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 General Edu Search

CLOSE


Korean J General Edu > Volume 16(2); 2022 > Article
온라인 수업에 대한 선호도가 온라인 수업 만족도에 끼치는 영향 분석 -K대학 교양영어 수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Abstract

본 연구는 교양필수 영어과목을 수강한 학생들의 온라인 수업관련 선호도를 살펴보고 온라인 수업 선호도가 영어 수업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조절변수인 연령, 교수자, 영어수준, 영어 선호도에 따라 그 영향이 달라지는지 탐색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교양영어 수업을 수강한 K 대학 학부생 870명이였으며 Google Forms 설문지를 통해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온라인 수업 선호도와 실시간 수업 선호도가 영어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t검정, 대응표본-t검정과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온라인 수업 선호도가 영어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절변수인 연령, 교수자, 영어 수준, 영어 선호도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 선호도의 경우 온라인 수업에 관한 선호도보다 실시간 온라인 수업 선호도가 더 낮았지만 실제 교양영어수업의 만족도의 경우 온라인 수업방식 만족도보다 실시간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또한 수업 선호도에서 실시간 온라인 수업 선호도가 높은 학생이 영어 수업 만족도가 더 높았다. 영어 수업 만족도에는 어떤 요인이 가장 큰 영향을 주는가는 실시간 온라인 수업 선호도, 영어 선호도, 온라인 수업 선호도, 영어 수준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들이 긍정적 실시간 수업의 경험을 통해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관한 긍정적 인식을 갖게 된다면 이는 실제 실시간 비실시간 병행 방식 온라인 수업의 성공으로 이어질 수 있는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learners’ perception of online learning for a general English course in Covid 19 situation, explore how online class preference affects degree of satisfaction of general English online class and examine whether the influence varies depending on the controlling variables such as age, instructor, English level, and English prefer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70 undergraduate students from K University who took the same compulsive general English course,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the Google Forms questionnaire. This study processed an independent sample-t test, response sample-t test,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to discover the effect of bichronous online learning(blending of both asynchronous and synchronous online learning) preference on English class satisfac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o observe the effect of online class preference.
Th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preference to online learning was lower than that of online learning, but in the case of their satisfaction of general English online course, satisfaction with the synchronous online clas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online class. In addition, There was a high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ynchronous online learning preference and general English class satisfaction. It was also found that the hierarchy of factors influencing English class satisfaction was in the order of synchronous online learning preference, English preference, online class preference, and English proficiency level.

1. 서론

2019년 후반에 발생하여 온 인류의 일상생활을 송두리째 바꾸어 놓은 코로나 바이러스 팬데믹은 학교 현장에 엄청난 혼란을 가져왔으며 2022년으로 접어든 지금 이 순간까지 학사운영이나 수업 계획을 수립하는데 있어 큰 변수가 되고 있다. 코로나 19 팬데믹 발발 초기 대부분의 학교는 예상할 수 없는 팬데믹의 파급력 때문에 전면 비대면 수업을 결정하고 온라인 수업으로 전환하였다. 준비 없이 진행된 전면 온라인 수업은 여러 기술적 한계와 학습자 동기 부여의 한계로 여러 부작용을 낳았던 것이 사실이다(이동주,김미숙, 2020).
그러나 학생들에게 양질의 수업을 제공하기 위해 모든 학교 구성원들은 전면 온라인 수업으로의 갑작스런 전환에 맞서 최선을 다해 적응해왔다. 학교는 모든 학생이 동시에 접속하여 생기는 트래픽이나 여러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는데 노력했고 온라인 수업을 관리할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 시스템을 갖췄다. 또한 교수자에게 다양한 특강과 세미나를 제공하여 온라인 콘텐츠 제작과 온라인 강의 관리 프로그램 활용을 도왔다. 교수자들 역시 온라인 콘텐츠 직접 제작하고 온라인 환경 속에서도 학생들과의 의사소통을 이어나가려는 노력을 계속해왔다. 이러한 모든 구성원들의 노력으로 코로나 19가 발생한 지 2년이 지난 지금 대학의 온라인 수업과 관련된 대부분의 기술적 문제가 해결되었으며, 교수자의 온라인 수업 역시 안정적으로 운영되었다.
팬데믹 초기의 상황을 돌이켜 보면 위기 상황에서 꼼꼼한 기획 없이 시작한 온라인 수업은 기존에 확고한 틀 안에서 행해지던 대면수업에 비해 교육적 효과가 떨어진다는 부정적 인식이 지배적 이였던 것이 사실이다. 이와 같은 분위기 속에서 백신의 도입과 코로나 이전의 일상생활로의 복귀를 갈망하는 사회 구성원들의 염원으로 교육부는 2021년 6월에 2021년 2학기 대학 대면 활동 단계적 확대 방안을 발표하며 대학의 대면 수업 확대를 장려하였다. 그 결과 2021년 2학기에는 많은 대학이 소규모 강의, 실습형 강의부터 대면수업으로 전환시켜 진행하였다.
그러나 변이바이러스의 계속된 출현으로 향후 수업을 어떤 형태로 진행할 수 있을지에 관한 불확실성은 여전히 높은 상태이다. 2022년 봄 현재에도 상당수의 학교에서 비대면 수업이 진행되고 있다. 또한 바이러스 뿐 아니라 어떠한 사회적 변화를 겪더라도 지속적으로 교육을 이행할 수 있는 준비 또한 필요하다는 것을 우리는 이번 팬데믹을 통해 알게 되었다. 학교에 갈 수 없고 교수자가 학생을 만날 수 없는 전대미문의 위기상황을 겪으며 우리는 어떠한 상황 속에도 안정적으로 교육을 지속해 나갈 방법을 물색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온라인 수업은 코로나 이전에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었으며, 전면적으로 온라인 수업을 경험한 포스트코로나 시기가 되면 확고하게 다져진 인프라 위에서 높은 수준의 고등 교육을 제공해 주는 역할을 하며 학교 기관의 효율성을 높여주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Nworie, 2021). 그러므로 예기치 않게 전면 온라인 교육을 실시한 이번 경험을 통해 보다 효과적이고 수준 높은 온라인 교육을 실시할 방안을 논의한다면 향후 교육 과정 설계에 있어 의미 있는 일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대상이 된 충청권에 소재한 K대학의 경우 2020년 전면 온라인 교양 수업이 결정되며 100% 비 실시간 동영상 강의 방식의 온라인 수업이 진행되었다. 학교 측이 여러 차례 내부적으로 조사한 수업 교양 수업 수업방식 선호도는 100% 온라인 비동영상 강의 방식이었고, 여러 연구에서도 학생들은 교양 과목에 있어 비실시간 온라인 강의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강현숙, 2021; 박현진, 2021; 이유화 외, 2021; Nam, 2020). 그러나 학생들의 수업 이해도를 직접 확인하기 어렵다는 단점과 의사소통 기능을 중시할 수밖에 없는 영어 과목의 특성을 고려하면 실시간 수업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교수자들의 의견에 따라, 2021년 1학기에는 실시간과 비실시간 혼합형의 온라인 수업방식을 사용하였다.
저자들은 강의 초기에 비실시간 수업을 선호하던 학생들이 많았던 점을 우려하였으나 실제 수업에서 학생들이 교수자-학생, 학생-학생간 의사소통이 용이한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였고 수업방식에 대한 긍정적 피드백이 많다는 것을 경험하게 되었다. 강의를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곳에서 들을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실제 수업을 경험해 보지 않고 100% 비실시간 수업을 선호한다고 답한 학생들의 의견이 수업방식 의사결정에 영향을 줄 수도 있었던 점을 고려해 볼 때, 학생들의 비 실시간 수업 선호도가 실제 실시간 비실시간 혼합형의 수업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게 되는지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느끼게 된 것이다.
교양영어 과목의 온라인 수업 방식에 대해 논의하고 온라인 실시간 비실시간 병행 형태의 수업 만족도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을 연구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 1) 온라인 교양영어 수업에 대해 학습자들이 일반적으로 가지고 있는 선호도는 어떠한가?

