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론
2. 이론적 배경
<표 1>
<표 2>
3. 온라인 토론 수업의 적용 사례
3.1. 수업 설계
3.2. 수업 적용 대상 및 절차
4. 수업에 대한 학습자 인식 조사
4.1. 조사 개요
<표 3>
등급 | 응답자 수 | 수강생 수 | 응답률 |
---|---|---|---|
초급 | 37 | 41 | 90.2% |
중급 | 76 | 101 | 75.2% |
고급 | 123 | 161 | 76.4% |
계 | 236 | 303 | 77.9% |
Korean J General Edu > Volume 15(6); 2021 > Article |
|
등급 | 응답자 수 | 수강생 수 | 응답률 |
---|---|---|---|
초급 | 37 | 41 | 90.2% |
중급 | 76 | 101 | 75.2% |
고급 | 123 | 161 | 76.4% |
계 | 236 | 303 | 77.9% |
2) 물론 많은 대학에서 외국인 유학생들의 한국어 능력 신장을 위한 <한국어> 교과목이나 <글쓰기> 교과목을 개설하고 있지만, 강의 시간의 한계로 인해 꼭 가르쳐야 하는 지식이나 이론을 강의에서 다루고, 학습자들이 실제로 활동을 수행하는 데에는 시간을 많이 할애하지 못하는 것이 사실이다. 김규훈(2016)에서는 많은 한국어 교과목이 한정된 수업 시간 안에 지식의 전달과 이해, 연습과 적용의 모든 과정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럴 경우 효과성이 떨어질 수 있음을 지적한 바 있다.
3) 플립드 러닝은 영어로 flip learning, flipped classroom, inverted learning 등이라고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한글과 영어 모두 플립드 러닝으로 통일하여 기술하였음을 밝혀 둔다.
4) 전영미 외(2019: 88)은 2018년 7월에 미국 텍사스대학의 교수혁신센터 홈페이지에서 이 자료를 인출하였다. 현재는 1~2단계와 4~5단계가 합쳐서 Before, During, After의 3단계로 제시되어 있다. 이것은 학습 공간을 기준으로 in class와 out of class로 재분류한 것일 뿐, 활동 내용에는 큰 변화가 없다. 이에 본고에서는 단계별 활동을 보다 자세히 알아보고자 이전의 5단계를 따랐다.
6) 학습자의 숙달도는 대표적인 한국어 숙달도 평가 도구인 한국어능력시험(TOPIK)을 기준으로 하였다. 한국어능력시험(TOPIK)에서 1, 2급은 ‘초급’으로, 3, 4급은 ‘중급’ 5, 6급은 ‘고급’으로 분류되었다.
A Case Study of Flipped Learning in College Liberal Arts Classes2019 December;13(6)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