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들의 비대면 수업 평가 방식 공정성에 대한 인식 연구 -I 대학의 비대면 수업 평가 공정성에 대한 인식 진단을 중심으로

Undergraduate Students’ Perceptions of Fairness in the Evaluation Systems for Non-Face-to-Face Classes -Focusing on the Case of I University Students

Article information

Korean J General Edu. 2021;15(6):301-318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1 December 31
doi : https://doi.org/10.46392/kjge.2021.15.6.301
이경자1, 유정민2
1 제1저자, 인하대학교 교수, leekj@inha.ac.kr
Professor, Inha University
2 교신저자, 인하대학교 교수, jmyoo@inha.ac.kr
Professor, Inha University
이 논문은 인하대학교의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Received 2021 November 20; Revised 2021 December 03; Accepted 2021 December 27.

Abstract

본 연구는 I 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비대면 수업 평가 방식 공정성에 대한 인식 진단을 중심으로 비대면 수업 평가의 공정성을 높이고 나아가 비대면 수업의 질을 높이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설문 조사 방법을 이용하여 비대면 수업의 평가기준, 평가방법, 평가결과에 대해 대면 수업과의 차별적 인식을 조사하고, 비대면 수업 평가의 공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요인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대면과 비대면 수업의 평가방식이 차별화되어야 하며, 실제 대면과 비대면 수업의 평가방식에는 차이가 있다고 인식하였다. 이들은 대면 수업과 비대면 수업의 평가 공정성에 차이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실제 평가결과는 대면 수업과 차이가 없거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는 등 비대면 수업 평가의 공정성에 대해 이중적인 인식 기준을 보였다. 또한, 비대면 수업의 평가방법이 평가 공정성에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인식하며, 연구대상 학생들의 대면과 비대면 수업 경험에 따른 교육 경험이 평가 공정성 인식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에 기반하여 비대면 수업에 있어 수업 공정성 인식에 영향을 주는 교수자의 현존감과 상호작용 부재의 문제점 등을 적절하게 극복할 수 있는 대면-비대면 융합형 수업 설계를 제안하며, 비대면 평가의 단점을 극복하는 개별화된 평가방식의 개발 및 비대면 온라인 시스템을 이용한 다양화된 교육 형태의 개발과 개별화된 교육 운영이 가능한 시스템의 개발 및 온라인 학습의 질을 향상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의 필요성 등을 제시한다.

Tran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fairness in the evaluation systems for non-face-to-face classes, and to propose improvement plans ensure their quality. It is based on a questionnaire survey regarding the undergraduate students’ perceptions of fairness in the evaluation systems for non-face-to face classes, focusing on the case of I University students. We investigated the undergraduate students’ perceptions of fairness in the evaluation standards, evaluation methods and evaluation results for non-face-to-face classes in order to discover what important factors have an influence on these evaluation criteria.

From the results, we found that students believe that evaluation systems for non-face-to-face classes should be differentiated from those of face-to-face classes. They consider the fairness in the evaluation systems of non-face-to-face classes to be differentiated from face-to-face classes. However, they do not differentiate between the two when it comes to actual evaluation results, and they were even more highly satisfied with the evaluation results under non-face-to-face systems, showing a degree of duplicity in their assessment. Further, they consider evaluation methods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fairness in the evaluation system for non-face-to-face classes. These results are also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students’ different class experiences.

From these results we propose that a blended learning system should be adopted for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classes,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s inherent in the non-face-to-face classes, such as a shortage of actual contact and communication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We also suggest that universities develop individualized education and evaluation systems applying various online education techniques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that must now cope with the problems and challenges of providing non-face-to-face classes.

1. 서론

코로나 19라는 세계적인 팬데믹(pandemic)의 영향이 사회 전반에 변화를 초래하고 있는 가운데 교육 현장도 큰 변화가 있었다. 2020년 1학기 개강 연기를 시작으로 전체 비대면 수업으로 전환된 혼란스러운 첫 학기를 보낸 후 팬데믹 현상의 장기화로 대학에서는 현재까지 4학기째 온라인 비대면 수업이 주를 이루고 있다.

비대면 수업은 동영상 강의를 사전에 제작하여 서버에 업로드하고 학생들이 수업시간 또는 해당 주차에 동영상을 시청하거나 화상 채팅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온라인 수업을 진행하는 등 학생들을 대면하지 않고 통신기기를 이용하여 진행된다. 자발적이지 않은 상황이었지만 2020년 첫 학기가 지난 후에 조사한 비대면 수업에 대한 학생과 교수자의 인식은 우려만큼 부정적이지 않았고 일정 부분 선호하는 경향도 있었다(강경란, 2020). 다양한 시행착오를 거치며 구성원들의 불만을 야기하던 비대면 수업은 시간이 지나면서 대학 내의 새로운 교육체제로 빠르게 자리잡아 가고 있다(서순식, 2020).

비대면 수업에 대한 연구는 비대면이 실시되던 초반에는 비대면 수업의 특성이나 만족도, 효과성, 문제점 등이 주를 이루었으나 비대면 수업 상황이 지속됨에 따라 수업실태를 파악하고 문제점을 개선한 수업 환경을 찾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발표되고 있다. 비대면 수업 진행과 더불어 평가 또한 대면 시험 대신 온라인 시험이나 과제로 대체하는 등의 다양한 평가 형태로 진행되고 있어 학생과 교수자들의 불안함과 불편이 가중되고 있다(백종남 2020). 이에 비대면 수업 관련 논의는 강의에 대한 연구뿐만 아니라 해당 과목의 평가방법이나 방향 등과 관련한 개선방안을 찾아야 할 필요로 확대된다(문화진, 2021).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비대면 수업의 진행과 더불어 변화된 비대면 수업의 평가방식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보다 공정한 비대면 수업에서의 평가방식에 대한 논의를 강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인천 지역 I-대학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세 학기 이상 진행된 비대면 수업의 평가방식에 대한 인식을 설문을 통해 조사하였다. 비대면 수업의 평가기준, 평가방법, 평가결과 등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특히 학생들이 이러한 비대면 수업의 평가방식에 대해 대면 수업과 평가방식의 차별성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지, 실제 차이가 있다고 인식하는지, 그리고 대면 수업의 평가방식에 비해 평가 공정성에 차이가 있다고 생각하는지 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으며, 이러한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한 논의를 통해 비대면 수업의 평가방식에 대한 인식과 실제의 차이와 문제점을 진단하고 개선의 방향성을 제안해 보고자 하였다.

기존의 선행연구에서도 수업의 평가 공정성에 대한 여러 논의가 이루어 진 바 있으나, 비대면 수업의 평가 공정성에 대한 논의나 이에 대한 실증 연구의 결과는 부족한 실정이다. 수업의 공정성에 대한 연구로 학생들의 공정성에 대한 인식, 공정성 저해요인과 해결방안 등을 제시한 연구(윤관식, 박민주, 2021)가 있으나 이는 대면수업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일부 학생들의 인터뷰를 통한 분석이라 일반화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정재원(2020)의 연구 등에서도 평가의 공정성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으나 이는 교수자의 입장에서 수업 평가의 공정성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하고 있어 학습자 중심의 평가공정성을 논의하는 본 연구와 차이점이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가 공헌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아직 다루지 못한 비대면 수업의 평가 공정성에 관한 실증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학생들이 인식하는 비대면 수업의 평가에 대한 인식과 실제에 대한 차이를 평가기준, 평가방법, 평가결과의 다양한 관점에서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부정행위의 가능성, 평가기준의 명확성과 적정성 등 학습자들의 수업 평가 공정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요인들을 발견하였다. 특히, 학생들의 학습 경험이 이들의 수업 평가 공정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에도 주목하여 새로운 관점을 더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이와 함께, 비대면 수업의 평가에 관련한 정량적인 실증 자료를 제시하여 해당 분야의 연구의 초석을 마련하고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차별적 가치를 찾을 수 있으며, 이러한 실증적인 발견을 바탕으로 대면과 비대면을 융합한 수업 설계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교육 운영 시스템의 다양화와 온라인 학습의 질을 향상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에 대한 필요성 등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2장에서 온라인 비대면 수업과 수업 평가 공정성에 관한 선행연구를 소개한다. 3장에서는 연구방법론을 요약하고, 4장에서 I-대학의 비대면 수업 평가 공정성에 대한 인식진단 설문 결과를 보고하며, 5장에서 이에 대한 논의와 결론을 제시한다.

2. 온라인 비대면 수업과 수업 평가 공정성에 대한 선행연구

2.1. 온라인 비대면 수업에 관한 선행연구

대학에서의 온라인 비대면 수업은 교수자와 학습자가 서로 대면하지 않고 실시간 또는 동영상으로 수업하는 형태가 주를 이룬다. 코로나 팬데믹 이전 온라인 교육은 필요성에 대한 인식 확대와 대대적인 교육 패러다임의 전환에도 불구하고 주로 대면 교육을 보조하는 수단이나 대면수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추가 교육과정으로 인식되었다(황요한과 김창수, 2021). 실제로 코로나19 발생 직전인 2019년 10월 대학알리미 조사에 따르면 사이버대학이나 방송통신대학을 제외하고 국내 4년제 대학의 온라인 수업 비중이 대학 전체 수업의 약 1%에 머물러 있었다(도재우, 2020).

