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자(2019). “EFL 고등학생들의 영어학습 동기 변화: 동기, 탈동기, 재동기”, 영어교육 74(4), 한국영어교육학회, 249-274.
김금선(2013). “대학 영어학습자의 자기주도적 교실학습 연구”, 현대영어교육 14(2), 현대영어교육학회, 189-212.
김금선, 김혜영(2011). “초등영어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 과정과 저해요인 연구”, Foreign Languages Education 18(1), 한국외국어교육학회, 95-120.
김성희(2013). “침묵하는 학습자를 돕기 위한 교수법 모색: 야스퍼스의 대학의 이념과 소통”, 교양교육연구 7(4), 한국교양교육학회, 253-280.
김재경, 문은주(2016). “교양영어 고목에서의 세 가지 코칭교수법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과 태도 연구”, 교양교육연구 10(3), 한국교양교육학회, 13-38.
김종운, 정보현(2012). “학습코칭 프로그램이 방과후 아카데미 고학년 아동의 자기효능감 및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수산해양교육연구 24(2), 한국수수산해양교육학회, 146-165.
김주연(2010). “영어 말하기 코칭프로그램의 모형연구”, 외국어교육 17(3), 한국외국어교육학회, 411-438.
김주연(2014). “코칭을 통한 영어학습에서 블로그를 활용한 성찰일지의 역할 탐색”, 멀티미디어언어교육 17(3),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95-120.
김하정, 원효헌(2018). “대학생의 영어 학습경험에 관한 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30(1),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95-304.
박도영(2005). “학습동기, 학습의지와 몰입감 통합모형의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0,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81-100.
박순희, 이은경, 오명화(2017). “학습코칭이 보건 관련 전공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지 25(3), 한국발육발달학회, 315-319.
배대권, 안병길, 이명헌(2013). “뇌친화적 교수학습 방안: 영자신문을 활용한 EFL 영어 수업”, 영어영문학 18(3), 미래영어영문학회, 141-168.
서은선, 박순희, 김윤주(2018). “대학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학습 코칭과 자기주도학습 및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대한시과학회지 20(3), 대한시과학회, 357-369.
송인섭(2006). 현장적용을 위한 자기주도학습, 서울: 학지사.
신동일, 김주연(2009). “영어말하기 코칭수업의 효과성 연구: 자기소재 발표를 중심으로”, 영미어문학 93, 한국영미어문학회, 273-297.
심선경(2012). “온라인수업에서 학습도구와 학습성취, 학습만족간의 관계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3), 한국콘텐츠학회, 487-497.
오희정, 이은희(2016). “자기주도학습 능력이 온라인 문법 과업활동에 미치는 영향”, 영미연구 37,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111-137.
유도형(2015). “대학생 영어학습자의 자율성 증진을 위한 영화미디어 활용 사례연구”, 멀티미디어언어교육 18(1),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115-137.
유지원, 송윤희(2013). “이러닝에서 학습자의 학습참여 및 학습지속의향에 대한 과제가치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변인의 상호작용 효과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3),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91-112.
유혜령(2015). “현상학적 질적 연구의 논리와 방법: Max van Manen의 연구방법론을 중심으로”, 가족과 상담 5(1), 숭실대학교 부부가족상담연구소, 1-20.
이광성(1997). “고급사고력향상을 위한 교수-학습방법에 관한 연구”, 시민교육연구 25(0),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69-388.
이정숙(2009). 셀프 코칭의 기술, 서울: 청림출판.
이정원, 이태옥(2007). “영자신문을 활용한 고등학생의 영어 독해능력 향상에 관한 사례 연구”, 영어어문교육 13(1),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159-180.
정상원, 김영천(2014). “질적 연구에서의 현상학적 글쓰기의 전략과 방법의 탐구”, 교육문화연구 20(3),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5-42.
정은미(2009). “코칭에 관한 연구 경향 분석”, 코칭연구 2(1), 한국코칭학회, 23-43.
정현옥, 김미영, 민세홍(2010). “학습코칭 프로그램이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에 미치는 효과”, 실과교육연구 16(4),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97-212.
조성진(2015). “코칭이 대학생의 인식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경로: 근거이론적 접근”, 인적자원개발연구 18(3),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1-24.
조성진(2018). “코칭이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현장실험연구”, 교양교육연구 12(4), 한국교양교육학회, 161-176.
조성진(2020). 코칭과 경력개발, 경기: 양성원.
조성진, 정이수(2018). “국내 코칭 연구 동향 및 향후 연구 방향: 진전(1995-2017년)과 전망”, 인적자원개발연구 21(3),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249-313.
조영우(2018). “테크놀로지 지원 외국어학습 코치의 가능성 탐색: 개념과 실행 모형”, 멀티미디어언어교육 21(4),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267-297.
최유선, 박소리, 손은령(2016). “사범대학 예비교사들의 자기주도학습 코칭 경험”,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7(12), 한국산학기술학회, 138-145.
최종근(2008). “교육과정중심측정에서 목표 설정의 의미와 중재효과”, 아시아교육연구 9(2),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89-112.
최창호(2011). “대학생 진로 취업 지원에 있어서 코칭의 대안성 탐색”, 취업진로연구 1(1), 한국취업진로학회, 79-99.
홍경선, 김동익(2011). “공학교육에서 학생 생성 질문 교수학습방법을 적용한 수업 사례연구”, 공학교육연구 14(6), 한국공학교육학회, 24-30.
Colaizzi, P. F. (1978).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s it”, Edited by Ronald S, Valle , Mark King, Existential-Phenomenological Alternatives for Psycholog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48-71.
Cumming, A., & So, S. (1996). “Tutoring second language text revision:does the approach to instruction or language of communication make a difference?”.
Journal of Second Language Writing, 5:197-226.
Ellis, G., & Sinclair, B. (1989). Learning to learn English:a course in learner training,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Fukuda, S., Sakata, H., & Pope, C. (2017). “Developing self-coaching skills in university EFL classrooms to encourage out-of-class study time”.
Innovation in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13(2), 118-132.
Healy, D. (1999). “Theory and research:Autonomy in language learning”, Edited by Egbert J, Hanson-Smith E, CALL Environments:Research, practice and critical issues, 391-402. Alexandria, VA: Teachers of English to Speakers of Other Languages.
Homma, M., & Matsuse, R. (2006). Introduction to self-coaching, Tokyo: Nihon Keizal Shimbun Shuppan.
Johns, J. (1995). “Self-access and culture:retreating from autonomy”.
ELT Journal, 49(3), 228-34.
King, A. (1992). “Comparison of self-questioning, summerizing, and notetaking-review as strategies for learning from lecture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29(2), 303-323.
Knowles, M. (1975). Self-Directed Learning:A Guide for Learners and Teachers, Chicago, IL: Follett Publishing Company.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Newbury Park, CA: Sage.
Masters, J. C., Furman, W., & Barden, R. C. (1977). “Effects of achievement standards, tangible rewards, and self-dispensed evaluations on children's task mastery”.
Child Development, 48(1), 217-224.
Stanley, J. (1992). “Coaching student writers to be effective peer evaluators”.
Journal of Second Language Writing, 1:217-233.
Tian, S.-P. (2000). “TOEFL reading comprehension:Strategies used by Taiwanese students with coaching-school training”. Doctoral dissertation, Available from ProQuest Dissertations and Theses database(UMI No. 9976766).
Wales, S. (2003). “Why coaching?”.
Journal of Change Management, 3(3), 275-2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