와 소통, 협력 등의 인성확립에 다소나마 동기부여가 됨.
- 우리 대학 신입생 중 글로벌적 마인 드가 충만된 학생은 그리 많지 않겠 지만, 앞으로의 추세가 글로벌화에 있다는 의식을 심어주는 데에는 부 족함이 없다고 생각함.
3. 피드백 및 상호작용 사례 - work sheet 작성방법에 대하여 예시를 들 어 설명함.
- 작성한 work sheet는 과목 과제관리에 업로드하게 함.
-작성한 과제를 검토후 잘 작성한 학생을 미리 선정하여 다음 차시에 발표하도록 함.
-다음날 개인이 작성한 노트를 개별 점검 하여 미흡한 학생을 다시 작성토록 지도 하였음
-개별학습 동영상 시청은 학교에 출석하여 해당시간에 전산실에서 시청하도록 함.
- work sheet를 작성한 후 LMS로 제출한 후 그 다음 수업시간에 조 별로 발표하고, 조에서 한 명씩 전체학생 앞에서 발표함. 발표내 용과 발표태도를 통한 학생의 생 각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으 며, 학생들은 발표시 자신의 생각 을 전달하고 리더십을 기르는데 도움이 되었을 것으로 사료됨. 일 부 학생들은 발표를 독차지 하려는 경향을 보임 - 지도학생 상담 만으로 개개 학생의 대학생활을 이해하기에는 역부족이 었으나, G-MAP설계도는 학생들이 교양교과목으로 이해함으로써 자신 의 활동에 대하여 보다 객관적인 입 장으로 work sheet를 작성하였고, 이는 학과 지도교수님이 학생상담 지도 시 활용함으로써 상호 이해하 는 폭이 확장되었음 - 각 주차별 강의에 대한 work sheet 답을 가능하면 그 자리에서 작성케하였고, 사진 을 찍어 제 메일로 받아, 체크하고 상대 평가를 통해, 점수를 메기고 기록하였고, 잘 된 것과 부족한 사례 그리고 흥미로운 사례 를 다음 주차 강의 시작 전에 ppt로 보여 주면서 학습 동기를 부여 하였음.
- 기한내에 제출 못한 학생들에게는 전화로 다음 강의 전까지 내도록하였고, 제출하였 더라도 터무니 없거나 엉뚱한 답을 보냈을 경우 다시 보내도록 하였음.
- 교수자료실에 제공되는 강의자료를 기반으로 전공에 필요한 자료와 정 보를 추가하고, 임상 관련 사례를 제공하여 학생들의 관심을 유도하 였음
-교수자 1인이 모든 학생들의 피드백 과 상호작용에는 어려운 여건이었음.
- 학과교수로서 신입생의 분위기와 역 량을 파악하는 기회가 되었음.
- 매 차시에 이루어지는 work sheet는 on/off line에서 체크하여 간단히 피드 백을 시행하였으나, 많은 학생들(103 명) 을 교수자 혼자서 담당하기에는 역부족이라 판단하여 조교선생 1명을 지정하여 도움 받아 진행함.
-상호작용은 단기간이라는 점에 비추 어 교수가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선 제적으로 임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었으며, 주로 적극적인 질문과 요 청이 있는 학생을 중심으로 on/off line이나 SMS를 통하여 진행함.
3. 피드백 및 상호작용 사례 - 시청 후 바로 work sheet를 작성토록 지도함.
- 해당 차시별 주어진 과제에 진솔하게 참 여토록 지도함.
주차별 강의 주제가 다르므로 피드백은 즉시성이 매우 중요함
- G-map설계도 실천서약서 등 학생들 스스로 알아서 작성하기가 힘든 work sheet는 미리 작성하여 사례로 알려줌으로써 더 좋은 결과 를 내는데 도움을 주었을 것으로 판단됨.
4. 교수자와 학생에게 도움된 점 - 학과특성상 대부분 학생은 진로를 미리 결정(부사관 임관)하고 입학하기 때문에 자신이 올바른 선택을 하였는가?라는 확신을 심어주는 것이 학과 교수님들의 주요 관심사항입니다. 이러한 확신이 없 는 학생은 바로 자퇴를 결심하기 되기 때문입니다. 결국 1학기에 어떻게 지도 하느냐에 따라 2학기와 2학년으로 진학 을 하게 되는 것이죠. 그동안 학과 나름 대로 지도함에 한계가 있었으나 과목시 간이 편성되어 집중적인 지도로 많은 학 생이 확신을 갖고 수업분위기도 기존 학 번 학생보다 좋았던 것 같아요. - 학생은 새로운 학교생활 전반(행 정, 교육과정, 향후 직업의 세계 등) 에 대한 이해를 하게됨.
- 학과장과 학부장이 진행하는 G-MAP 설계도 수업은 학과의 전반적인 교육과정 등을 전달하여 학생이 학교와 학과를 이해하는데 도움 이 되며, 별도로 진행했던 학교사 업을 과목안에서 해결 함으로서 학생관리 및 행정이 간소화 됨
- 학생은 본인의 대학생활 및 인생설 계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목표설정 을 함으로써 실제적인 자기주도적 인 문제해결 능력이 향상되어 대학 생활 수행에 큰 도움이 되었으리라 생각됨
- 교수자는 신입생에게 필요한 인재 상을 구현해 주고자 노력하고 있었 으나 교수자 본인도 교육역량이 부 족하였기에 G-MAP 설계도 교과목 의 체계적인 시스템의 활용을 통해 교육역량 제고에 도움이 되었음
-전공교육을 실시하기 전에 대학생활에 대한 전반적인 소개
- 성인으로서 불확실한 정체성을 확립하고 개선하여 적극적인 사고와 자신의 행동 지표 설정에 기여
- 주입식, 일방적 교육방식에서 자기주도적 학습활동에 기여
