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이론적 배경
2.1.1. 비대면 수업의 특징
2.1.2. 비대면 수업 관련 선행연구
2.2. ‘교양한문’의 교과개요 및 컨설팅 결과
2.2.1. ‘교양한문’의 교과개요 및 특징
2.2.2. 티칭 마에스트로(Teaching MAESTRO) 교육과정 연계 교수-학습 혁신 프로그램 컨설팅3)
▶2021-1학기 교양 핵심역량 기반 교육 실행 현황에 따른 컨설팅 결과
- ‘교양한문’은 교과목 균질성 측면에서 전체 강좌가 동일한 역량과 수업방법, 평가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 역량기반 교육 실행에서 학습자 참여 중심 수업방법은 핵심적인 수업실천으로 볼 수 있다.
- 한문수업에서 전통적인 강의법을 벗어나려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 학습자 참여 중심의 수업방법과 이에 따른 과정 중심 평가방법의 적극적 도입을 권장한다.
▶교수-학습 개선 지표 분석 결과에 따른 컨설팅 결과
- 연차별 핵심역량 추이를 분석한 결과, ‘교양한문’ 수강생들의 핵심역량 전체 평균이 3.85점 상승하였다.
- 핵심역량별 차이에서 협업(▲6.55)이 가장 높고, 그 다음 자기관리(▲5.68), 말하기/듣기(▲5.10)의 순으로 높은 향상도를 보인다.
- ‘교양한문’의 주역량인 의사소통(82.00)과 부역량인 리더십(81.88), 시민의식(82.14)역량은 2020학년도 기준 대학 전체 평균(80.95, 81.05, 81.45)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다.
▶교과목 CQI 보고서 및 수업평가 분석 결과 컨설팅 결과
- 2020학년도 ‘교양한문’의 수업평가 평균 분석 결과, 1학기는 4.21 이었던 것에 비하여 2학기는 4.39로 0.18 증가하였다. 이는 학습자가 수업을 통해 자신의 지식과 역량이 향상되었음을 드러낸 결과이다.
3. 연구 방법
<표 1>
<표 2>
3.1. 기본 한자⋅한문을 읽고 쓸 수 있게 하는 흥미롭고 쉬운 학습방법
3.2. 한자어와 성어를 실생활에서 적절하게 활용하여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 방법
3.3. 한문고전 명언명구의 이해를 통한 바른 인성과 리더십, 그리고 시민정신 고취 방법
4. 연구 결과
4.1. <공통수업계획서>에서 <표준수업계획서>로의 전환
4.2. 비대면 교수학습법 연구
4.3. 선순환 하는 ‘교양한문’ 수업 활동
4.4. 사이버캠퍼스(Cyber Campus) 학습 메뉴를 활용한 수업 진행
<표 3>
영역 | 수업관련 | 보충자료 |
---|---|---|
교수자 영역 |
강의계획서 온라인강의 실시간화상강의 공지사항 |
출석 성적 강의자료 자료 가져오기 |
학습자 영역 |
과제 시험 학습진단 |
투표 설문 팀프로젝트 |
상호 소통 |
질의응답 토론 쪽지 |
열린게시판 수강생모니터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