대부분의 교수자가 대면 강의에 익숙하고 온라인 수업에 대한 경험이 없었던 터라 비대면 수업이라는 낯선 수업 환경으로의 변화는 새로운 도전과제였다. 코로나 이전 대면 수업의 보조수단으로 구축된 학습관리시스템(LMS)은 부분적 온라인 학습은 문제없이 지원가능 하였으나 코로나로 인해 전면적으로 비대면 원격수업을 실시하면서 시스템 접속 장애, 교육 기회 불균형, 사생활노출, 저작권 침해, 학습 효율성 저하 등 예상치 못한 문제들이 발생했고(오재호, 2020) 교수자는 새로운 기술에 적응하며 차질없이 수업을 진행하기에 급급한 한 학기를 보냈다(홍성연, 2020). 온라인 수업 설계 경험이 없는 교수자들은 비대면 전환과정에서 수업구조 재설계 요구, 기존 교수 전략 부적합, 교수자와 학습자의 낮은 온라인 수업 준비도, 온라인 수업에 대한 대학의 한정된 이해와 지원, 수업외 활동 설계 부분에서 어려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도재우, 2020).

학습자의 경우에도 초기에는 비대면 수업 환경에 대한 적응에 있어 어려움을 느끼고 비대면 대학 생활에서 나타나는 스트레스를 경험했다는 다양한 사례들이 제시되었다(문화진, 2021). 교육부에서 시행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1), 학습자들의 입장에서는 비대면 원격 수업시 가장 원천적인 접속 불안정과 집중력 저하, 과제 수행의 어려움 등의 문제 뿐 아니라 학습량이 증가하거나, 교수나 학생들과 상호작용이 충분하지 못하며, 학생 스스로 자기관리를 하는 데 어려움을 느낀다고 분석하였다.

그러나 점차 비대면 수업의 경험이 안정화되면서 비대면 수업은 코로나19 이후 기술로 교육을 혁신하는 에듀테크의 본격적 출발을 알리는 경험이 되었다(오재호, 2020). 교육부의 ‘2020년도 1학기 원격교육 경험 및 인식조사 설문’에 따르면, 비대면 수업 초기의 혼동에서 벗어나 코로나19 이후의 원격 수업 필요성에 대한 대학생들의 의견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2),, 비대면 수업에 대해 녹화된 강의를 자유롭게 복습할 수 있고, 시공간적 제약으로부터 자유로워서 효율적⋅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는 등의 장점을 경험하고 있다(김용훈, 2020; 이동주와 김민숙, 2020). 이처럼 시간이 지남에 따라 비대면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우려만큼 부정적이지 않았으며 교수와 학생 모두 비대면 원격교육에 대해 일정부분 선호하는 경향도 확인되었다(강경란, 2020). 특히 초반에 경험한 여러 문제점들이 개선되고 시스템이 보완되어 점점 안정성이 확보되면서 온라인 학습의존도가 높아지고 있고, 수업 만족도 또한 2019년과 비교해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는 점이 선행 연구를 통해 보고된 바 있다(이시철 외, 2020).

이와 같은 배경 하에, 비대면 수업에 대한 연구는 비대면이 실시되던 초반에는 비대면 수업의 특성이나 만족도, 효과성, 문제점 등의 실태파악이 주를 이루었으나 비대면 수업상황이 지속됨에 따라 문제점을 개선한 수업환경을 찾기 위한 연구들이 발표되고 있다. 홍성연(2020)은 교양교과목을 담당하는 77명의 교수들을 대상으로 2020년 1학기 교양교과목 수업성찰 자료를 바탕으로 교수들이 어떻게 대응하고 그 결과를 어떻게 평가하는지를 분석하여 개선사항을 도출하였는데, 개선사항으로 동영상 강의와 실시간 수업의 균형, 학습과제 및 학습량 조절, 수업자료 및 동영상의 질 개선, 평가의 공정성과 변별력 강화, 상호작용과 피드백 강화, 다양한 소프트웨어 도구의 활용 확대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홍성연과 유연재(2020)는 수업만족도와 달리 2020년 학생의 학습성과는 전년에 비해 위축되었으며, 비대면 원격교육 상황에서도 충분한 학습성과를 담보하기 위해서는 유의미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수업 운영과 교육활동을 설계해야 한다고 지적한 바 있다. 이러한 비대면 수업에 대한 활발한 논의와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는 한동안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비대면 수업의 개선 방안에 대한 선행연구의 논의를 비대면 수업의 평가 방식에 대한 평가 공정성의 영역으로 확장하고자 한다.

2.2. 수업의 평가 공정성에 대한 연구

대학에서 좋은 수업의 특성을 찾기 위해 강의평가의 질적 내용을 분석한 윤소정(2012)은 지식의 심화, 쉬운 설명, 교수자의 열정, 자유로운 교수 학생간 소통, 다양한 수업매체 활용, 공정하고 객관적인 평가 요인을 좋은 수업의 특성으로 꼽았고 이은화와 김회용(2008)은 학습동기 유발, 학습활동에의 직접 참여, 충실한 피드백과 평가의 공정성을 좋은 수업의 특성으로 제시하였다. 두 연구자 모두 평가의 공정성을 좋은 수업의 특성으로 포함시키고 있으며, 비대면 환경 하에서의 수업 평가에도 이러한 평가 공정성은 중요한 요소로 생각된다. 좋은 수업의 평가요인으로 평가 공정성을 논의하는 선행연구는 다양하나, 대부분 대면 수업을 전제로 하고 있으며 비대면 수업을 특정하는 평가 공정성에 대한 선행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원활한 비대면 수업 운영을 위해서는 효과적인 비대면 수업을 구성하는 요인과 특성을 탐색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학습자에게 좋은 수업은 평가방법과 관련있다는 인식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어 비대면 수업에 있어서도 수업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평가의 공정성을 확보하는 것은 좋은 수업을 위한 기본이라고 할 수 있겠다(임이랑 외, 2020).

교수자의 경우에도 평가의 공정성은 민감한 요소로, 비대면 평가시 학생들을 직접 감독할 수 없어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에 부담을 느낄 뿐 아니라(정재원, 2020) 학습지원시스템의 한계로 단답형 또는 선택형과 같은 평가에 의존하는 까닭에 깊이 있는 지식에 대한 평가나 논의가 어렵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이시철 외 2020). 이에 학생들의 다양한 부정행위 가능성에 대비하기 위하여 다양한 문항을 개발하여 학생들에게 서로 다른 문제를 제공하는 등 부정행위 방지에 심혈을 기울여야 한다. 공정한 평가가 비대면 평가의 질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부정행위 방지를 위한 방안을 수립할 필요성 또한 제기되고 있다(정재원, 2020). 이러한 평가 공정성에 대한 기본적인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비대면 환경 하에서의 수업 평가 공정성에 초점을 맞추어 학생들의 인식을 진단하고 그 특징과 차별점을 발견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비대면 환경 하에서 학생들은 온라인 시험 운영과 그 결과에 대한 불신감이 있다. 온라인 시험에서 부정행위가 용이할 수 있어 공정성에 의심을 품는다거나 온라인 시험에 맞추어 상당히 단순화된 형식의 시험문제들로 인해 학점 산출 근거에 대해 의문을 갖게 되고 평가결과에 대해서도 불만을 가지게 된다(문화진, 2021). 수업의 공정성은 교육적 맥락에서 발생하는 결과나 과정에 관한 공정성 인식이다(조윤경, 2018). 수업에서 공정성은 객관적 현실 또는 교수자의 실제행위가 아니라 학생들의 인식이라는 점에서 학생들의 수업에 관한 다른 인식들의 영향을 받을 수 있지만(조윤경, 2018) 수업의 신뢰성을 위해 평가의 공정성을 확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분야라고 할 수 있다.

윤관식, 박민주(2021)는 K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표적집단면접법(FGI)을 통해 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평가공정성을 저해하는 요소 및 개선방안을 정리하였다. 학생들은 성적분배의 공정성을 저해하는 요소로 족보와 무임승차를 꼽았고, 절차공정성을 저해하는 요소로 평가방법과 평가기준을 사전에 안내하지 않는 경우를 꼽았으며, 상호작용 공정성을 저해하는 요소로는 과정평가의 피드백과 결과평가의 피드백 부족을 꼽았다. 조윤경(2018)은 절차공정성의 경우 교수자가 수업내용을 명확하게 전달하는 것만으로도 절차 공정성 인식이 높아지며(Cropanzano & Greenberg, 1997) 수업 내용뿐만 아니라 학점 및 강의 운영과 관련하여 평가기준을 명확하게 제시하고 피드백을 주거나(Chesbro, Martin, & Bulson, 2004) 강의계획서에 제시된 대로 수업을 운영하고 평가하는 것이 공정성 인식을 높인다(Tata, 1999)고 분석했다.

대면 환경 하에서의 평가의 공정성에 대해서는 다수의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아직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 대해서는 평가의 공정성에 관련한 연구가 부족하고 경험적 사례를 찾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대면과 비대면 수업 참여 경험을 바탕으로 학습자가 인식하는 공정한 비대면 수업의 평가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또 어떠한 평가방법을 선호하는지를 조사하여 공정성이 확보된 비대면 평가 전략을 제안하여 이를 효과적인 비대면 수업 전략에 포함시키고자 한다.