- 학생은 체계적인 대학생활을 설계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고 교수자는 부담없이 학생들의 다양한 의견을 청취하고 교류할 수 있는 시간이 되 었음. - 학생 : 학생은 입시위주의 주입식교 육에서 벗어나 학생 스스로 참여하 고,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가운데 창 의적 사고를 발산할 수 있는 동기가 부여됨. 또한 대학과 자신이 학습할 학과에 대하여 개략적인 이해를 증 진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됨.
-교수자 : 우선 학생들의 면면을 파악 할 수 있었고, 학생들의 전반적인 수 준과 의욕 등을 파악할 수 있었음. 또한 학교와 학과에 대한 홍보 및 전 공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귀중 한 시간이 됨.
5. 향후 개선점 - 처음 시작시에 충분한 교수자의 이해가 부족하여 당황하는 모습에 학생들이 생 각하기에는 전문성이 없어 보일수 있기 때문에 사전에 준비할 수 있는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임.
- PPT는 다시 편집하여 수업을 진행함.
- 온라인 수업에서 교수 개인이 준 비하기 어려운 많은 부분이 해결 되어, 오프라인 강의를 줄일 수 있 는 부분이 장점 전문교수자의 쿼터수업 등의 방식은 수업의 질 제고에 도움이 되었으며, 특히 온라인/오프라인의 병행수업은 자칫 지루하게 느낄수 있는 수업의 다양성을 활용함으로써 교육 환기에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됨 단시간내에 이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은 매우 바람직하다고 생각함 강당이나 세미나실에서 강의를 하다 보면 다닥다닥 붙어 있는 의자로 인하여 학생들의 집중력도 떨어지고, 강의가 산만해지는 등 교수자와 학생 모두 부자연스러울 때가 많음 따라서 경제적(인력자원 포함), 공간적 배려 가 가능하다면 40명 단위로 프로그램 운영 을 고려하였으면 함. - 체계적을 설계된 과목이지만 실제 로 포함되는 내용이 많아 학습자와 교수자 모두 부담이 있는 과목이라 고 생각됨
- 집중이수제 수업을 위해서 내용을 좀 줄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됨
- 집중이수(주2회)제 수업방식이 단기 간 내에 Orientation을 완료할 수 있 다는 점에서 바람직함.
- 개선점은 첫째, 전체 학생(정원외 포 함 103명)을 하나의 강의실에서 진 행함에 따라 수업 분위기가 산만하고 학생들의 집중력 저하가 나타나 옥 의 티라고 생각됨.
- 둘째, 일부 과정에는 전문성이 필요 하므로 교육 지원이 필요합니다(예, MBTI 등). 즉 교수자가 충분히 소화 하지 못한 과정이 있음.
-셋째, G-MAP 설계도 편성의 취지상 공통과목의 편성이 절대 다수를 차 지할 수 있지만, 학과의 특성을 고려 한 학과 자율적 진행과정의 비율을 높여 주셨으면 함.
-넷째, 교육시간 및 요일 배정을 학과 자율적으로 조정할 수 있었으면 좋겠 음. 반드시 1~2교시나 지정된 요일 이 아닌, 오후나 다양한 요일에 배정 하는 것도 필요해 보임.
6. 교수자의 보람과 감상 - 학기 초에 집중교육은 반드시 필요합니 다. 또한 학생들과 친숙할 수 있는 기회이 며 조기에 진로를 지도하고 비전을 제시 할 수 있는 기회입니다. 저는 이를위해 사전에 간단한 초콜렛 등을 준비하여 매 시간마다 같이 먹으면서 소통하도록 하 였습니다. 지금도 단톡방으로 소통하고 있으며 학생들은 전적으로 저를 의지하 고 있다는 것을 느끼고 있어요. - 마지막 강의에서 1학년 전체 200 여명이 모인 가운데 몇 명(세명 학생)의 비전선언문을 발표하고, 나중에 우수작을 뽑아 시상을 하면 서, 수업하는 동안 자신의 장점을 발 견해내고, 자신의 미래 직업과도 연결을 하는 경우를 보면서 보람 을 느낌
- 처음 해보는 강의라서 자신이 없 었지만 잘 연마하면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과목이 될 거라고 생 각함.
- 학부장과 학과장이 매주 수업에 대한 많은 토의를 통해 학과의 특 성을 살린 내용을 전달함.
교수자로서 신입생의 대학생활을 이 해하는 부분에 많은 도움이 되었으 며, 특히 G-MAP 동영상 경진대회에 출품했던 우수작품은 입시홍보 및 취업박람회에서 지속적으로 활용하 고 있음 (고등학생들은 불과 1,2년 차이 나는 대학 신입생의 영상을 통 해 치기공과를 이해하는데 큰 도움 이 되고 있음, 치기공과는 입시홍보 물로 G-MAP 동영상을 활용하여 고 등학생들의 반응을 끌어올리는데 실 제적인 효과를 보고 있음) - 대학적응 프로그램을 운영하여야 한다는 생각을 늘 가지고있었는데, G-MAP설계도 를 정규교과로의 운영이 매우 적절하다고 생각함.
-신입생들에게도 추상적이고 현실성이 다소 미흡 하지만 자신의 현상황을 판단하고 대학 생활을 어떻게 해야만 한다는 것을 알게된 계기를 마련해주었다고 생각함.
-실제로 운영하다 보니까 교수자로써 부족한 점을 많이 느끼면서 학생들에게 프로그램의 취지가 충분히 읽혀지도록 더 분발 해야만 한다는 점도 느낌.
- 마련된 교육자료를 가능하면 간소화하고, 학생들 입장에서 응답 할 수 있도록 ppt 내용 재검이 필요하다고 생각함
