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봉(2019). “인공지능 시대 빅 히스토리의 인문학적 전환”, 인간환경미래 22(4), 63-88.
김윤지(2019). “빅 히스토리를 적용한 교양 과학사 융합교육의 사례 연구”, 교양교육연구 13(5), 81-98.
김환석(2020). “사회과학과 신유물론 패러다임 - 사회학 분야를 중심으로”, 안과밖 48, 121-142.
너스, 폴, 이한음 역(2021). 생명이란 무엇인가: 5단계로 이해하는 생물학, 까치.
드앤, 스타니슬라스, 엄성수 역(2021). 우리의 뇌는 어떻게 배우는가 - 배움의 모든 것을 해부하다, 로크미디어.
라투르, 브뤼노, 홍철기 역(2009). 우리는 결코 근대인이었던 적이 없다: 대칭적 인류학을 위하여, 갈무리.
로젠블룸, 브루스, 커트너, 프레드, 전대호 역(2012). 양자 불가사의 물리학과 의식의 만남, 지양사.
르두, 조지프, 박선진 역(2021). 우리 인간의 아주 깊은 역사, 바다출판사.
세이건, 칼, 현정준 역(2001). 창백한 푸른점, 사이언스북스.
아인슈타인, 알베르트, 김명남 역(2015). 아인슈타인이 말합니다 - 세기의 천재 아인슈타인이 남긴 말, 에이도스.
안성찬(2009). “전인교육으로서의 인문학-독일 신인문주의의 ‘교양(Bildung)’ 사상-”, 인문논총 제62집, 99-126.
엘리아스, 노르베르트, 박미애 역(1999). 문명화과정 1, 한길사.
오철우(2009). 갈릴레오의 두 우주체계에 관한 대화 - 태양계의 그림을 새로 그리다, 사계절.
카머너, 배리, 고동욱 역(2014). 원은 닫혀야 한다, 이음.
크리스천, 데이비드, 김용우, 김서형 공역(2009). 세계사의 새로운 대안, 거대사, 서해문집.
크리스타키스, 니컬러스 A., 홍한결 역(2021). 신의 화살 - 작은 바이러스는 어떻게 우리의 모든 것을 바꿨는가, 윌북.
홍성욱 편(2010). 인간⋅사물⋅동맹: 행위자네트워크 이론과 테크노사이언스, 이음.
Bechthold-Hengelhaupt, Tilman(1990). “Bildung als Erkenntnis des Unaussprechbaren. Über Sprache und Wahrheit bei Meister Eckhart”,
Zeitschrift für wissenschaftliche Pädagogik 66(4), 478-497.
Clever, Iris, Ruberg, Willemijn(2014). “Beyond Cultural History?The Material Turn, Praxiography, and Body History”,
Humanities 3:546-566.
Humboldt, Wilhelm von(1967/68). Gesammelte Schriften Bd. 1, hrsg, Berlin: von der Königlichen Preusis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Jirout, Jamie, Klahr, David(2020). “Questions - And Some Answers - About Young Children's Questions”,
Journal of Cognition and Development 21:729-753.
Bricmont, Jean(2015). quoted in Zeeya Merali, “What is Really Real?”,
Nature 521:278-280.
Kimball, Bruce A(1986). Orators and Philosophers:A History of the Idea of Liberal Education, Teachers College Press.
Meyer-Drawe, Kte(1999). “Zum metaphorischen Gehalt von 'Bildung'und 'Erziehung'”, Zeitschrift für Pädagogik 45(2), 161-175.
Weber, M(1988a). “Wissenschaft als Beruf”,
Gesammelte Aufsätze zur Wissenschaftslehre, Tübingen: Mohr, 582-613.
Weber, M(1988b). “Die 'Objektivität'sozialwissenschaftlicher und sozialpolitischer Erkentniss”, Gesammelte Aufsätze zur Wissenschaftslehre, Tübingen: Mohr, 22-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