3. 연구방법

3.1 연구대상의 특성

본 연구는 코로나19 위기관리 상황에서 2020학년 1학기 이후 3학기 이상 지속된 대학의 비대면 수업을 경험 중인 I-대학의 교양수업 수강생을 대상으로 한 수업 평가 공정성에 대한 인식 진단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하였다. 연구대상 학생들은 최소 한학기 이상 대학의 실시간 온라인 강의, 이러닝, 동영상 강의 등 다양한 형태의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 참여하였다. 설문에 대한 총 응답자의 수는 766명이며, 무응답 또는 일부 답변 항목을 생략한 경우 등 불완전 응답자를 제외한 총 755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활용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의 특성은 <표 1>과 같다. 총 연구대상 응답자 중 남학생은 475명, 여학생은 280명으로 집계되었으며, 학년별로는 1학년이 가장 많은 54.7%, 2학년이 27.8%, 3학년과 4학년이 각각 10.6%와 6.9%를 차지한다. 학년과 별도로 응답자의 학번은 21학번 학생들이 402명으로 53.2%를 구성하고 있으며, 20학번 125명(16.6%), 19학번 35명(4.6%), 그리고 18학번 이상이 193명으로 25.6%를 구성한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 결과의 분석에서 전체 학생들의 응답과 함께 대학 입학 후 주로 비대면 수업을 경험한 20학번 및 21학번과, 코로나19 이전의 대면 수업 경험이 많이 있는 19학번 이상의 응답자를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기타 응답자의 특성으로 전공 계열과 관련하여 이공계열 학생이 78.4%를 차지하였으며, 인문계열과 사회계열 및 예술체육 계열 학생들이 각각 8.5%, 8.5%, 4.6%를 구성한다.

연구대상의 특성

3.2. 연구절차 및 설문지의 구성

본 연구의 설문 조사 방법으로는 온라인 네이버 서베이폼을 이용하였다. 설문 기간은 2021년 5월31일부터 6월10일까지 기간에 해당한다. 본 연구를 위해 설계된 설문지의 구체적인 구성 내역은 <표 2>와 같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지의 영역을 구분하여 각각 연구대상의 특성, 비대면 수업의 평가기준, 평가방법, 평가결과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으며 대면 수업과 비대면 수업 평가 공정성에 차이가 있다고 생각하는지 그리고 비대면 수업 평가 공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에 대하여 각각 3~7문항의 설문을 실시하였다. 대면 수업과 비대면 수업의 평가기준 등의 차이를 묻는 설문의 주요 항목에 대한 답변은 ‘매우 아니다’부터 ‘매우 그렇다’까지 리커트 5점 척도로 답하도록 설계하였으며, 기타 수업 방법에 대한 인식 및 공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등을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보기를 제시하여 설문에 대한 응답을 선택하도록 설문 문항을 구성하였다.

설문지의 구성

설문의 각 영역을 구성하는 비대면 수업의 평가기준, 평가방법, 평가결과에 대한 구분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이해를 돕고 혼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예시를 제시하였다. 수업의 평가기준과 관련하여 ① pass/fail, 절대평가, 상대평가 여부, ② 구체적인 평가기준 및 %의 제시 (출결, 과제, 시험, 성적 분포도 등), ③ 부정행위 처리 기준 ④ 기타 각 수행평가의 방법 및 성적 기준 등을 수업 평가기준의 구체적인 사례로 제시하고 이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수업의 평가방법에 관해서는 ① 중간/기말 시험-객관식, ② 중간/기말 시험-주관식 서술형, ③ 수행평가-개인 과제, ④ 수행평가-팀 과제, ⑤ 수행평가-정기적으로 시행하는 퀴즈, ⑥ 수행평가-기타 학기중 진행형 평가 등을 예시로 들어 비대면 수업에서 학생들이 인지하는 평가방법의 적절성과 실제 경험한 수업 평가방법의 차이점 등을 조사하였다. 수업의 평가결과에 대해서는 ① 시험에 대한 성적, ② 과제 및 수행평가에 대한 성적 및 ③ 기말 최종 성적을 사례로 들어 학생들이 비대면 수업 평가결과에 대해 느끼는 인식을 조사하였다.

<표 2>의 각 영역별 설문의 구성 문항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비대면 수업의 평가기준과 평가방법 및 평가결과에 대한 인식에 관해서는 응답자가 선호하는 비대면 수업의 평가기준, 평가방법 및 평가결과가 있는지와 대면수업과 비대면 수업의 평가에 대한 차별성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지에 대한 문항을 포함한다. 또한 현재 응답자가 경험하고 있는 비대면 수업 평가의 기준, 방법 및 결과에 대한 만족도와 만족 요인들을 조사하였다. 비대면 수업의 평가 전반에 대한 공정성에 대해서는 대면과 비대면 수업의 평가 공정성에 차이가 있다고 인식하는지에 대해 설문 조사하였으며,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기타 문항으로 포함하였다. 이와 같은 설문조사의 결과는 3장에 요약하여 정리하였으며, 설문 문항 중 리커트 5점 척도에 대한 답변은 ‘그렇다’ 또는 ‘매우 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또는 ‘매우 아니다’의 3점 척도로 요약하여 보고하고, 기타 보기가 있는 설문 항목에 대해서는 보기의 항목을 그대로 제시하였다.

4. I 대학의 비대면 수업 평가 공정성에 대한 인식 진단 결과

4.1. 비대면 수업 평가기준에 대한 인식

<표 3>은 연구대상 응답자들이 비대면 수업의 평가기준에 대한 설문에 응답한 결과를 나타낸다. 비대면 수업평가의 기준에 대해서는 응답자들이 선호하는 비대면 수업의 평가기준, 대면수업과 비대면 수업에 대한 평가기준의 차이가 필요한지, 비대면 수업의 실제 평가기준은 대면 수업 평가에 비해 완화가 되었다고 인식하는지 그리고 현재 비대면 수업의 평가기준에 대한 만족도 등을 조사하였다.

비대면 수업 평가기준에 대한 인식

먼저 연구대상 전체 응답자들이 비대면 수업시 가장 선호하는 수업의 평가기준은 상대평가와 절대평가, Pass/Fail 평가기준 중 상대평가가 39.1%를 차지하여 가장 선호하는 평가기준으로 나타난다. 연구대상을 학번에 따라 분류한 결과를 살펴보면, 2020년 이후 입학자로 주로 비대면 수업을 경험한 20학번과 21학번의 경우 절대평가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대평가와 Pass/Fail에 대한 선호도가 그 뒤를 따른다. 19학번 이상으로 대면수업과 비대면 수업을 모두 경험한 응답자의 경우 상대평가의 선호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Pass/Fail과 절대평가 기준이 순차적으로 선호하는 기준으로 나타났다3).

대면수업과 비대면 수업의 평가기준이 달라야 한다고 인식하는지에 대한 질문에서는 전체 응답자의 72.2%가 ‘그렇다’ 또는 ‘매우 그렇다’의 긍정적인 답변을 나타냈으며, ‘보통이다’의 응답자는 18.1%, ‘아니다’ 또는 ‘매우 아니다‘의 부정적인 답변 비율은 9.7%로 나타난다. 학번에 따른 구분에서도 비율의 차이는 있으나 ’(매우)그렇다, ‘보통이다’, ‘(매우)아니다’의 선호는 동일하게 관찰된다. 비대면 수업의 평가기준이 대면 수업에 비해 완화되었다고 인식하는지에 대한 설문의 답변은 ‘(매우)그렇다’ 39.1%, ‘보통이다’가 36.7%, ‘(매우)아니다’가 24.2%로 나타난다. 학번에 따른 분류 결과를 살펴보면 20-21학번의 경우 ‘보통이다’가 39.9%로 더 높게 나타나고 ‘(매우)그렇다’가 38.3%, ‘(매우)아니다’가 21.8%로 나타나는 반면 19학번 이상의 응답자는 ‘(매우)그렇다’가 40.8%, ‘(매우)아니다’가 29.8%, ‘보통이다’가 29.4%로 관찰되나 t-검정 결과 그룹간 차이는 비유의적으로 나타난다. 현재 응답자가 경험하고 있는 전반적인 비대면 수업의 평가기준에 대한 만족도 설문에서는 44.1%의 응답자가 ‘(매우)그렇다’로 긍정적으로 답변하였으며 32.2%는 ‘보통이다’ 23.7%는 ‘(매우)아니다’로 부정적으로 답변하였다. 학번별 차이에 있어서는 20-21학번의 경우 47.4%가 긍정, 33.8%가 ‘보통이다’, 18.8%가 부정적으로 답변하여 전반적으로 ‘(매우)그렇다’ 및 보통의 비율이 높은데 비해, 19학번 이상 학생들은 36.4%가 ‘(매우)그렇다’, 28.5%가 ‘보통이다’, 35.1%의 학생들이 ‘(매우)아니다’로 답변하여 대면 및 비대면 수업 경험 차이에 따라 학번간 수업 평가 만족도에 차이를 보이고 있다4).

이러한 비대면 수업 평가기준에 대한 인식의 진단 결과는 코로나19를 통해 비대면 수업을 경험하고 있는 학생들이 비대면 수업의 평가기준이 대면수업의 평가기준과 차별화되어야 한다고 인식하며 현재 비대면 수업의 평가기준이 대면 수업에 비해 완화되었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현재의 비대면 수업 평가기준에 대한 만족도는 전체적으로는 부정적인 인식에 비해 긍정적이거나 보통의 인식 비율이 높았으나, 학번별로 분류해 볼 때 대면 수업의 경험이 많은 19학번 이상의 학생들의 경우 현재의 비대면 수업 평가기준에 대한 부정적 평가 비율이 20-21학번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4.2. 비대면 수업 평가방법에 대한 인식

비대면 수업 평가방법에 대한 응답자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는 <표 4>에 보고하였다. 먼저 수업의 평가방법과 관련하여 대면 수업과 비대면 수업의 구분 없이 학생들이 선호하는 평가방법, 대면 수업시 선호하는 평가방법, 비대면 수업시 선호하는 평가방법에 대한 인식을 구분하여 조사하였다5). 대면/비대면 여부와 관계없이 학생들이 선호하는 수업의 평가방법은 객관식 평가가 35.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개인과제가 28.4%, 서술형 시험이 21.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비대면 수업의 경험 차이에 따른 학번 분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 19학번 이상의 학생들은 서술형 시험의 선호 비율이 44.7%로 가장 높게 나타나고 객관식 시험(28.1%)과 개인과제(20.6%)가 이를 따르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한편, 학생들이 대면과 비대면 수업에서 선호하는 평가방법의 차이에 대한 조사 결과는 서로 다른 추세로 나타난다. 대면 수업시 전체 학생들이 가장 선호하는 평가방법은 객관식 시험(43.4%), 서술형 시험(26.8%), 개인과제(17.2%)의 순으로 집계되었으나, 학번별 차이에서 20-21학번의 경우 객관식 시험(47.4%), 개인과제(21.1%), 서술형 시험(15.2%)의 순으로, 19학번 이상의 경우 서술형 시험(53.5%), 객관식 시험(34.7%), 개인과제(7.9%)의 순으로 나타나 학생들의 학업 경험이 평가방법에 대한 선호에 큰 차이를 야기하는 것으로 보인다.