- 팀워크 즉 함께하는 사회활동의 중요성을 알게하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함
-작은 성공이 큰 성공을 만들 수 있는 것처럼 성취감을 얻게 하여 학습능력도 키우고 자신의 비젼을 세우고, 일궈 가도록 작지만 좋은 습관 실천 프로그램을 도입하는 것을 고려 하였으면 함.(의지력, 학습능력도 부족하고 불확실한 정체성을 가진 우리 학생들이 조그마한 습관을 매일 실천하고, 기록하면서 자신이 발전하고 작은 성공을 이루고 있다는 자신감 그리고 성취감을 얻는 그런 과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함.
- 학과 전공에 대한 자부심과 긍지를 높여줄 수 있는 시간이 되었고 이에 대한 학생들의 적극적인 반응을 보 일 때 보람을 느꼈음. -우리 대학에 처음 들어온 신입생을 제 일 먼저 대한다는 설렘이 있어서 좋 았음
- 이들이 대학생활에 잘 적응하고, 때 로는 편리하고 알차게 영위할 수 있 도록 토대를 마련해 준다는 데에 커 다란 의미를 부여할 수 있었음
-더불어 교수자도 새로운 마음가짐으 로 한해를 체계적으로 준비하게 됨.
첫째, G-MAP설계도가 신입생에게 도움 된 점이다.
학교에 대한 첫인상을 좋게 하는 촉매제가 되고 대학의 학사 및 행정의 전반적인 지원 시스템과 학교설립의 이념을 이해하고, 자기주도적으로 대학생활을 설계해봄으로써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는 계기가 되고 나아가 대학생활과 미래의 목표를 정립하는데 도움이 된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인문역량(인재성공설계), 공동체역량(학습성공설계), 글로벌역량(인성성공설계), 창의융합역량(미래성공설계) 등 4가지영역의 교육내용을 모듈화하여 구성한 G-MAP설계도 수업 진행에 대한 사례분석이다.
먼저 인문역량 영역에서는 3년간 학습할 전공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접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며, 선배들의 직업세계를 안내받고 전공관련 분야에 대한 학습 내용과 향후 비전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된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창의융합 역량 영역에서는 신입생에게 창의적 사고와 신념에 활력을 불어 넣을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며, 다양한 양질의 교육과정을 이수하면서 창의적인 사고 향상에 도움이 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공동체역량 영역에서는 신입생들에게 글로벌 리더를 찾고 마음공부와 유무념 실천으로
자신을 이해하고 전 과정에 직접 참여해 봄으로써 타인에 대한 배려와 소통, 협력 등의 인성확립에 대한 동기부여에 도움이 된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글로벌역량 영역에 있어서는 다양한 국제화 프로그램들을 소개받음으로써 각종 어학연수나 해외 취업에 대한 관심 및 글로벌 마인드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면 본 교과목을 통해서 학생들은 4가지 핵심역량에 대하여 실제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재학기간동안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설계하여 다양한 능력과 창의력을 필요로 하는 4차 산업시대를 대비할 수 있는 인재로 나아갈 수 있도록 자신의 미래를 설계하는데 도움이 된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매 차시에 제시된 work sheet에 대한 피드백 및 상호작용 사례에 대한 분석이다.
매 차시에 이루어지는 work sheet는 on-off line에서 체크하여 반드시 피드백을 시행하는데 있어서 조교 1인을 지정하여 도움을 받기도 하였다. 또한 상호작용은 단기간이라는 점에 비추어 교수가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선제적으로 임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어서 주로 적극적인 질문과 요청이 있는 학생을 중심으로 on-off line이나 sns를 통하여 진행하였다. 특히 work sheet는 작성한 후 LMS 과제 관리에 업로드하게 하여 이를 피드백하였으며, 지맵워크북에 작성한 내용은 오프에서 검토 후 평생지도교수들과 그 내용을 공유하여 개별 상담 및 지도를 실시 하였다. 또한 G-MAP 실천서약서 등 학생 스스로 작성하기 어려운 work sheet는 교수자가 미리 작성하여 예시로 보여줌으로써 더 좋은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LMS교수자료실에 제공된 강의자료를 기반으로 전공에 필요한 자료와 정보를 추가하여 임상 관련 사례를 제공해 줌으로써 학생들의 관심을 유도하는데 성공한 사례도 있다.
