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란숙(2020). “비대면 온라인 강의 교수법-비대면 온라인 수업사례”, 한국문화융합학회 전국학술대회 2020, 한국문화융합학회, 1-38.
김수철(2017). “수학교과 논리 및 논술 수업의 플립러닝 적용사례”,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7(12),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345-359.
김은주(2020). “뉴 노멀 시대 비대면 수업 현황분석 및 대학생의 학습몰입도와 자기주도성이 학습성과 및 비대면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양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2020(11), 한국교양교육학회, 50-59.
김정수, 김장엽, 주익현(2021). “비대면 원격수업에 대한 대학생들의 주관적 인식유형”, 주관성연구 (55),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5-46.
박용한(2010). “협동학습이 대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 학습동기,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아시아교육연구 11(1), 서울대학교교육연구소, 91-119.
박휴용(2020). “COVID-19로 촉발된 ‘비대면 교육’의 교육적 의미와 전망”, 교육비평 (46), 교육비평, 30-64.
안현아, 박영신, 김경이, 장미숙(2016).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 유형이 대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C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10), 학습자중심 교과교육학회, 357-377.
유지은(2020). “비대면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만족도 연구: A 대학교 기독교교육과 강좌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기독교교육정보 (67),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77-298.
임이랑, 김주연, 황지원, 박다솜(2020). “대학에서의 효과적인 비대면 수업운영을 위한 교수전략 탐색: 학습자 경험분석을 중심으로”, 교육혁신연구 30(4),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3-54.
최미나(2019). “대학 플립러닝에서 메타인지, 효과인식 및 만족도, 동영상 학습방식이 지속수강의향에 미치는 영향”,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5(4),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715-738.
최원호, 전영국(2020). “비대면 온라인 수업 사례 고찰: 동영상 녹화 및 실시간 화상 수업 중심으로”, 현장수업연구 1(2), 순천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1-28.
최현실(2021). “코로나-19로 인한 대학신입생의 비대면 수업 경험에 대한 연구”, 교양교육연구 15(1), 한국교양교육학회, 273-286.
하영미(2020). “<추리와 논증>에 적용한 학습연계글쓰기(WTL)의 효과성 검토”, 교양교육연구 14(5), 한국교양교육학회, 4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