비대면 수업 평가방법에 대한 인식

이에 비하여, 비대면 수업시 가장 선호하는 평가방법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자의 36.5%가 개인 과제를 선호하며 학번의 차이와 관계없이 개인과제가 모두 비대면 수업 환경에서 가장 선호하는 수업 평가방법으로 나타난다. 또한 20-21학번의 경우 객관식 시험 선호 비율이 33.6%로 두 번째로 높았고, 정기적 퀴즈가 15.8%, 서술형 시험이 7.8%의 비율로 나타난 데 비해, 19학번 이상의 경우 서술형 시험의 선호도가 30.3%, 객관식 시험이 25% 등의 순으로 나타나 대면 수업 경험 여부를 구분 짓는 학번의 차이에 따라 비대면 수업에서 선호하는 평가방법의 차이가 큰 것으로 관찰된다.

응답자들에게 대면 수업과 비대면 수업의 평가방법이 달라야 하는지를 묻는 수업 평가방법 차별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묻는 설문에는 응답자의 69.4%가 평가방법의 차별 필요성에 대해 ‘(매우)그렇다’로 응답하였으며, 23.0%는 ‘보통이다’의 의견을, 7.6%는 ‘(매우)아니다’의 부정적인 견해를 표시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학번에 따른 구분에서도 유사한 추세로 나타나6),, 평가방법 차별의 필요성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20-21학번과 19학번 이상에서 각각 68.1%와 71.9%로 나타나고, 부정적 인식은 20-21학번이 6.5%에 비해 19학번 이상은 10.5% 수준에서 나타난다. 또한 실제 학생들이 경험하는 현재의 비대면 수업과 대면 수업의 평가방법에 차이가 있다고 생각하는지를 묻는 설문에는 전체 학생의 37.5%가 긍정적으로 응답하였으며 15%가 부정적으로 응답하였고 보통으로 응답한 학생들이 47.5%를 차지하여 가장 큰 비율로 관찰되었으나, 학번별 차이를 보면 20-21학번 응답자의 53.9%가 보통의 의견을 보인 반면 19학번 이상의 응답자는 39.9%의 긍정적 응답이 가장 큰 비율을 차지했고 33.3%가 보통의 견해를, 26.8%의 학생들이 부정적인 견해를 보이고 있다. 또한 현재 비대면 수업의 평가방법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에서는 전체 응답자 중 40.0%와 40.5%의 학생이 ‘(매우)그렇다’이거나 ‘보통이다’의 의견을 표시하였고 19.5%의 학생이 ‘(매우)아니다’의 부정적 의견을 제시하였다. 이에 관해서도 19학번 이상의 학생들의 부정적인 평가는 29.8%로 나타나 대면 수업과 비대면 수업에 대한 평가방법의 차별화에 대한 인식과 실제 차이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 진단 결과에서는 대면과 비대면 수업을 모두 경험한 19학번 이상의 학생들이 보다 분명한 견해를 표시하였으며, 이들의 부정적 의견이 전체 평균에 비해 높은 것을 볼 수 있다7).

<표 5>는 비대면 수업 평가방법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설문 결과를 요약하고 있다. 응답자들이 현재 비대면 수업에서 가장 많이 경험하고 있는 평가방법은 서술형 시험(43.4%)으로 나타났으며, 객관식 시험(28.6%)과 개인과제(16.2%) 등이 그 뒤를 잇고 있다. 학년별 구분에 따른 결과를 비교해 보면 20-21학번의 경우 객관식 시험이 33.2%로 서술형 시험 32.8%에 비해 약간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나 19학번 이상 학생들의 경우에는 서술형 시험의 비율이 68.0%로 높게 나타났다. 응답자들이 경험한 비대면 수업의 평가방법 중 가장 만족한 평가방법에 대한 설문에 대한 전체 응답으로는 개인과제가 36.6%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객관식 시험과 서술형 시험이 다음 순으로 집계된다. 그러나 학번에 따라서는 20-21학번에서는 개인과제, 객관식시험, 정기적 퀴즈의 순으로 결과가 집계되며, 19학번 이상은 서술형시험, 개인과제, 객관식 시험으로 순위가 집계된다8).

비대면 수업 평가방법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러한 결과에 대해 비대면 수업시 가장 만족한 평가방법과 불만족한 평가방법의 이유를 설문한 결과를 살펴보면, 각 평가방법의 기준공정성, 방법적정성, 예상되는 평가결과 중 평가방법의 기준적정성과 방법적성성이 각각 34.3%와 33.9%의 근소한 차이로 비대면 수업시 경험한 평가방법 중 가장 만족한 평가방법의 이유로 선택되었다. 20-21학번의 경우 방법적정성(편의성)이 39.3%, 기준공정성(명확성)이 32.3%로 가장 만족한 평가방법의 상위 두가지 이유로 집계되고, 19학번 이상은 기준공정성(명확성)이 38.6% , 방법공정성(부정행위 가능성)이 28.1%로 집계되어 20-21학번은 평가방법의 편의성을, 19학번 이상은 평가방법에 대한 기준의 명확성을 보다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그 차이를 나타낸다. 한편 비대면 수업시 가장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는 평가방법으로는 팀과제(34.7%)가 1순위로 집계되었고, 서술형 시험(23.4%)과 객관식 시험(23.1%)이라는 응답이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난다. 비대면 수업시 경험한 평가방법에 대해 가장 불만족한 이유로는 높은 부정행위의 가능성에 대한 응답이 34.7%로 가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비율의 차이는 있지만 학번에 차이 없이 높은 부정행위 가능성과 기준의 불명확성 및 평가방법의 부적절성을 순서대로 응답하였다9).

4.3. 비대면 수업 평가결과에 대한 인식

비대면 수업의 평가결과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한 설문 문항에 대한 응답은 <표 6>을 통해 알 수 있다. 대면 수업과 비대면 수업에 대한 평가결과에 차별성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설문에 대해 52.7%의 응답자들이 그렇다고 응답하였으며, 14.6%의 응답자들이 이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이러한 성향은 학번에 따라 ‘(매우)그렇다’ 또는 ‘보통이다’와 ‘(매우)아니다’의 비율에 별다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와 비교하여, 학생들이 실제 대면 수업과 비대면 수업에서 평가결과가 차이가 있었다고 생각하는지를 묻는 설문에서는 56.2%의 응답자가 그렇다고 답변하였으며 12.7%의 응답자가 그렇지 않다고 응답하였다10).

비대면 수업 평가결과에 대한 인식

응답자들이 경험한 비대면 수업의 평가결과가 기대에 비해 실제 상향평준화 되었다고 인식하는지에 대한 설문에는 14.6%의 응답자가 긍정적으로 응답하고 25.3%의 응답자는 부정적으로 인식하였으며 60.1%는 보통으로 응답하고 있다. 상향평준화에 대한 인식 차이는 20-21학번에 비해 19학번 이상이 보다 두드러지게 나타나 24.6%가 상향평준화 되었다고 대답하였으며, 이는 20-21학번의 10.4%에 비해 더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나 통계적 차이의 유의성은 발견되지 않았다.

비대면 수업 평가결과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긍정적인 응답이 비율이 27.5%, 부정적인 응답이 25.5%, 보통의 비율이 49.9%로 응답자의 절반 정도가 비대면 수업평가에 비해 만족 또는 불만족의 의견을 뚜렷하게 나타내고 있다.

4.4. 비대면 수업 평가 공정성에 대한 인식

전반적인 비대면 수업 평가의 공정성에 대한 인식을 묻는 설문의 결과는 <표 7>에 보고하였다. 학생들에게 대면 수업과 비대면 수업을 비교하여 선호하는 평가기준, 평가방법 또는 예상하는 평가결과가 다른 이유에 대해 설문하였으며, 이에 대해 평가방법의 공정성(부정행위 가능성)을 응답한 응답자가 32.5%로 가장 많았으며, 평가기준의 공정성(명확성)과 평가방법의 적정성(편의성)을 응답한 학생들의 비율은 유사하게 관찰되었다. 예시 항목에 대해 학번간 선호 순위에는 차이가 없으나 19학번 이상의 경우 부정행위의 가능성을 의미하는 방법공정성에 대한 선호 비율이 39.9%로 다른 응답 또는 20-21학번에 비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비대면 수업 평가 공정성에 대한 인식

대면 수업과 비대면 수업의 평가기준의 공정성에 차이가 있다고 인식하는지에 대해서는 49.3%의 응답자가 평가기준 공정성에 차이가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15.7%가 평가기준 공정성에 차이가 없다는 견해를 표현하였다. 대면 수업과 비대면 수업의 평가방법 공정성에 대해 차이가 있다고 인식하는지에 대해서는 61.9%가 대면 평가가 공정하다고 답변하였으나, 31.1%의 응답자는 두 수업방식에 따른 평가방법의 공정성에는 차이가 없다고 인식하고 있다. 대면 수업과 비대면 수업의 평가결과 공정성에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설문에는 60.8%의 학생들이 대면 평가가 공정하다고 답변하였으며, 33.6%의 학생들은 차이가 없다고 답변하였다. 이와 같은 수업의 평가기준, 평가방법, 평가결과에 대한 공정성에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설문 결과에서는 20-21학번에 비해 19학번 이상의 응답자들이 더 높은 비율로 평가 공정성에 각각 차이가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대면 평가와 비대면 평가 중 대면 평가가 보다 공정하다고 인식하고 있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다.