넷째, G-MAP설계도 운영이 학생과 교수자에게 도움된 점이다.
먼저 학생에게 있어서 입시위주의 주입식교육에서 벗어나 학생 스스로 참여하고,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가운데 창의적 사고를 발산할 수 있는 동기가 되고, 자신이 학습할 학과에 대하여 개략적인 이해를 증진시키는 계기가 되었으며, 진로선택에 대한 확신을 갖게하는 계기가 되고 본인의 인생설계에 대한 체계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대학생활 전반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교수자에게 있어서는 학생들의 면면을 파악하여 전반적인 수준과 의욕 등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학교와 학과에 대한 홍보 및 전공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부담없이 학생들의 의견을 청취하고 교류할 수 있는 시간이 되었다. 또한 신입생들에게 필요한 인재상을 구현해 주고, LMS를 적극 활용함으로써 교수자 본인의 교육역량 강화에 도움이 되었다.
다섯째, 온라인(LMS)과 오프라인 병행을 통한 집중이수(주2회)제 수업방식이 교수자와 학습자에게 도움된 점과 향후 개선점이다.
본 교과목 운영은 전문교수자의 쿼터수업으로 수업의 질 제고와 수업의 다양성을 활용함으로써 교육 환기에 도움이 되었고, 교수 개인이 준비하기 어려운 많은 부분을 온라인 수업으로 해결하고 오프라인 수업을 줄이고 집중이수제로 단기간 내에 운영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 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효과적인 G-MAP설계도 운영을 위한 향후 개선 사항으로는 ① 전체 학생(정원외 포함 103명)을 하나의 강의실에서 진행함에 따라 수업 분위기가 산만하고 학생들의 집중력 저하가 나타났으며, ② MBTI 전문성이 필요한 일부과정에서는 전문적인 교육 지원이 필요하며 ③ G-MAP 설계도 편성의 취지상 공통과목의 편성이 절대 다수를 차지할 수 있지만, 학과의 특성을 고려한 학과 자율적 진행과정의 비율을 높여주어야 하며 ④ 교육시간 및 요일 배정을 학과 자율적으로 조정하도록 개선하고 ⑤ 교수자가 강의를 처음 시작할 때 충분한 준비가 필요하고 ⑥ 체계적으로 설계된 과목이지만 교육내용이 많아서 교수자와 학습자에게 부담이 되는 것으로 판단되므로 향후 이러한 사항을 충분히 고려하여 개선해야 할 것이다.
여섯째, G-MAP설계도를 운영하시면서 느낀 교수자의 보람과 감상이다.
우리 대학에 처음 들어온 신입생을 제일 먼저 만난다는 설렘과 신입생들이 대학생활에 잘 적응하고, 때로는 편리하고 알차게 영위할 수 있도록 토대를 마련해 주는 계기가 되었으며, 더불어 교수자도 새로운 마음가짐으로 한해를 체계적으로 준비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실제 수업을 운영하면서 교수자로써 부족한 점을 많이 발견하게 되고 학생들에게 교육내용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분발해야 하며, 제공된 강의교안에 대한 간소화 및 재검토 그리고 함께하는 사회활동의 중요성을 알게 하는 프로그램 개발 보완이 필요함을 느꼈다. 또한 작은 성공이 큰 성공을 만들 수 있는 것처럼 성취감을 얻게 하여 학습능력도 키우고 자신의 비전을 세우고, 일궈 가도록 작지만 좋은 습관을 매일 실천하고, 기록하면서 자신의 발전과 성취감 그리고 자신감을 얻는 실천 프로그램을 도입하는 것이 필요함을 느꼈다.
또한 처음 해보는 강의라서 어려움도 많았지만 학부장과 학과장이 매주 수업에 대한 많은 토의를 통해 학과의 특성을 살린 내용으로 수업을 전개하다 보니 교수자로서 신입생의 대학생활을 이해하는 부분에 많은 도움이 되었으며, 학기 초에 집중교육은 학생들과 친숙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며, 조기에 진로를 지도하고 비전을 제시할 수 있었고, 사전에 간단한 초콜렛 등을 준비하여 매 시간마다 같이 먹으면서 소통하며 지속적으로 단톡방을 운영하면서 학생들이 교수자를 전적으로 의지하는 것을 보고 반드시 필요한 교과목임을 거듭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본 교과목을 통해 학생들에게 학과 전공에 대한 자부심과 긍지를 높여줄 수 있는 시간이 되었고 이에 대한 학생들의 적극적인 반응을 보일 때와 15주차 마지막 강의에서 1학년 전체 200여명이 모인 가운데 3명의 학생이 비전선언문을 발표하고, 나중에 우수작을 뽑아 시상을 하면서, 수업하는 동안 자신의 장점을 발견해내고, 자신의 미래 직업과도 연결을 하는 모습을 보는 것이 가장 보람있었다.
그리고 G-MAP 비전선언문 우수 영상 경진대회에 출품했던 우수작품은 입시홍보 및 취업박람회에서 지속적으로 활용함으로써 고등학생들의 관심 및 호감을 유발하는데 실제적인 효과가 있었고 이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최미숙, 2020: 258).

