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론
2. 실시간 온라인 대학 글쓰기 교육에 대한 학습자의 요구 분석
2.1 학습자의 요구 조사 방법
-
지난 학기(2020년 1학기)에 어떠한 유형의 온라인 수업을 경험했습니까? (경험한 수업 유형에 모두 체크하십시오.)
① 녹화 영상 수업② 실시간 온라인 수업③ 녹화 영상+실시간 온라인 병행 수업 -
여러분이 선호하는 온라인 수업 유형은 무엇입니까?
① 녹화 영상 수업② 실시간 온라인 수업③ 녹화 영상+실시간 온라인 병행 수업 -
여러분이 선호하는 <글쓰기> 온라인 수업의 유형은 무엇입니까?
① 녹화 영상 수업② 실시간 온라인 수업③ 녹화 영상+실시간 온라인 병행 수업 3번에서 여러분이 선택한 유형을 선호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기술해주십시오.
-
실시간 온라인 <글쓰기> 수업을 진행할 때 여러분의 캠과 마이크를 켜고 참여하는 것과 끄고 참여하는 것 중 어느 쪽을 원합니까?
① 캠과 마이크를 켜고 참여② 캠과 마이크를 끄고 참여 5번에서 여러분이 선택한 항목을 선호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기술해주십시오.
실시간 온라인 <글쓰기> 수업을 수강하는 데 있어 기대 또는 우려되는 사항이 있다면 해당 사항 및 그 이유를 자세히 기술해주십시오.
실시간 온라인 <글쓰기> 수업 운영과 관련하여 요구하고 싶은 사항이 있다면 해당 사항 및 그 이유를 자세히 기술해주십시오.
2.2 학습자의 요구 조사 결과
3. 상호작용 촉진을 위한 실시간 온라인 대학 글쓰기 교육 방안
3.1 학습자의 익명성 보장과 ‘부캐’의 활용
‘부캐’는 욕설 등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표현을 사용하지 않는 한에서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부캐’는 사용자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언제든 자유롭게 변경 가능하다.
‘부캐’ 사용자의 본명은 교수자에게 고지하지 않아도 된다: 단, 본인의 활발한 참여도를 인정받고 싶은 경우에는 1:1 비밀 메시지로 교수자에게 고지한다. (1회만 고지하면 되고, ‘부캐’ 변경 시 재고지한다.)
‘부캐’ 사용은 학습자의 활발한 수업 참여와 상호작용을 목적으로 하므로, 자유로운 의사표현을 권장한다: 욕설 등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표현을 제외한 어떤 의사 표현도 허용된다. 이모티콘, 자음⋅모음 표현(‘ㅋㅋ’, ‘ㅎㅎ’, ‘ㅠㅠ’ 등)도 포함되며, 강의 도중의 리액션, 의사 표현, 질문, 학우 간 대화 등을 활발히 할 것이 권장된다.
조별 활동의 익명성은 자율에 맡긴다: 조별 활동은 독립된 공간(Zoom의 경우 ‘소회의실’) 내에서 진행되므로, 캠과 마이크를 끈 채 ‘부캐’만으로 활동해도 좋고 조원들끼리 비밀을 공유하며 캠과 마이크를 켜고 활동해도 좋다. 각 조의 내부 협의에 따른다.
출석은 인터넷 플랫폼(LMS, Zoom) 상의 기록을 통해 체크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