<표 8>은 기타 비대면 수업 평가의 공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설문 내역을 정리한 결과이다. 비대면 수업의 평가 공정성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62.1%의 응답자들이 평가방법이라고 답변하였으며, 평가기준과 평가결과에 대해서는 학번의 차이에 따라 20-21학번 응답자는 평가기준을, 19학번 이상의 응답자는 평가결과를 공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우선 요인으로 꼽았다. 대면 수업과 비대면 수업의 평가 난이도에 차이가 있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설문에서는 22.5%의 응답자들이 그렇다고 답변하였으며 38.0%의 응답자들이 그렇지 않다고 답변하였다. 이에 대해서는 학번별 차이가 크게 나타나고 있다. 20-21학번 응답자의 경우 난이도에 대한 차이를 크게 인식하지 않는 보통의 답변이 45.2%에 비해 19학번 이상의 경우 25.9%만이 보통의 의견으로 답변하였으며, 난이도에 차이가 없다는 답변은 20-21학번 29.8%, 19학번 이상 57.0%로 비대면 수업과 대면 수업이 차이를 경험한 19학번 이상의 학생들은 비대면 수업의 평가과정에 대해 난이도 차이가 없다고 인식하는 경우가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비대면 수업 평가의 변별력 차이에 대해 인식하는지에 대한 설문에서는 38.5%가 ‘(매우)그렇다’, 38.7%의 응답자가 ‘보통이다’라고 답변하였으며 22.8%의 응답자가 ‘(매우)아니다’로 대답하여 대면 수업과 비대면 수업 평가에 변별력의 차이가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드러난다.

기타 비대면 수업 평가 공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기타 설문으로 비대면 수업 평가시 부정행위의 가능성을 발견하고 활용하고자 고려해 본 적이 있었는지에 대한 설문에 대해 62.58%가 ‘(매우)아니다’의 부정적 의견을 보였으나 13.6%는 ‘(매우)그렇다’, 17.9%의 응답자는 보통의 의견을 제시하였다. 이들에게 비대면 수업 평가시 실제 부정행위 관찰 사례가 있는지에 대하여 설문한 결과, 26.6%의 응답자가 그러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응답하였으며, 54.1%는 이에 대해 부정적으로 응답하였다. 또한 비대면 상황에서 좋은 수업의 가장 중요한 판단 기준을 묻는 설문에 대해서는 복수로 답변하였으며, 학번과 관계없이 공정한 평가, 교수와 학생간의 소통 및 주도적인 학습이 좋은 수업의 가장 중요한 판단 기준으로 의견을 제시하였다.

5.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I-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코로나19 이후 3학기 이상 비대면 강의를 경험한 대학생들이 대면 수업과 비대면 수업을 비교하여 평가의 공정성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파악함으로써 비대면 수업의 공정한 평가를 위해서 고려해야 할 요소들을 찾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경험한 비대면 수업의 평가방식에 대하여 조사하고, 수업 평가의 공정성에 대한 응답자들의 인식을 파악하여 비대면 평가에 적절하고 공정한 평가방식을 찾아 비대면 수업의 질을 높이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발견한 논의사항은 다음과 같다.

먼저, 온라인 비대면 수업을 경험한 대학생들이 대면 수업과 비대면 수업의 평가 공정성에 차이가 있으며, 비대면 수업 평가에 대하여 불공정하게 인식하는 경향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평가기준, 평가방법, 평가결과를 나누어 볼 때, 특히 비대면 평가의 부정행위 가능성을 고려하는 평가방법에 대한 공정성을 고려하여 대면 평가를 선호한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응답자들은 대면 수업과 비대면 수업의 평가기준과 평가방법 및 평가결과에 대해 모두 차별화가 필요하다는 응답을 하였으며, 실제 경험한 수업에서 이같은 차이가 인식되었느냐는 설문에는 ‘(매우)아니다’의 부정에 비해 ‘보통이다’ 또는 ‘(매우)그렇다’의 긍정의 의견이 우세하였다. 또한 대면 수업에 비해 비대면 수업의 평가기준이 완화되었는가에도 긍정 또는 보통의 의견이 많았으며, 평가결과가 상향평준화 되었느냐는 질문에 긍정 또는 부정의 의견에 비해 보통의 의견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비대면 수업의 평가기준, 평가방법, 평가결과에 대한 만족도에 있어서도 긍정 또는 보통의 의견이 70%를 상회하는 결과를 보여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비대면 수업의 평가방식에 차별성을 기대하나 대면 수업과 비교한 실제 평가방식에는 차이를 느끼지 못하며, 평가결과에 대체로 만족하면서도 평가의 공정성에 대해서는 불공정하게 인식하는 이중성을 나타내기도 한다.

조윤경(2018)에 따르면 수업 공정성은 객관적 현실 또는 교수자의 실제 행위가 아니라 학생들의 인식이라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혼란스러운 결과는 학생들이 온라인 수업에 대해 갖는 거부감에 대한 결과로도 볼 수 있다. 이시철 외(2020)는 사이버 공간에서의 강의에서는 학생들이 교수의 현존감을 느끼지 못할 뿐 아니라 상호작용이 낮아 거부감을 갖는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학생들이 비대면 수업에 대한 평가방법이 대면 수업에 비해 용이하다고 할지라도 이를 유리하게 인식하지 않으며, 평가결과에 대해 차별화가 필요하고 실제 차이가 있다고 인식할지라도 이는 비대면 수업의 수업 평가에 대해 변별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평가하고, 반면 비대면 수업의 평가결과에 대해서는 보통 또는 긍정의 만족감을 표시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현실적으로 오프라인과 온라인 수업의 장점을 적절히 활용할 수 있는 융합형 수업 방식을 제안할 수 있다(권성회 2012). 즉, 대면 수업에서 얻을 수 있는 교수의 현존감과 상호 작용의 기회를 적절히 활용하는 비대면 융합 수업을 기획함으로써 비대면 수업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제거하고, 비대면 수업 평가방식의 공정성에 대해서도 일관되게 인식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두 번째로, 학생들은 비대면 수업 평가 공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평가기준, 평가방법, 평가결과 중 평가방법이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답변하였다(62.1%). 그리고 대면 수업의 평가방법이 비대면 수업의 평가방법에 비해 공정하고, 대면 수업과 비대면 수업 평가에 변별력의 차이가 있다고 인식하면서도, 비대면 수업 평가의 난이도 차이, 비대면 수업 평가시 본인의 부정행위 가능성 활용에 대한 고려 여부, 비대면 수업 평가시 부정행위 관찰 사례 여부에 대해 부정 또는 보통의 의견을 우세하게 표시하고 있다. 학생들이 비대면 수업에서 가장 많이 경험한 평가방법은 서술형 시험과 객관식 시험, 개인과제 등의 순이었으며, 이 중 개인 과제를 가장 만족한 평가방법으로 인식하고, 팀 과제를 가장 불만족한 평가방법으로 인식하였고, 만족과 불만족한 평가방법의 이유로는 부정행위 가능성을 내포하는 평가방법의 공정성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면, 학생들은 평가의 과정이 공정한가에 대해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실제 비대면 수업의 평가에서 부정행위를 하고자 의도하거나 부정행위의 사례를 관찰한 것에 비해 부정행위의 가능성을 더 높게 평가하고 있다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정재원(2020)에 따르면 교수자들의 경우에도 비대면 수업의 비대면 평가시 학생들을 직접 감독할 수 없어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가능성에 부담을 느낀다. 이에 따라 교수자도 현실적으로 다양한 부정행위 가능성에 대비하기 위하여 문항을 다양화하고 학생들에게 서로 다른 문제를 제공하는 등 부정행위 방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므로, 비대면 수업의 평가과정에 대한 학생들의 불공정한 인식을 제거하고 평가의 공정성을 인정받고 궁극적인 비대면 수업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평가과정을 보다 투명하고 공정하게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며, 학생들이 공정성에 근거하여 개인과제를 가장 선호하는 평가방법으로 제시한 것과 관련하여 비대면 평가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개별화된 평가 방안 등의 새로운 평가 방안을 수립할 필요성이 제시된다.

세 번째로, 비대면 수업의 평가 공정성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교육 경험에 따른 학번 차이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비대면 수업의 평가기준, 평가방법, 평가결과 및 평가 공정성에 대한 차별화 필요성 의견, 평가결과 차이에 대한 인식, 평가결과의 상향평준화에 대한 인식 및 평가결과에 대한 만족도 등에 대한 학번별 응답은 각각의 비중에서 차이를 발견할 수 있으나 선호 순서에는 대부분 차이가 없는 것을 볼 수 있다. 해당 응답을 살펴보면 선호의 순서는 같으나 대체적으로 19학번 이상으로 대면 수업과 비대면 수업을 모두 경험한 응답자군에서는 긍정과 부정의 의견 제시가 보다 분명한 경향을 보였으며 20-21학번 응답자군에서는 보통의 의견에 대한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한편, 선호하는 비대면 수업의 평가기준, 평가기준 완화에 대한 인식, 평가기준에 대한 만족도와 비대면 수업의 평가방법에 대한 설문, 그리고 비대면 수업 평가결과에 대한 만족도 등은 학번별 선호의 차이가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특히 수업의 평가방법과 관련하여 19학번 이상의 학생군에서는 대면 수업시 53.5%가 서술형 시험을 가장 선호하는 반면 20-21학번은 15.2%만이 서술형시험을 선호하였으며 객관식 시험의 선호 비중이 47.4%로 가장 높았다. 대면 수업과 비대면 수업의 평가방법 차이에 대한 인식, 평가방법에 대한 만족도 등에서도 선호의 차이가 발견되었으며, 비대면 수업에서 가장 많이 경험한 평가방법과 만족한 평가방법 등에 대한 설문에서도 학번별 의견 차이가 존재하였다. 이와 함께 비대면 수업 평가 공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난이도 차이에 대한 인식 등에서도 학번별 차이에 따라 서로 다른 응답을 관찰할 수 있다.