3.4. ‘G-MAP 설계도’ 교과목 환류방안에 따른 개선 및 학생 교육만족도 분석

최근 고등교육에서는 2018년도 대학기본역량진단 평가 2단계 평가에서부터 역량교육에 대한 직접적인 평가가 이루어지게 되었다(교육부, 한국교육개발원, 2018; 2020; 김인영, 2020; 239; 진미석, 2016; 11). 이와같이 대학교육과정이 역량기반 교육과정으로 변화되면서 대학의 ‘인재상’과 ‘핵심역량’의 단순 매칭 교육방식을 넘어 핵심역량진단검사 개발 등 대학의 역량기반 교육 연구와 질 관리를 유도하게 되었다(박은숙, 2021).
이에 따라 W대학교 교양교과도 역량기반 교양교육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학생들의 강의평가 및 교수자 인터뷰와 재학생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여 지속적인 연구와 실질적 사례를 공유하면서 미래인재를 양성하는 역량기반 교양교과목으로 교육의 내실화를 기하고자 노력하였다.
이에 2019년 본 교과목 ‘G-MAP설계도’운영에 따른 학생들의 강의평가와 교수자 인터뷰를 실시하여 개선사항을 도출하여 2020학년도에 ‘G-MAP설계도 워크북’ 교재를 수정 보완하였다. 이에 따라 교육수요자의 요구도가 충분히 반영된 수정 ‘G-MAP설계도’교재를 2020년과 2021년 전문대학 혁신사업 지원으로 W대학교 신입생 전원에게 무상으로 배부하여 본 교과목을 운영하였으며, 그에 따른 주차별 만족도는 <표 18>과 같다.
<표 18>
‘G-MAP 설계도’ 주차별 만족도
주차 역량 수업 내용 만족도 평균
주차별 역량별
1 인문
역량
G-MAP Elite 오티
대학소개 및 LTM 이해
3.58 3.60
2 대학생활 적응하자
학생상담프로그램 소개
3.61
3 WU 프라이드 Up
해피포인트 전략세우기
3.65
4 인재성공설계 Project 3.57
5 공동체역량 신입생실태조사 잠재력발견하기 3.60 3.65
6 학습진단평가
학과교육과정 이해 및 자격증 면허 안내
3.66
7 생명사랑 지킴이교육 및 스마트폰 중독 예방교육
성폭력 가정폭력, 장애인인식개선교육
3.72
8 학습성공설계 Project 3.62
9 글로벌역량 마음여행하기
나에게 보내는 편지 쓰기(인증샷)
3.52 3.63
10 유무념하고 놀자
MBTI 검사결과 분석하기
3.85
11 천리길도 글로윙부터 3.56
12 인성성공설계 Project 3.59
13 창의융합역량 동문 선배 특강 선후배 멘토링
현장을 찾아서 찍고 미래모습설계하기
3.64 3.55
14 비전선언문 작성하기
비전선언문 동영상 제작하기
3.42
15 미래성공설계 Project 3.60
<표 18>에서와 같이 2020학년도 학생들의 만족도는 2019년 교과목 운영에 대한 강의평가 평균 <표 19>에서 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는 본 교과목 수업형태가 온-오프 병행 수업으로 설계되어 운영하였으나, 2020학년도에 갑자기 코로나19로 인하여 본 교과목 운영에 있어서 2학기에 100% 비대면으로 LMS를 통하여 온라인 동영상 강의로 진행되었고, 전년과 동일하게 학과장 중심으로 학생들 피드백을 진행하였으며, 2021학년도에는 코로나19 확산 지속으로 인하여 1학기에 제한적 대면수업과 LMS 비대면 수업으로 병행하여 진행한 결과로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표 19>
‘G-MAP 설계도’ 교육수요자 만족도 조사 설문 응답자 N=1,442
학부 학과 대상자 수 응답자 수 %
보건의료 학부 임상병리과 141 141 100
물리치료과 107 105 98.1
방사선과 110 110 100
치기공과 78 54 69.2
치위생과 125 125 100
의무행정과 78 67 85.9
안경광학과 49 31 63.3
간호학부 간호학과 260 244 93.8
복지 교육학부 유아교육과 64 63 98.4
사회복지과 145 145 100
글로벌 호텔관광학부 글로벌호텔관광과 60 13 21.7
글로벌항공서비스과 16 14 87.7
식품 클러스터학부 식품영양과 52 52 100
외식조리과 92 87 94.6
뷰티디자인학부 3D제품디자인과 30 20 66.7
미용피부화장품과 89 89 100
군사학부 의무부사관과 42 42 100
전투부사관과 40 40 100
합계 1,578 1,442 91%
이에 대학에서는 정기적으로 교육수요자의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여 교양교육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서 요구 분석 반영으로 환류방안 마련 및 개선 노력을 통하여 교과목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만족도 향상과 교양 교육과정 효과를 극대화 하고자 하였다. 이에 2021년 5월 1일부터 2021년 5월 31일까지 본 교과목을 수강한 1학년 재학생 전체를 대상으로 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표 19>와 같이 7개학부 18개학과 1,578명 대상자 중 1,442명의 학생이 본 설문에 응답하여 평균 92%의 높은 응답률을 나타냈다.
