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옥경(2020). “교양교육으로서 고전독서토론 방법 연구-일반 성인을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4(3), 175-187.
강옥희(2016). “창의성과 비판적인 사고능력 개발을 위한 고전읽기 수업방안 연구 -문학토론을 통한 명저읽기 수업사례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0(4), 543-578.
길병옥, 이소희, 이송이, 정희정(2020). Q방법론의 이해와 적용,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김경미, 홍인숙(2016). “대학 교양과목으로서의 독서토론 교과목의 효율적 운영방안-선문대학교 읽기와 토론을 중심으로”, 어문론집 67, 373-395.
김복자, 전은영(2016). “간호대학생 인성교육을 위한 고전읽기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가능성 탐색”,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 676-686.
김성연(2016). “대학 교양/기초 교육으로서의 독서교육 방향 탐색”, 한어문교육 38, 5-24.
김애림(2020). “Q방법론을 활용한 아동복지의 인식유형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현희(2019). “인성함양을 위한 고전읽기 강좌의 운영 특성과 효과 ; 서울대 <독서세미나-고전에 길을 묻다> 교과목을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3(5), 11-37.
백용덕, 김성수(1998). “Q-방법론의 연구 경향”, 인하교육연구논문집 4, 47-71.
손승남(2013). “위대한 저서(The Great Books) 프로그램을 토대로 본 우리나라 대학 인문고전 교육의 방향 탐색”, 교양교육연구 7(4), 449-472.
신희선(2012). “대학 교양교육에서 인문학독서토론수업 사례”, 사고와표현 5(1), 7-46.
안현효(2019). “통합인문 교양교육에서 고전교육-대학교육 혁신에서 교양교육강화 방안”, 교양교육연구 13(3), 99-125.
유진원(2014). “대학생의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성과에 대한 협력적 자기효능감, 팀 효능감, 팀 상호작용 간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10), 89-110.
윤승준(2021). “고전교육 교양필수 교과목 운영 사례 - 단국대학교 <명저읽기>를 중심으로”, 교양학연구 16, 33-76.
이국환(2017). “대학 교양교육으로서의 고전읽기와 독서교육”, 동남어문논집 43, 517-548.
이병승(2009). “예비교사의 인문적 소양을 기르기 위한 교육고전 독서방안 탐색”, 교육연구 23, 24-43.
이원봉(2017). “대학 교양교육에서의 고전독서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사고와 표현 10(1), 115-142.
이제영(2016). Q의 의미, 서울: 시간의물레.
이황직(2011). “고전읽기를 통한 교양교육의 혁신 -숙명여대의 ‘인문학 독서토론’ 강좌를 중심으로”, 독서연구 26, 517-548.
정은주(2016). “아들러의 독서토론 방법에 관한 연구 - 공동탐구 입문을 중심으로 -”, 교육철학 61, 143-167.
정한호(2020). “팀 학습에 참여한 대학생들이 경험하는 과제수행 및 해결과정, 성과에 대한 질적 고찰”, 교육방법연구 32(3), 405-435.
한국교양기초교육원. “대학 교양기초교육의 표준 모델”, (2016).
허남영, 정인모(2014). “<고전읽기와 토론>강좌에서의 읽기모형 개선 방안”, 교양교육연구 8(6), 529-557.
홍윤경(2009). “교육목적으로서 “아레테”(arete)의 개념 연구”, 교육철학연구 44, 173-190.
Mortimer Jerome Adler(2012). 생각을 넓혀주는 독서법(How to read a book), 독고 앤 (역), 서울: 멘토(원전은 1972년 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