이같은 차이는 학년에 따른 피평가자로서의 경험과, 학번에 따른 대면과 비대면 교육 경험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코로나19를 계기로 대면 수업과 비대면 수업을 모두 경험하게 된 19학번 이상의 학생군과 주로 비대면 수업 위주의 수업을 경험한 20-21학번 학생들이 받아들이는 비대면 수업과 비대면 수업 평가의 경험에 대한 인식은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학생들은 본인의 학업 경험과 학업 배경 등에 따라 공정성을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으며, 공정성 평가가 교수자의 실제 행위가 아니라 학생들의 인식이라는 선행연구는 이러한 해석을 뒷받침한다(조윤경, 2018). 그러나 이는 동시에 학생들의 실제 학업 경험과 학업 배경이 서로 다른 만큼 피평가자의 학업 경험과 학업 배경 등을 고려한 다양한 평가시스템을 설계하고 적용할 필요성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은 비대면 수업에 대해 좋은 수업의 가장 중요한 판단기준으로 공정한 평가를 가장 중요시하며, 교수와 학생간의 소통, 주도적인 학습 등을 주요 순위에 꼽는 것을 발견하였다. 윤소정(2012)은 대학의 좋은 수업의 특성을 분석하는 논의에서 학생들의 강의평가 중 질적 평가에서 나타난 좋은 수업의 특성은 수업 전략 범주에서 주로 나타났으며, 지식의 심화, 쉬운 설명, 교수자의 열정, 자유로운 교수-학생간 소통, 다양한 수업매체 활용, 공정하고 객관적인 평가 요인이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은화⋅김회용(2008)은 학생들이 직접 작성한 수업에세이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대학생들에게 있어 좋은 대학 수업의 특성으로 학습동기 유발, 학습활동에의 직접 참여, 충실한 피드백과 평가의 공정성을 제시한 바 있다. 비대면 수업과 관련한 선행연구에서는 효과적인 비대면 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교수자와 학습자의 원활한 상호작용, 좋은 영상 품질 및 학습자의 학습 충실도가 높을수록 온라인 학습 효과성이 높다는 연구결과를 보고하였다(김동일 외, 2021). 특히 임이랑 등(2020)은 비대면 수업에서 평가의 공정성은 교수자와 학습자에게 모두 가장 민감한 문제이며 학습자들은 효과적인 비대면 수업을 평가방법과 연관 짓는다고 주장하였다.

반면, 이시철 외(2020)는 온라인 교육 특히 LMS 도구를 이용한 수업 운영에 대한 비판과 한계에 관해 논의하면서, LMS 도구를 이용한 온라인 교육의 한계로 흔히 예시되는 것으로는 단답형 또는 선택형과 같은 평가에 의존하는 까닭에 깊이 있는 지식에 대한 평가나 논의가 어렵다는 점, 그리고 교육학적으로 중립적인 기술이 아니기 때문에 만들어진 디자인이나 티칭 가이드에 따라 크게 영향받는다는 점, 그래서 교육의 형태의 다양화는 지양되고 획일화, 그리고 단일화될 수 있다는 점, 온라인 학습의 질 측정시 결과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점 등을 제시하였다(Coates et al., 2005; Weaver et al., 2008). 이와 같은 설문 결과와 선행연구의 논의를 종합하면, 대면 수업과 비대면 수업에서 모두 공정한 평가와 교수-학생간의 소통이 좋은 수업의 중요한 판단 기준이라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온라인 비대면 수업 운영에 있어서는 한계가 존재하지만 동시에 이를 극복하는 다양화된 교육 형태의 개발과 개별화된 교육 운영이 가능한 시스템의 개발 및 온라인 학습의 질을 향상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의 제시가 시급한 과제임을 생각할 수 있다.

2020년 실시한 교육부 설문에 따르면11), 학생들은 비대면 강의에 대한 강의만족도가 높아 포스트 코로나를 대비해 코로나 이후에도 원격수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대면 수업보다 시간 활용도나 비용 지출 측면에서 장점이 있어 ‘비대면 수업이 대면 수업보다 낫다’는 대학생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12),. 앞으로 코로나19와 같은 교육 외적인 상황이 나아지더라도 대학의 비대면 수업은 일정 비율 유지될 것이고, 전통적인 대면 수업과 비대면 수업이 공존하면서 필요에 따라 대면과 비대면이 효과적으로 결합된 다양한 유형의 수업이 개발되고 운영될 것으로 보고 있다(홍성연, 2020). 교육부가 대학에서 원격수업을 임시방편이 아닌 뉴노멀시대의 교수학습 혁신의 방향으로 인정한 만큼13), 비대면 수업의 효과 증진을 위해서는 대면 수업에서와 같이 교수자의 적극적인 피드백이나 상담 등 상호작용이 원활해야 하고(김동일 외, 2021), 교수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향상과 고강도의 상호작용을 적용한 양방향 수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신선애 외, 2020). 또한 학생이 교양교육 등의 체계에서도 디지털 미디어의 활용 능력을 함양할 수 있고 변화하는 사회에 적응할 수 있도록 융복합 교육을 해야 할 것이다(윤옥한, 2020). 이와 같은 배경 하에, 본 연구는 비대면 수업의 질 향상을 위한 여러 논의와 더불어 적정하고 공정한 비대면 수업의 평가 방식에 대해 새로운 논의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또한 비대면 수업의 평가기준, 평가방법, 평가결과를 나누어 수업의 평가 방식과 수업 평가의 공정성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수준을 발견하고, 이에 따르는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예상되는 교육 혁신과 비대면 수업의 확장 및 활용과 수업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바가 크리라고 기대한다.

References

1. 김동일, 임정은, 우예영, 한다솜, 이진우, 연준모(2021). “비대면 온라인 수업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온라인 수업구성요소: 대학교 이론 수업 수강생을 중심으로”, 교육연구논총 42(2),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33-60.
2. 도재우(2020). “면대면 수업의 온라인 수업 전환과정에서 발생하는 설계 장애물에 대한 탐색”, 교육문화연구 26(2),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153-173.
3. 문화진(2021).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대학 생활에서 나타나는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1),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33-247.
4. 백종남(2020). “코로나 바이러스(COVID-19) 사태로 인한 대체방법으로서의 실시간 온라인 수업 참여에 대한 대학생의 효능감”, 디지털융복합연구 18(11), 한국디지털정책학회, 539-545.
5. 서순식(2020). “코로나19로 인한 캠퍼스 기반 오프라인 대학의 교수방법 변화”, 교육개발 215, 한국교육개발원, 69-74.
6. 신선애, 김옥분, 박지인, 김은진, 정태욱(2020). “포스트 코로나시대 대학 수업의 방향성 탐색: 중간강의 평가 데이터 마이닝과 의미연결망 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26(5),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195-228.
7. 오재호(2020). “코로나19가 앞당긴 미래, 교육하는 시대에서 학습하는 시대로”, 이슈&진단 421, 1-21, 경기연구원.
8. 윤관식, 박민주(2021).“평가체계 공정성에 대한 인식연구: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실천공학교육논문지 13(1),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61-72.
9. 윤소정(2012). “다면적 접근을 통한 대학의 좋은 수업 특성 분석”, 수산해양교육연구 24(6),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963-976.
10. 윤옥한(2020). “코로나 19 이후 교양 교육 방향 탐색”, 교양교육연구 14(4), 한국교양교육학회, 25-34.
11. 이동주, 김민숙(2020). “코로나19 상황에서의 대학 온라인 원격교육 실태와 개선 방안”, 멀티미디어언어교육 23(3),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359-377.
12. 이시철, 김선영, 박상훈(2020). “대학의 코로나-19 초기 대응과 수업 만족도 평가: 경북대학교의 비대면 학기 사례”, 학습자 중심교과교육연구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993-1019.
13. 이은화, 김회용(2008). “좋은 대학수업의 특징과 그 의미: 한국 대학생의 관점에서”, 교육사상연구 22(1), 한국교육사상연구회, 123-146.
14. 임이랑, 김주연, 황지원, 박다솜(2020). “대학에서의 효과적인 비대면 수업운영을 위한 교수전략 탐색: 학습자 경험분석을 중심으로”, 교육혁신연구 30(4),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3-54.
15. 정재원, 허정은, 박효원(2020). “코로나19로 인한 공과대학 교수자의 온라인수업 경험탐색”, 공학교육연구 23(6), 한국공학교육학회, 60-67.
16. 조윤경(2018). “대학 교수자의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인식이 수업 공정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언론정보연구 55(3),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11-248.
17. 홍성연(2020).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원격교육 환경에서 대학 교양교과목의 수업성찰”, 교양교육연구 14(6), 한국교양교육학회, 283-298.
18. 홍성연, 유연재(2020). “코로나 19로 인한 비대면 원격교육환경에서 학습성과 영향 요인 분석”, 교육공학연구 36(3), 한국교육공학회, 957-989.
19. 황요한, 김창수(2021). “코로나 19로 인한 비대면 온라인 강의 인식 조사:대학생의 만족도와 불안도를 중심으로”, 언어학 29(1), 한국언어학회, 71-91.
20. Coates H, James R, Baldwin G. 2005;“A critical examination of the effects of learning management systems on university teaching and learning”. Tertiary education and management 11:19–36.
21. Cropanzano R, Greenberg J. 1997. “Progress in organizational justice:Tunneling through the maze”. In : Cooper C. L, Robertson I. T, eds. International review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12London: John Wiley &Sons. p. 317–372.
22. Chesebro J. L, Martin M. M, Bulson A. 2004. Further examining the nature and benefits of clear teaching:The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 clarity, feedback to students, and student perceptions of fairness Boston, MA: The annual meeting of the Eastern Communication Association.
23. Tata J. 1999;“Grade distributions, grading procedures, and students'evaluations of instructors:A justice perspective”. The Journal of Psychology 133:263–271.
24. Weaver D, Spratt C, Nair C. S. 2008;“Academic and student use of a learning management system:Implications for quality”. Australasia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4(1):31–41.
25. 강 경란. (2020. 7). “아주대 뉴노멀 교육 모델:untact를 넘어서 ontact로” Retrieved from https://www.youtube.com/watch?v=tEyBZeMcN6E.
26. 교 육부. (2020. 9). “미래교육 전환을 위한 디지털 기반 고등교육혁신 지원 방안”. Retrieved from 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26.
27. 김 용훈. (2020. 7). “비대면 교육과 학생들의 대학 생활. 코로나19가 대학 교육에 던진 과제2”. 제7회 관악교육포럼 Retrieved from https://www.youtube.com/watch?v=smo_qR3lWvI&t=1310s.
28. 한국교육신문. (2020. 10. 12). “대학 원격수업, 학생 48% 대학준비 부족했다” https://www.hangyo.com/news/article.html?no=92430.
29. 헤럴드경제. 2021. 5. 24. “비대면 수업이 더 낫다..1년만에 바뀐 코로나19 대학가 풍경[촉!]” https://v.kakao.com/v/20210524095618535.

