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연, 이명관(2016). “대학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 인식 및 수요조사를 통한 운영방향성 제고”,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9),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585-609.
김태현, 이태희(2017). “서울의 대학-지역사회 협력 실태와 중진방안”, 서울연구원 정책리포트 228..
교육부(2014). “대학의 지역사회서비스 강화를 위한 제도의 구축에 관한 연구”, 정책연구보고서.
문성동, 엄기수(2015). “대학에서 비교과영역의 만족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공학회지 20(1), 한국경영공학회, 147-160.
박가나(2012). “우리나라 봉사학습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시민청소년학연구 3(2), 한국시민청소년학회, 55-93.
박수미, 고장완(2014). “대학생의 근로 경험에 따른 학생 참여와 학습 성과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32(3), 한국교육행정학회, 49-175.
박현숙(2014). “대학생의 선택적 자원봉사활동 참여에 따른 도덕성과 직업가치관 형성”,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백상현(2020). “대학생의 비교과 교육 활동 경험이 대인관계역량에 미치는 영향”, 교양교육연구 14(1), 한국교양교육학회, 259-282.
백승수(2017).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양교육의 방향 모색”, 교양교육연구 11(2), 한국교양교육학회, 13-51.
서형덕(2012). “대학생의 자원봉사활동 경험과 시민성, 사회성, 도덕성과의 관련성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신정철, 정지선, 신택수(2008). “대학생의 학업성취도와 그 영향 요인들 간의 인과관계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26(1), 한국교육행정학회, 287-313.
소경희(2009). “역량기반 교육의 교육과정사적 기반 및 자유교육적 성격 탐색”, 교육과정연구 27(1), 한국교육과정학회, 1-20.
송영숙(2019).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시스템 개발 및 활용: S대학교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4),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21.
안미리(2019). “대학의 봉사학습 운영 사례”, 문화와 융합 41(5), 한국문화융합학회, 449-476.
이길재, 이정미(2015). “대학교육 만족도 및 교수학습 성과 영향요인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33(1), 한국교육행정학회, 105-127.
이은승, 이성철(2007). “대학사회봉사 관리체계 분석 연구”,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11(1),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99-115.
이은화, 윤소정, 허승희(2011). “대학의 직업기초능력 교육에 대한 교수와 학생의 인식 차이: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직업교육연구 30(4), 한국직업교육학회, 51-67.
이현주, 이영선(2019). “대학에서의 봉사학습을 위한 교육과정 재설계와 적용 성과 분석”, 교육문화연구 25(2), 인하대학교교육연구소, 295-313.
유현숙, 고장완, 임후남(2011).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및 종합적 사고력에 영향을 주는 학습과정 요인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29(4), 한국교육행정학회, 319-337.
유현숙, 이정미, 최정윤, 김민희, 이길재, 변현정, 최보금(2014). “교수, 학습 역량평가를 통한 대학교육 경쟁력 제고 방안”, 한국교육학회 학술대회, 한국교육학회, 126-129.
윤영란(2018). “대학생의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교양필수교과목 수업에 대한 효과 분석”,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8(7),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 465-474.
윤지영, 유영림(2018). “대학생용 핵심역량 진단도구 타당화 연구: C대학의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24(6),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353-373.
장경원(2010). “Service-Learning에 기반한 교육봉사과목 운영전략 탐색”, 한국교원교육연구 27(3), 한국교원교육학회, 373-393.
장경화(2020). “교양교과 연계 학생 동아리 기반 인성교육프로그램이 지역 지적장애학생들의 요리기술에 미치는 효과 사례연구”, 인문사회21 11(3),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581-594.
전예원(2014). “대학생의 개인 및 학교생활 변인이 핵심역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미선(2019). “대학생의 지역사회 문제해결 학습에 대한 혼합연구”, 사고개발 15(3), 대한사고개발학회, 31-54.
정미선, 정세영(2019). “대학생의 창의성 개발을 위한 지역사회 봉사학습의 질적 사례연구”, 교양교육연구 13(1), 한국교양교육학회, 199-225.
진미석, 손유미, 주휘정(2011).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체제 구축 방안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29(4), 한국교육행정학회, 461-486.
조성희(2009). “대학 봉사활동 비교 연구”, 교양교육연구 3(1), 한국교양교육학회, 119-144.
조용하(2002). “대학생자원봉사활동의 이론적 고찰: 봉사학습을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9(3), 한국청소년학회, 243-268.
조헌국(2017).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대학교육의 변화와 교양교육의 과제”, 교양교육연구 11(2), 한국교양교육학회, 53-89.
조혜영(2021). “S대학교의 지역사회 연계 전공학습 프로그램 활동이 학습역량, 자기주도 학습역량 및 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463-473.
조휘일(2002). “대학지역사회봉사를 위한 봉사학습의 개념 고찰”, 사회복지실천 1,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센터, 1-21.
최미순, 조혜영(2020). “학습 프로그램 수요 및 요구도에 따른 학습역량 차이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1(11), 한국산학기술학회, 795-803.
최준열, 김한나, 김도기(2017). “대학생의 외부활동경험이 핵심 역량에 미치는 영향”, 역량개발학습연구 12(2),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63-84.
한인영, 임정원(2005). “유방암 생존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지역사회 프로그램 고찰”,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5(3),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32-243.
한유진, 정선희(2018). “전공교육과 연계한 서비스-러닝이 예비 놀이치료자와 유아에게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9(4), 한국아동학회, 67-80.
허성호(2012). “대학생 자원봉사활동이 자기개발 및 사회성개발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허성호, 정태연(2011). “대학생의 자발적 봉사활동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7(3), 한국심리학회, 287-304.
Billing, S. H(2000). “Research on K-12 school-based servꠓice-learning”, Phi Delta Kappan 81(9), 658-664.
Chen, T, Snell, R. S, Wu, C. X(2018). “Comparing the effects of Service Learning versus Nonservice Learning project experiences on service leadership emergence and meaning schema transformation”,
Academy of Management Learning &Education 17(4), 474-495.
Chickiering, A. W, Gamson, Z. F(1987). Seven principles of good practice in undergraduate eduction, Racine, Wisc: Johnson Foundation.
Kendall, J. G(1990). Combining service and learning:A resource book for community and public service, Raleigh, N. C.: National Society for Experiential Education.
Kerrigan, S. M(2004). Perspective of college graduates on the experience and effect of Capstone service learning courses:A qualitative study, ProQuest Dissertations Publishing.
Moely, B. E, McFarland, M, Miron, D, Mercer, S, Ilustre, V(2002). “Changes in college students'attitudes and intentions for civic involvement as a function of service- learning experiences”, Michigan Journal of Community Service Learning 91(1), 18-26.
Newman, C. M, Hernandez, S. Q(2011). “Minding our business:Longitudinal effects of a service learning experience on alumni”,
Journal of College Teaching &learning 8(8), 39-48.
Olberding, J. C(2012). “Does student philanthropy work?a study of long-term effects of the learning by giving approach”,
Innovative Higher Education 37(2), 71-87.
Prentice, M, Robinson, G(2010). Improving student learning outcomes with service learning (AACC-RB-10), Washington, DC: American Association of Community Colleges.
Waterman, A. S(2014). Service-learning:Applications from the research, Routledge.
Williams, B(2004). “Self-direction in a problem-based learning programme”,
Nurse Education Today 24(4), 277-285.
Wood, R, Bandura, A(1989). “Impact of conceptions of avility on self-regulatory mechanisms and complex decision- mak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6:407-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