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정애, 최세경, 윤동열(2016). “멘티의 멘토링 참여수준이 개인역량개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멘토링 만족도의 매개효과 및 그룹참여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조직과인사관리연구 40, 165-197.
김경준, 김영지, 정익중, 김지혜, 조은주, 이수지, 오미선(2012). “청소년멘토링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1-387.
김경준, 오해섭, 김지연, 정익중, 정소연(2010). “청소년의 사회적 참여 활성화를 통한 저소득가정 아동 지원 방안 연구 Ⅰ: 청소년멘토링활동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10-R15), 1-426.
김남희(2005). “사이버멘토링을 통한 여성 네트워크 활성화”, 국회도서관보 42(10), 56-59.
김민선(2019). “멘토링 프로그램의 비행청소년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 교사 멘토 FGI 텍스트분석 중심으로”, 한국범죄학 13(3), 151-163.
김예성, 배정현(2007). “청소년 E-멘토링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또띠(tortee) E-멘토링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변화를 대상으로”, 한국청소년연구 18(2), 133-158.
김지연, 정소연(2010). “청소년 멘토링활동 효과 측정”, 한국청소년개발원 연구보고서 12, 13-122.
박명신, 임선희(2013). “교육복지대상 중학생을 위한 학습멘토링 프로그램의 효과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청소년복지연구 15(2), 197-225.
박선화, 이연주(2020). “영미권 대학 신입생 교육 비교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4), 363-386.
박영순(2018). “대학 신입생을 위한 입학 전 동기유발학기 프로그램의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 269-289.
박현(2010). “고위험 청소년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의 효과분석: 프로그램 과정산물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1(1), 175-201.
손혜숙, 한승우(2017). “대학 신입생 예비교육 프로그램 설계와 운영 방안 연구”, 문화와융합 39 (3), 135-162.
신희선(2017). “예비대학 프로그램 운영사례를 통해 살펴본 신입생 교양교육에의 시사점 연구”, 교양교육연구 11(1), 365-406.
심현(2017).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멘토의 피드백이 자기조절학습능력, 자기주도학습,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열린교육연구 25(1), 169-189.
유영달, 정은미, 이인제(2017). “2017학년도 신입생 실태조사연구”, 학생생활연구 37, 5-138.
이금진(2015). “아동⋅청소년 멘토링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메타분석 고찰”, 생명연구 37, 173-214.
이희영(2017). “예비대학 프로그램 운영 사례를 통해 살펴본 신입생 교양교육 성과와 과제”, 대학교양교육연구 2(1), 127-147.
장인숙(2018). “멘티가 지각한 멘토의 공감적 이해가 멘토링 만족도와 멘티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장형우, 노미진(2011). “멘토링 기능이 대학생 만족몰입 및 대학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신뢰와 공정성지각을 중심으로”, 경영교육연구 68, 23-52.
정순현, 유홍준, 박은영, 김선호, 신진규, 장현수(2016). “학습공동체 기반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및 예비대학 모델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587-608.
조윤형, 정진철, 문명(2013). “개인-학교, 개인-전공 적합성과 취업가능성,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멘토링의 조절효과”, 대한경영학회지 26(3), 749-780.
조혜영, 양계민(2010). “국내 대기업의 청소년 사이버멘토링 적용 사례 연구: 장점과 한계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12(3), 47-77.
홍성연, 김인수(2016). “대학의 지원과 자기결정성 요인이 신입생의 대학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3(12), 453-479.
Allen, D, Eby, T, Poteet, L, Lentz, E, Lima, L(2004). “Career benefits associated with mentoring for proteges:A meta-analysi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9(1), 127-136.
Baik, C, Naylor, R, Arkoudis, S(2015). The First Year Experience in Australian Universities:Findings from two decades, 1994-2014, Melbourne Centre for the Study of Higher Education (CSHE), Melbourne:University of Melbourne.
Brown, D(2003). A Comparison of Teaching Goals and Objectives Identified by Faculty and Peer Learning Facilitators within a Transition Seminar for New College Students New Mexico University Report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479654).
Colley, H(2002). “A 'rough guide'to the history of mentoring from a Marxist feminist perspective”,
Journal of Education for teaching 28(3), 247-263.
Hunter, M. S.(2006). “Fostering student learning and success through first-year programs”, Peer Review 8(3), 4-7.
Kram, K. E(1988). Mentoring at work:Developmental relationships in organizational life, University Press of America.
Porter, A. C, Polikoff, M. S(2012). “Measuring academic readiness for college”,
Educational Policy 26(3), 394-417.
Ragins, B. R, Cotton, J. L, Miller, J. S(2000). “Marginal mentoring:The effects of type of mentor, quality of relationship, and program design on work and career attitude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3(6), 1177-1194.
Richard, J. L(2004). Making the most of college:Students speak their minds, Boston:Havard University Press.
Wilcox, P, Winn, S, Fyvie-Gauld, M(2005). “'It was nothing to do with the university, it was just the people':the role of social support in the first-year experience of higher education”,
Studies in higher education 30(6), 707-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