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미정, 이수진(2014). “가추법과 디자인 씽킹-창의적 발상의 이론과 실제”, 기호학 연구 38 , 한국 기호학회, 7-35.
곽윤정(2004). “정서지능 교육프로그램 모형 개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교육부(2021). 고교학점제 종합추진 계획, 교육부 보도자료, 2021.2.16.
권지훈, 강성주, 윤지현(2019). “중학생을 위한 디자인 씽킹 기반 메이커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0),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561-584.
권혁, 임진혁(2019). “대학생의 4차 산업혁명 융합 전공 선택 동기가 혁신적 교수법 인식 및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 연구”, 인문사회 21 10(4), (사)아시아문화 학술원, 1173-1184.
김난도, 전미영, 최지혜, 이향은, 이준영, 이수진, 서유현, 권정윤, 한다혜(2021). 트렌드 코리아 2021, 미래의 창.
김도현, 장영중(2008). “경영학과 디자인에서의 문제해결 방법”, 디지털디자인학연구 8(2),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21-231.
김동심, 주경희, 김주현(2019). “에코세대와 Z세대 대학생의 취업 환경 및 직업에 대한 인식 비교”, 인문사회 21 10(5), (사)아시아문화학술원, 725-740.
김선연(2019). “디자인 씽킹에 기반한 집단 창의성 사고과정 모형 개발”, 교육공학연구 35(3), 한국교육공학학회, 621-653.
김영채(1997). 창의적 문제해결, 서울: 교육 과학사, 171-178.
김현준(2007). “청소년의 정서지능과 사회지능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희수(2020). “전문대학 학생이 지각한 정서 지능과 사회성 및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305-321.
남궁지영, 김양분, 박경호, 정동철, 백현정(2015). KEDI 학생역량조사연구: 조사도구개발 및 타당화,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로저 마틴(2010). 디자인 씽킹, 이건식 (역), 엘도라도.
문대영(2018). “초등 예비교사의 발명 문제 해결 활동을 위한 디자인 씽킹 적용 방안 탐색”, 한국실과교육학회지 31(2), 한국실과교육학회, 21-39.
박재호, 송동주, 강상희(2020). 디자인 씽킹. 제품과 서비스 개발을 위한 혁신적 문제해결방법, 대구: 가디언북.
변기웅, 김병찬, 배상훈, 이석열, 변수연, 전재은, 이미라(2015). 잘 가르치는 대학의 특징과 성공요인:학부교육 우수대학성공사례 보고서 1, 서울: 학지사.
서응교, 전은화, 정효정(2016). “대학생 창의역량 개발을 위한 디자인씽킹 기반 강좌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4),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693-718.
손승남(2020). “AI시대 교양 기초교육의 교수학적 재음미”, 교양교육연구 14(4), 한국교양교육학회, 11-23.
유진영(2020). “의료서비스 디자인싱킹 교육의 공감적 문제해결능력 향상 효과: 정형 및 비정형 데이터 융복합 분석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18(6), 한국디지털정핵학회, 311-321.
윤옥한(2017). “STEAM 교육을 위한 교수체제설계 모형 탐색-Design Thinking을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2(11), 한국교양교육학회, 443-474.
윤옥한(2019). “디자인 씽킹을 적용한 3차원 교육프로그램 개발모형 탐색”,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9(8 ),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23-833.
이상선, 김동민, 김미희, 김수찬, 김한중, 박경문, 이인석(2015). “디자인씽킹을 도입한 학부과정의 융합교육 사례”, 디자인융복합연구 14(1), 디자인융복합교육학회, 63-81.
이성혜(2020). “디자인씽킹 프로세스 기반의 인공지능(AI) 교육프로그램 적용 효과분석”,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3(4), 한국컴퓨터교육학회, 49-59.
이은혜, 태진미(2017). “디자인 씽킹 기반 STEAM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융합적 문제해결력과 수학 과학 흥미도에 미치는 효과”, 통합교육과정연구 11(1),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143-162.
이한솔, 이유미(2020).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학습성과에 대한 메타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877-902.
이혜정, 임상훈, 강수민(2019). “4차 산업혁명 시대 대학교육 혁신방안 탐색”, 평생학습사회 5(2), 한국방송통신대학교원격교육연구소, 59-64.
임성윤(2019). “디자인 씽킹 (Design Thinking)과 청소년의 창의성: 진짜 문제 찾기”, 청소년문화포럼 59,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125-134.
전병규, 오주리(2015). “아동이 지각한 부모간 갈등이 학교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정서지능의 중재효과를 중심으로”, 정서행동장애연구 31(2), 정서행동장애학회, 571-589.
정연재(2020). “인공지능의 시대, 프로페셔널리즘의 위기와 교양교육의 방향”, 교양교육연구 14(1), 한국교양교육학회, 59-77.
정은기(2012). “디자인 사고를 적용한 초등학교 창의성 교육”, 한국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2-203.
조현국(2017).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대학교육의 변화와 교양교육의 과제”, 교양교육연구 11(2), 한국교양교육학회, 53-89.
최현아, 박재완(2014). “디자인 교육에서 디자인 사고 기반 창의력 증진을 위한 디자인 프로세스 개발”,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4(4), 디지털디자인연구학회, 677-686.
한수정(2019).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를 활용한 학습성과에 관한 연구”,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9(7),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71-281.
홍정순, 장환영(2018). “초등학교 ‘디자인씽킹(Design Thinking)’ 기반 학습프로그램의 개발 및 가능성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 (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309-1337.
Baughn, C, Glen, R, Suciu, C(2014). “The need for design thinking in business schools”,
Academy of Management Learning &Education 13(4), 653-667.
Brown, T, Katz, B(2011). “Change by design”,
Journal of product innovation management 28(3), 381-383.
Davis, B. M(2010). “Creativity &innovation in business 2010 teaching the application of design thinking to business”,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2(4), 6532-6538.
Deval, Y, Jesionkowska, J, Wild, F(2020). “Active Learning Augmented Reality for STEAM Education;A Case Study”,
Education Sciences 10(198), 1-15.
Nusem, E, Straker, K, Wrigley, C(2020). “Implementing Design Thinking:Understanding Organizational Conditions”,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62(2), 125-143.
Richard, Y. C. L(2020). “Applying online and blended learning structure to teaching practice for STEAM Education”,
2020 IEEE Frontiers in Education Conference (FIE) 1-5.
Xu, J(2020). “Research and Applications of Classroom Group Collaboration in the Design Thinking Online Tool”,
2020 IEEE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 and Communications (ICCC) 2135-2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