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수범(2021). “온라인 수업에서의 글쓰기 피드백 양상”, 2021 한국어교육학회⋅한국화법학회합 학술대회 자료집, 83-92.
강성배(2021). “대학 온라인 원격수업에 대한 운영 및 만족도 연구”, 문화와 융합 43(1), 한국문화융합학회, 15-30.
강후동(2021). “대학 온라인 수업 유형과 매체활용 유형별 효과 인식 연구”, 영어교육 76, 한국영어교육학회, 59-86.
김남미(2020). “실시간 원격강의 환경에서의 대학글쓰기 교육”, 사고와표현 13(3), 한국사고와 표현학회, 77-104.
김도환(2020). “비대면 글쓰기 강좌의 운영 사례와 학습자의 반응 -D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국어문학 75, 국어문학회, 375-400.
김록희(2020). “온라인 기반 대학 글쓰기 수업 사례 연구”, 학습자 중심교과교육연구 20(4),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167-1187.
김연희(2021). “온라인 국어학 수업 사례에 대한 고찰 - 실시간 화상 수업 중심으로 -”, 한말연구 59, 한말연구학회, 39-74.
김정겸, 김기덕, 이상선(2021). “COVID-19 상황에서 대학 교수자의 온라인 수업 경험”, 열린교육연구 29(5), 한국열린교육학회, 169-192.
김지숙(2021). “대학의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 실태와 향후 과제”, 문화와 융합 43(7), 한국문화융합학회, 995-1021.
김현(2019). “클리커 앱을 활용한 보건교육 수업의 효과”,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5(1),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59-76.
김혜진(2020). “코로나19에 따른 교사의 온라인 수업 경험 연구”, 사회과수업학회 연차 학술대회자료집, 1-10.
노채환(2021). “비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수업에서 패들렛(Padlet)을 활용한 상호작용 연구 - 사이버대학의 고급한국어과목 사례를 중심으로 -”, 어문학 153, 한국어문학회, 99-123.
박성열, 주민호, 이대영(2021). “대학의 실시간 온라인수업에서 학습성취도와 학습만족도에 대한 촉진요인 분석”, 학습자 중심교과교육연구 21(11),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779-792.
박영주, 김영미, 김기석(2021). “온라인 수업 내실화를 위한 질 관리 프로그램 개발 연구- A대학 사례 중심”, 한국교원교육연구 38(1), 한국교원교육학회, 245-272.
배지혜(2014). “대학교육에서 스마트 클리커 앱을 활용한 실시간 피드백 학습활동이 학습몰입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5(9), 한국산학기술학회, 5543-5552.
서미옥(2021). “코로나 팬데믹 온라인 수업 사례로 본 교육대학원생들의 인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2),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561-582.
신희선(2021). “비대면 환경에서의 비판적 사고와 토론교육 - 공대 신입생 대상 온라인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24(1), 한국공학교육학회, 34-45.
소경희, 최유리(2018). “학교 중심 교육 개혁 맥락에서 교사의 실천 이해:‘교사 행위주체성’ 개념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36(1), 한국교육과정학회, 91-112.
양수연(2021). “실천적 지식으로서 국어 교사의 신념에 관한 사례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56(4), 국어교육학회, 119-164.
양수연, 이다민(2019). “대학 교양교육으로서의 융합교육의 현황과 개선 방안 연구”, 교양교육연구 13(3), 한국교양교육학회, 179-210.
유용모, 김미숙(2020). “일반고 교육역량 강화 사업에 나타난 교사 행위주체성(teacher agency)”,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905-935.
윤지원, 박미라(2021). “대학 교양 글쓰기 온라인 수업에 대한 학습자 인식 연구”, 문화와 융합 43(2), 한국문화융합학회, 611-625.
이경하, 차지영(2020). “비대면 방식의 세미나글쓰기 수업 사례 연구 - 덕성여대를 중심으로”, 리터러시연구 11(5), 한국리터러시학회, 61-99.
이부순(2021). “온라인 비대면 글쓰기 교육의 가능성”, 리터러시연구 12(1), 한국리터러시학회, 223-247.
이선영(2020). “온라인 수업 담화에 나타난 교수실재감 양상 분석”, 우리말글 87, 우리말글학회, 281-315.
이윤빈(2021). “상호작용 촉진을 위한 실시간 온라인 대학 글쓰기 교육 방안 - 대학생 학습자의 요구 분석 결과를 토대로”, 교양교육연구 15(5), 한국교양교육학회, 113-128.
이창덕, 박창균, 이정우, 김주영, 이선영(2019). (개정판) 수업을 살리는 교사화법, 테크빌교육.
임철일, 김민지, 박주현, 배유진, 염지윤(2021). “대학에서의 실시간 비대면 수업 유형별 수업설계 전략에 관한 사례연구”, 교육공학연구 37(2), 한국교육공학회, 459-488.
장원형, 최민지, 홍훈기(2020).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유행에 따른 대학교 비대면 실험수업 운영에 관한 사례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937-966.
전영국(2017a). “연극놀이와 과학탐구 기반의 창의인성 프로그램을 운영한 대학교수의 자전적 사례 탐구”, 열린교육연구 25, 한국열린교육학회, 141-165.
전영국(2017b). “흑두루미의 비상: 초등학생들의 몸짓 활동 경험에 관한 자전적 사례 탐구”,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5(2),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141-166.
한송이, 이가영(2020).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수자 인식연구”, 문화와 융합 42(7), 한국문화융합학회, 395-418.
Anderson, T., Rourke, L., Garrison, D. R., & Archer, W. (2001). “Assessing Teaching presence in a Computer Conference Environment”. Journal of asynchronous learning networks, 5(2), 1-17.
Creswell, J. W. (2013). Qualitative Inquiry &Research Design: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 역. (2015). 질적 연구방법론-다섯 가지 접근-, 학지사.
Elbaz, F. (1981). “The Teacher's “Practical Knowledge”:Report of a Case Study”.
Curriculum Inquiry, 11(1), 43-71.
Elbaz, F. (1983). Teacher Thinking:A Study of Practical Knowledge, New York: Routledge.
Hall, E. T. (1976). Beyond Culture, Anchor, 최효선 역. (2001). 문화를 넘어서, 한길사.
Lasky, S. (2005). “A sociocultural approach to understanding teacher identity, agency and professional vulnerability in a context of secondary school reform”.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1(8), 899-916.
Ruohotie-Lyhty, M. (2018). “Identity-Agency in Progress:Teachers Authoring Their Identities”,
Research on teacher identity, Edited by Schutz P. A, Hong H, Francis D. C, Cham, Switzerland: Springer, 25-36.
Shannon, C. E., & Weaver, W.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rbana: University of Illinois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