Notes

1)

교육부(2020. 9). “미래교육 전환을 위한 디지털 기반 고등교육혁신 지원 방안”, Retrieved from 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877326

2)

한국교육신문(2020.10.12.), “대학 원격수업, 학생 48% 대학준비 부족했다”, https://www.hangyo.com/news/article.html?no=92430

3)

비대면 수업시 가장 선호하는 수업의 평가기준에 대한 응답자의 답변을 학번에 따라 분류하여 t-검정을 통해 차이를 검증한 결과 두 그룹간 답변의 유의적 차이를 발견하였다(t-value: -2.425, p-value 0.016**)

4)

비대면 수업의 평가기준에 대한 만족도의 학번별 평균값의 차이의 유의성을 t-검정을 통해 검증해 본 결과 t값이 4.801(1% 유의수준)로 나타나 유의적인 차이임을 검증하였다.

5)

대면 및 비대면 통합, 또는 각자를 구분하여 가장 선호하는 수업의 평가방법에 대한 응답자의 답변을 학번에 따라 분류하여 t-검정을 통해 차이를 검증한 결과에서는 두 그룹간에 각각 1% 유의수준의 유의적 차이를 발견하였다.

6)

대면과 비대면시 평가방법이 달라야 하는가에 대한 응답자의 답변을 학번에 따라 분류하여 t-검정을 통해 차이를 검증한 결과 두 그룹의 답변에 대한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는다.

7)

비대면 수업의 평가방법에 대한 만족도는 t-검정 결과 학번에 따른 두 그룹간 유의적 차이를 발견하였다(t-value: 4.245, p-value 0.000***)

8)

비대면 수업에서 가장 많이 경험한 평가방법에 대한 설문은 t-검정 결과 학번에 따른 두 그룹간 유의적 차이가 나타난다(t-value: -2.245-value 0.016**)

9)

비대면 수업시 가장 만족한 평가방법의 이유에 대해서는 학번에 따른 두 그룹간 유의적 차이를 나타나나(t-value: -2.279, p-value 0.023**), 불만족한 평가방법의 이유는 유사하게 나타나며 그룹간 유의적인 차이도 발견되지 않았다.

10)

대면과 비대면의 평가 결과에 차이가 있어야 하는가에 대한 인식에 대한 설문은 학번에 따른 그룹간에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으나 (t-value: -2.998, p-value 0.003***), 실제 대면에 비해 성적에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설문에 대해서는 학번간 유의적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11)

교육부(2020. 9). “미래교육 전환을 위한 디지털 기반 고등교육혁신 지원 방안”, Retrieved from 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877326

12)

헤럴드경제(2021.5.24.), “비대면 수업이 더 낫다..1년만에 바뀐 코로나19 대학가 풍경[촉!]”, https://v.kakao.com/v/20210524095618535

13)

교육부(2020. 9). “미래교육 전환을 위한 디지털 기반 고등교육혁신 지원 방안”, Retrieved from 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877326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표 1>

연구대상의 특성

구분 빈도(명) 비율(%)
성별 남학생 475 62.9
여학생 280 37.1
학년 1학년 413 54.7
2학년 210 27.8
3학년 80 10.6
4학년 52 6.9
학번 21학번 402 53.2
20학번 125 16.6
19학번 35 4.6
18학번 이상 193 25.6
전공계열 이공계열 592 78.4
인문계열 64 8.5
사회과학계열 64 8.5
예술체육계열 35 4.6
합계 755 100.0

<표 2>

설문지의 구성

구분 세부 설문 항목
연구대상의 특성 성별, 학년, 학번, 전공계열 비대면 수업 평가
기준에 대한 인식 비대면 수업시 가장 선호하는 수업의 평가기준
대면/비대면 수업 평가기준 차별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대면/비대면 수업 평가기준 완화에 대한 인식
비대면 수업 평가기준에 대한 만족도
비대면 수업 평가 방법에 대한 인식 선호하는 대면/비대면 수업의 평가방법
 • 대면 수업시 가장 선호하는 평가방법
 • 비대면 수업시 가장 선호하는 평가방법
 • 대면/비대면 수업의 평가방법 선호 차이의 이유
대면/비대면 수업 평가방법 차별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대면/비대면 수업 평가방법 차이에 대한 인식
비대면 수업 평가방법에 대한 만족도
비대면 수업 평가 방법에 대한 만족도 인식 비대면 수업에서 가장 많이 경험한 평가방법
비대면 수업시 경험한 평가방법 중 가장 만족한 평가방법
 • 비대면 수업시 가장 만족한 평가방법의 이유
 • 비대면 수업시 가장 불만족한 평가방법의 이유
비대면 수업시 가장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는 평가방법
비대면 수업 평가 결과에 대한 인식 대면/비대면 수업 평가결과 차별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대면/비대면 수업 평가결과 차이에 대한 인식
비대면 수업 평가결과의 상향평준화에 대한 인식
비대면 수업 평가결과에 대한 만족도
비대면 수업 평가
공정성에 대한 인식 대면/비대면 수업 평가기준 공정성의 차이에 대한 인식
대면/비대면 수업 평가방법 공정성의 차이에 대한 인식
대면/비대면 수업 평가결과 공정성의 차이에 대한 인식
기타 비대면 수업 평가 공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비대면 수업의 평가 공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비대면 수업 평가의 난이도 차이에 대한 인식
비대면 수업 평가의 변별력 차이에 대한 인식
비대면 수업 평가시 부정행위 가능성 활용에 대한 고려 여부
비대면 수업 평가시 부정행위 관찰 사례 여부
비대면 수업시 좋은 수업의 가장 중요한 판단 기준

<표 3>

비대면 수업 평가기준에 대한 인식

질문 항목 전체 비대면 수업 경험 차이에 따른 학번 분류
20-21학번 19학번 이상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비대면 수업시 가장 선호하는 수업의 평가기준 상대평가 295 39.1 202 38.3 93 40.8
절대평가 277 36.7 210 39.9 67 29.4
Pass/Fail 183 24.2 115 21.8 68 29.8
전체 755 100.0 527 100.0 228 100.0
대면/비대면 수업 평가기준 차별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매우)그렇다 545 72.2 371 70.4 174 76.3
보통이다 137 18.1 105 19.9 32 14.0
(매우)아니다 73 9.7 51 9.7 22 9.7
전체 755 100.0 527 100.0 228 100.0
대면/비대면 수업 평가기준 완화에 대한 인식 (매우)그렇다 295 39.1 202 38.3 93 40.8
보통이다 277 36.7 210 39.9 67 29.4
(매우)아니다 183 24.2 115 21.8 68 29.8
전체 755 100.0 527 100.0 228 100.0
비대면 수업 평가기준에 대한 만족도 (매우)그렇다 333 44.1 250 47.4 83 36.4
보통이다 243 32.2 178 33.8 65 28.5
(매우)아니다 179 23.7 99 18.8 80 35.1
전체 755 100.0 527 100.0 228 100.0