그 결과 본 수업 ‘G-MAP 설계도’에 대한 역량별 만족도 결과는 [그림 4]와 같이 나타났다.
[그림 4]
‘G-MAP 설계도’ 교육수요자 역량별 만족도 결과표
kjge-2022-16-1-315-gf4.jpg
[그림 4]에서와 같이 ‘G-MAP 설계도’는 대학의 4대 핵심 역량 중 공동체역량의 만족도 평균이 3.6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창의융합역량의 만족도 평균은 3.55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에 향후 13주차~15주차의 수업 내용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G-MAP 설계도’ 수업 주차별 만족도 결과는 [그림 5]와 같이 나타났다.
[그림 5]
‘G-MAP 설계도’ 수업 주차별 만족도 결과표
kjge-2022-16-1-315-gf5.jpg
[그림 5]와 같이 ‘G-MAP 설계도’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주차별 수업 만족도는 10주차(유무념하고 놀자, MBTI 검사결과 분석하기)가 3.85로 가장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으며, 14주차(비전설계도 선포하기)는 3.42로 가장 낮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다. 이에 향후 14주차 수업 내용 및 운영에 대한 개선 및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2020학년도와 2021학년도 ‘G-MAP 설계도’ 수업 운영에 대한 만족도는 다음 <표 20>과 같이 나타났다.
<표 20>
‘G-MAP 설계도’ 수업 운영에 대한 만족도 결과표
번호 질문내용 만족도 평균
2020 학년도 2021 학년도
Q5. 주 2회(7주차 종강)로 실시된 교과목 운영방법에 대한 만족도 2.61 3.59
Q6. 온라인 운영의 적절성에 대한 만족도 2.22 3.98
<표 20>에서와 같이 2020학년도는 코로나19로 인하여 전면 비대면 수업으로 운영되었다. 이에 주 2회 집중이수제 형태의 운영방법에 대한 만족도 및 온라인 운영 적절성에 대한 만족도가 평균 2.42로 낮게 나타났으며, 2021학년도는 제한적 대면 수업 및 비대면 수업 운영으로 전년도에 비하여 평균 1.37 편차를 보이며, 3.79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본 교과목 ‘G-MAP 설계도’ 수업 운영에 있어서 미흡한 점은 <표 21>과 같이 나타났다.
<표 21>에서와 같이 2020학년도에는 수강 후 학생의 자존감 향상이 2.59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2021학년도에는 수강 후 학교 및 학과에 대한 자부심이 3.5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전년도에 비해 가장 편차가 크게 향상된 내용 또한 수강 후 학교 및 학과에 대한 자부심이 0.98로 많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표 21>
‘G-MAP 설계도’ 수업 운영에 대한 미흡한 점 결과표
번호 질문내용 만족도 평균
2020 학년도 2021 학년도
Q8. 수강 후 학생의 대학생활 목표가 설계되었는가? 2.61 3.41
Q9. 수강 후 학생의 자존감이 향상되었는가? 2.59 3.40
Q10. 수강 후 학교 건학이념 실천 노력이 향상되었는가? 2.56 3.43
Q11. 수강 후 학교 및 학과에 대한 자부심이 향상되었는가? 2.53 3.51
또한 본 교과목 ‘G-MAP 설계도’ 수강 후 향상된 역량은 <표 22>와 같이 나타났다.
<표 22>
‘G-MAP 설계도’ 수강 후 향상된 역량 결과표
학년도 ①인문역량 ②창의융햡역량 ③글로벌역량 ④공동체역량
2020 362(28%) 295(23%) 295(23%) 327(26%)
2021 418(29%) 316(22%) 211(15%) 497(34%)
<표 22>에서와 같이 ‘G-MAP 설계도’ 수강 후 향상된 역량 결과로는 2020학년도에 인문역량이 28%로 가장 높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2021학년도에는 공동체역량이 34%로 가장 높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G-MAP 설계도’ 교과목 운영에 대한 종합분석 결과 환류방안 개선사항으로 도출된 내용은 2022학년도 G-MAP설계도 교과목운영에 있어서 역량별 교육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타난 13주차~15주차의 수업 내용 및 운영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주차별 만족도 결과가 가장 낮게 나타난 14주차 수업에 대한 전반적인 수업 내용 및 운영방법 개선이 반드시 필요함을 시사해주고 있다.

4. 결론

이에 논자는 본 연구를 통해서 21세기 지식기반 사회의 각 분야에서 요구되는 지식과 기술 및 덕성을 연마하고 자기주도적 문제해결력과 창의성을 육성하여 국가와 사회발전에 기여할 중견 직업인을 양성하는데 있어서 비교과 프로그램 모듈화를 통한 역량기반 교양교과목으로 개발 운영한 ‘G-MAP 설계도’를 통해 다음 3가지의 긍정적인 연구결과를 시사하고자 한다.
첫째, 본 교과목은 신입생에게 있어서 대학생활 전반에 대한 이해력과 적응력 증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과목이며, 또한 이를 계기로 대학 신입생에게 주 2회 학과장과의 집중이수제 수업운영을 통해 대학생활 적응이 어려운 학생들을 조기에 발견하여 적절한 지도가 가능하여 신입생 중도탈락을 예방하는 기회 제공의 계기가 되었음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대학내 교양교육전담기구 조직이 구성되지 않은 대학에서도 교양교육 강화를 위하여 순차적으로 교양교육 전담인력양성과 교양교과에 대한 졸업이수 학점 확대를 위한 교양교과목 개발에 대한 실현 가능한 사례를 제시한 점에 있어서 대학교육양교육 발전에 시사한 바가 크다.
셋째, 대학차원에서 교양교육 중요성에 대한 인식 고취를 위하여 교양교과목을 담당하는 교수자 및 전공담당 교수자가 함께 운영 가능한 교양교육의 실질적 사례연구 공유로 교양교육의 확장성을 제시한 점에 교육적 의의를 둔다.
넷째, 비교과 프로그램 모듈화를 통한 역량기반 교양교과목 개발과정 및 절차를 소개하고, 이를 토대로 3년간 실시한 다양한 수업 방식 및 운영에 대한 교수자 포커스 인터뷰로 교과목 환류개선 적용 및 교육수요자 만족도 조사를 통한 요구도를 충분히 반영한 사례를 제시한 점에 있어서 향후 대학 교양교육 운영의 다각화 및 교양교육의 발전적 방향 모색에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다섯째, 교양교육의 중요성이 높아지는 시기에 비교과 프로그램 모듈화를 통한 교양교과목 연계 및 역량기반 교육과정으로의 확대를 통한 3년간의 종단연구는 교양교육에 대한 교육성과 및 효과성 확대 가능한 사례를 제시한 점에 중요한 교육적 의미를 둔다.
이러한 측면에서 살펴볼 때 본 연구는 비록 전문대학 일개 사례만을 연구했다는 한계점이 있을 수 있으나, 향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하여 일반화가 가능하고 후속 연구 자료로 충분히 활용될 가치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에 본 논문을 마무리하면서 향후 후속 연구에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교과목이 대학생활 적응력 증진 정도 및 중도탈락률 감소에 미치는 사전-사후 효과검증 연구이다.
둘째, 대면-비대면을 병행한 대학 교양교육이 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효과와 창의력 및 문제해결력 증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셋째, 역량기반에 따른 교양교과목 개발 및 운영 모형을 개발하고, 전공교과목과 연계하여 다양한 방식의 융복합교양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이다.
넷째, 융복합 교양교육이 요청되는 시대적 상황 속에서 대학생 전인교육을 위한 비교과 프로그램 및 교양교과와 전공교과를 연계한 대학 교양교육과정 재구조화 연구이다.
이에 논자는 본 연구를 계기로 다양한 형태의 교양교과목 개발 및 운영이 활성화 되어 대학생활에 있어서 교수자와 학습자 상호협력을 통한 새로운 교양교과목 개발 및 운영으로 대학교양 교육의 혁신적 발전을 위한 연구에 함께할 것이며, 이에 대한 지속적인 후속 연구가 이어지길 기대하면서 본 논문을 마무리 한다.