<표 4>

비대면 수업 평가방법에 대한 인식

질문 항목 전체 비대면 수업 경험 차이에 따른 학번 분류
20-21학번 19학번 이상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선호하는 대면/비대면 수업의 평가방법 객관식시험 269 35.6 205 38.9 64 28.1
서술형시험 163 21.6 60 11.4 102 44.7
개인과제 214 28.4 169 32.0 47 20.6
팀과제 27 3.6 24 4.6 3 1.3
정기적퀴즈 66 8.7 59 11.2 7 3.1
학기중평가 16 2.1 10 1.9 5 2.2
전체 755 100.0 527 100.0 228 100.0
대면 수업시 가장 선호하는 평가방법 객관식시험 328 43.4 250 47.4 79 34.7
서술형시험 202 26.8 80 15.2 122 53.5
개인과제 130 17.2 111 21.1 18 7.9
팀과제 45 6.0 43 8.1 2 0.9
정기적퀴즈 37 4.9 31 5.9 6 2.6
학기중평가 13 1.7 12 2.3 1 0.4
전체 755 100.0 527 100.0 228 100.0
비대면 수업시 가장 선호하는 평가방법 객관식시험 233 30.9 177 33.6 57 25.0
서술형시험 110 14.6 41 7.8 69 30.3
개인과제 276 36.5 196 37.2 79 34.6
팀과제 18 2.4 15 2.8 3 1.3
정기적퀴즈 98 13.0 83 15.8 15 6.6
학기중평가 20 2.6 15 2.8 5 2.2
전체 755 100.0 527 100.0 228 100.0
대면/비대면 수업 평가방법 차별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매우)그렇다 524 69.4 359 68.1 164 71.9
보통이다 174 23.0 134 25.4 40 17.6
(매우)아니다 57 7.6 34 6.5 24 10.5
전체 755 100.0 527 100.0 228 100.0
대면/비대면 수업 평가방법 차이에 대한 인식 (매우)그렇다 283 37.5 192 36.4 91 39.9
보통이다 359 47.5 284 53.9 76 33.3
(매우)아니다 113 15.0 51 9.7 61 26.8
전체 755 100.0 527 100.0 228 100.0
비대면 수업 평가방법에 대한 만족도 (매우)그렇다 302 40.0 230 43.6 73 32.0
보통이다 306 40.5 218 41.4 87 38.2
(매우)아니다 147 19.5 79 15.0 68 29.8
전체 755 100.0 527 100.0 228 100.0

<표 5>

비대면 수업 평가방법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질문 항목 전체 비대면 수업 경험 차이에 따른 학번 분류
20-21학번 19학번 이상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비대면 수업에서 가장 많이 경험한 평가방법 객관식시험 216 28.6 175 33.2 42 18.4
서술형시험 328 43.4 173 32.8 155 68.0
개인과제 122 16.2 99 18.8 22 9.6
팀과제 19 2.5 15 2.9 4 1.8
정기적퀴즈 58 7.7 55 10.4 3 1.3
학기중평가 12 1.6 10 1.9 2 0.9
전체 755 100.0 527 100.0 228 100.0
비대면 수업시 경험한 평가방법 중 가장 만족한 평가방법 객관식시험 209 27.7 154 29.2 56 24.6
서술형시험 143 18.9 58 11.0 85 37.3
개인과제 276 36.6 204 38.7 70 30.7
팀과제 18 2.4 15 2.8 3 1.3
정기적퀴즈 91 12.0 83 15.8 9 3.9
학기중평가 18 2.4 13 2.5 5 2.2
전체 755 100.0 527 100.0 228 100.0
비대면 수업시 가장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는 평가방법 객관식시험 174 23.1 117 22.2 61 26.7
서술형시험 177 23.4 117 22.2 59 25.9
개인과제 40 5.3 23 4.4 17 7.5
팀과제 262 34.7 197 37.4 64 28.1
정기적퀴즈 62 8.2 45 8.5 16 7.0
학기중평가 40 5.3 28 5.3 11 4.8
전체 755 100.0 527 100.0 228 100.0
비대면 수업시 가장 만족한 평가방법의 이유 기준공정성 (명확성) 259 34.3 170 32.3 88 38.6
방법공정성 (부정행위 가능성) 160 21.2 96 18.2 64 28.1
방법적정성(편의성) 256 33.9 207 39.3 50 21.9
예상되는 평가결과 (성적) 53 7.0 37 7.0 16 7.0
기타 24 3.2 15 2.8 9 4.0
무응답 3 0.4 2 0.4 1 0.4
전체 755 100.0 527 100.0 228 100.0
비대면 수업시 가장 불만족한 평가방법의 이유 기준의 불명확성 191 25.3 143 27.1 49 21.5
높은 부정행위의 가능성 262 34.7 162 30.7 101 44.3
평가방법 부적절성 168 22.3 127 24.1 40 17.5
예상되는 평가결과 (성적) 54 7.1 40 7.6 14 6.1
기타 73 9.7 51 9.7 22 9.7
무응답 7 0.9 4 0.8 2 0.9
전체 755 100.0 527 100.0 228 100.0

<표 6>

비대면 수업 평가결과에 대한 인식

질문 항목 전체 비대면 수업 경험 차이에 따른 학번 분류
20-21학번 19학번 이상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대면/비대면 수업 평가결과 차별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매우)그렇다 398 52.7 257 48.8 141 61.9
보통이다 247 32.7 192 36.4 55 24.1
(매우)아니다 110 14.6 78 14.8 32 14.0
전체 755 100.0 527 100.0 228 100.0
대면/비대면 수업 평가결과 차이에 대한 인식 (매우)그렇다 424 56.2 288 54.6 134 58.8
보통이다 235 31.1 168 31.9 68 29.8
(매우)아니다 96 12.7 71 13.5 26 11.4
전체 755 100.0 527 100.0 228 100.0
비대면 수업 평가결과의 상향평준화에 대한 인식 (매우)그렇다 110 14.6 55 10.4 56 24.6
보통이다 454 60.1 347 65.9 107 46.9
(매우)아니다 191 25.3 125 23.7 65 28.5
전체 755 100.0 527 100.0 228 100.0
비대면 수업 평가결과에 대한 만족도 (매우)그렇다 208 27.5 150 28.5 61 26.8
보통이다 377 49.9 277 52.5 99 43.4
(매우)아니다 170 22.5 100 19.0 68 29.8
전체 755 100.0 527 100.0 228 100.0

<표 7>

비대면 수업 평가 공정성에 대한 인식

질문 항목 전체 비대면 수업 경험 차이에 따른 학번 분류
20-21학번 19학번 이상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대면/비대면 수업 평가 선호 차이의 이유 기준공정성 (명확성) 137 18.1 112 21.2 35 15.3
방법공정성 (부정행위 가능성) 245 32.5 164 31.1 91 39.9
방법적정성 (편의성) 141 18.7 108 20.5 34 14.9
예상되는 평가결과 (성적) 51 6.8 42 8.0 12 5.3
기타 109 14.4 81 15.4 35 15.4
무응답 72 9.5 20 3.8 21 9.2
전체 755 100.0 527 100.0 228 100.0
대면/비대면 수업 평가기준 공정성의 차이에 대한 인식 차이가 있다 372 49.3 254 48.2 119 52.2
유사하다 119 15.7 78 14.8 41 18.0
차이가 없다 264 35.0 195 37.0 68 29.8
전체 755 100.0 527 100.0 228 100.0
대면/비대면 수업 평가방법 공정성의 차이에 대한 인식 대면 평가가 공정 467 61.9 308 58.5 160 70.2
비대면 평가가 공정 53 7.0 38 7.2 14 6.1
차이가 없다 235 31.1 181 34.3 54 23.7
전체 755 100.0 527 100.0 228 100.0
대면/비대면 수업 평가결과 공정성의 차이에 대한 인식 대면 평가가 공정 459 60.8 299 56.7 161 70.6
비대면 평가가 공정 42 5.6 31 5.9 11 4.8
차이가 없다 254 33.6 197 37.4 56 24.6
전체 755 100.0 527 100.0 228 100.0

<표 8>

기타 비대면 수업 평가 공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질문 항목 전체 비대면 수업 경험 차이에 따른 학번 분류
20-21학번 19학번 이상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비대면 수업 평가 공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평가기준 158 20.9 116 22.0 43 18.9
평가방법 469 62.1 333 63.2 135 59.2
평가결과 128 17.0 78 14.8 50 21.9
전체 755 100.0 527 100.0 228 100.0
비대면 수업 평가의 난이도 차이에 대한 인식 (매우)그렇다 170 22.5 132 25.0 39 17.1
보통이다 298 39.5 238 45.2 59 25.9
(매우)아니다 287 38.0 157 29.8 130 57.0
전체 755 100.0 527 100.0 228 100.0
비대면 수업 평가의 변별력 차이에 대한 인식 (매우)그렇다 291 38.5 197 37.4 94 41.2
보통이다 292 38.7 222 42.1 70 30.7
(매우)아니다 172 22.8 108 20.5 64 28.1
전체 755 100.0 527 100.0 228 100.0
비대면 수업 평가시 부정행위 가능성 활용에 대한 고려 여부 (매우)그렇다 103 13.6 69 13.1 34 14.9
보통이다 135 17.9 89 16.9 46 20.2
(매우)아니다 472 62.58 339 64.3 133 58.3
기타 45 6.0 30 5.7 15 6.6
전체 755 100.0 527 100.0 228 100.0
비대면 수업 평가시 부정행위 관찰 사례 여부 (매우)그렇다 201 26.6 116 22.0 85 37.3
보통이다 146 19.3 108 20.5 39 17.1
(매우)아니다 408 54.1 303 57.5 104 45.6
전체 755 100.0 527 100.0 228 100.0
비대면 수업시 좋은 수업의 가장 중요한 판단기준 (2가지씩 복수 응답) 주도적인 학습 331 21.9 233 22.1 97 21.3
공정한 평가 403 26.7 265 25.1 137 30.0
교수와 학생간의 소통 352 23.3 243 23.1 110 24.1
풍부한 지식전달 285 18.9 207 19.6 78 17.1
다양한 교과활동 98 6.5 73 6.9 25 5.5
협동학습의 유무 41 2.7 33 3.1 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