참고문헌

교육부, 한국교육개발원. (2018). “2018년 대학기본역량진단 편람 설명회 자료집”.

교육부, 한국교육개발원. (2020). “2021년 대학기본역량진단 편람 설명회 자료집”.

김수연, 이명관(2016). “대학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 인식 및 수요조사를 통한 운영방향성 제고”,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9),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585-509.

김순임, 이효성, 김현정, 서명희(2013). “ 대학 교양교육의 흐름과 발전 방안: 전남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7(1), 한국교양교육학회, 11~39.

김인영(2020). “역량기반 교양교육 설계 요건과 적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교양교육연구 14(6), 한국교양교육학회, 237-251.

남미영(2014). “교양으로서의 철학 교과목 필요성 및 운영 사례”, 한국교양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교양교육학회, 149-158.

류지은, 임정훈, 윤경신, 정진철(2016). “국내 직업기초능력 연구동향 분석”, 농업교육과인적자원개발 48(3), 53-81.

문성동, 엄기수(2015). “대학에서 비교과 영역의 만족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공학회지 20(1), 한국경영공학학회, 147-160.

민춘기(2017). “융복합 교양교과목 개발 및 운영 사례”, 한국교양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교양교육학회, 294-299.

박은숙(2021). “핵심역량기반 교양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연구 - N 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5(3), 한국교양교육학회, 147-168.

배상훈, 김혜정(2012). “대학생의 학습참여(Student Engagement) 측정 모델의 타당성 검증”, 교육행정학연구 30(1), 교육행정학회, 499-523.

양근우(2015). “대학 비교과 교육과정 관리 및 인증시스템 UCAAM의 구축 및 운영”, 정보시스템연구 24(3), 한국정보시스템학회, 115-131.

원광보건대학교(2017.12). “2017년 교양교육과정 개발 보고서”.

원광보건대학교(2018.01). “교양과정개발운영위원회 회의록”.

원광보건대학교(2018.11). “교양과정개발운영위원회 회의록”.

원광보건대학교(2018.12). “2018년 직업기초능력 개발 보고서”.

원광보건대학교(2019). “2019년 교육과정운영지침”.

원광보건대학교(2020.12). “2021년 교양교육과정 개발 보고서”.

원광보건대학교 혁신교육원(2020). “원광보건대학교 비교과 교육과정 운영개선 연구보고서”.

이수현(2020). “전문대학 역량기반 교양교육과정 개발 연구: D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4(2), 한국교양교육학회, 222-246.

임종헌, 유경훈, 김병찬(2017). “4차 산업혁명사회에서 교육의 방향과 교원의 역량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교육연구 44(2), 한국교원교육학회, 5-32.

정승원, 장현수, 김세준(2020). “한국교양기초교육원의 표준모델을 적용한 4년제 대학 교양기초 교육의 현황과 시사점”, 교양교육연구 14(5), 한국교양교육학회, 83-95.

진미석(2016). “핵심역량은 교육의 오래된 질문에 대한 새로운 해답이 될 수 있는가?”, 핵심역량교육연구 1(1),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1-24.

최미숙(2012). “원불교 상시훈련법 기반 교화단장 리더십 훈련 프로그램 개발 및 그 효과”,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0.

최미숙(2017). “4차 산업혁명시대에 따른 전문대학 교양교육의 개선 방향 연구”, 교양교육연구 11(6), 한국교양교육학회, 663-702.

최미숙(2020). “비교과프로그램을 모듈화한 교양교과목 개발 및 운영사례 (신입생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G-MAP 설계도’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교양교육학회, 252-259.

최미숙(2020). 지맵설계도워크북, 동호 커뮤니케이션.

최미숙(2021). 지맵설계도워크북, 동호 커뮤니케이션.

Kuh, G. iD(1995). “The other curriculum;Out-of-class experiences associated with student learning and personal development”, The Journal of Higher Education 66(2), 123-155.
crossref
Schroeder, C. C(1999). “Partnerships;An imperative for enhancing student learning and institutional effectiveness”, New Directions for Student Services 87:5-18.
crossref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203-827. Chung-Ang University
84, Heukseok-ro, Dongjak-gu, Seoul, Republic of Korea, 06974
Tel: +82-2-820-5949    E-mail: hangang331@cau.ac.kr                

Copyright © 2022 by The Korean Association of General Education.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