  • 2) 온라인 교양영어 수업에 대해 일반적으로 가지고 있던 학습자의 선호도가 실제 온라인 수업 만족도에 영향을 끼치는가?

  • 3) 온라인 교양영어 수업에 관한 선호도가 영어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연령⋅교수자⋅영어 수준⋅영어 선호도에 의해서 달라지는가?

2. 선행연구 및 교양영어 수업사례 소개

2.1. 코로나 19 온라인수업 관련 선행 연구

2.1.1. 비상 원거리 수업(Emergency Remote teaching)과 온라인 수업

코로나 19 팬데믹 기간에 시행된 온라인 수업은 기존에 선택적으로 시행되었던 온라인 수업과는 성격이 다른 것이었다(김석훈, 2021; 도재우, 2020). 본디 온라인 수업은 온라인 수업을 원하는 학생들이 미리 완벽하게 설계된 온라인 수업을 수강하는데 반해 이번 팬데믹 기간에 진행된 온라인 수업은 학교의 전 학생들이 선택의 여지없이 위기 대응 방안으로 강의수강, 질의응답, 과제, 시험 등의 수업 요소들을 모두 온라인으로 시행한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Hodges et al(2020)은 코로나 상황에서 시행된 온라인 수업을 온라인 수업이 아닌 비상 원거리 수업(Emergency Remote teaching)이라 일컫는 것이 옳다고 하였다.
Hodges et al(2020)은 코로나 19 이후 발생한 전면 온라인 수업으로의 전환은 언제 어디서나 교육을 가능하게 해 주었으나, 예측하지 못했던 갑작스러운 전환 과정에서 여러 잡음과 어려움이 있었다고 하였다. 또한 이러한 여러 문제에 관해 때로는 미흡하고 때로는 좋은 해결책이 제시되었으나 이 모든 과정에서 교육 당사자들이 매우 큰 스트레스를 받게 되었다고 하였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이번에 급작스레 진행된 온라인 수업은 대면수업에서 제공하던 교육 수준에 미치지 못한다는 오명을 쓰게 된 것이다. 이처럼 비상 원거리 수업은 그동안 교육적 효과가 매우 높은 것으로 연구되어온 높은 수준의 온라인 수업과 대비되는 개념이다. 효과적 온라인 교육은 철저한 계획과 교안을 통해 실현되는 것인데 위기상황 속에서 갑작스레 온라인으로 전환될 때에는 이러한 철저한 사전 기획이 불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대면수업의 교육의 질과 비상 원거리 수업의 질을 직접적으로 비교하는 것은 신중할 필요가 있다.
비상 상황에 이루어지는 온라인 학습은 기존의 잘 짜인 온라인 수업과 같다고 할 수 없다. 그러므로 코로나19 같은 팬데믹에 이루어진 온라인 수업을 평상시 이루어진 대면수업과 같은 선상에서 평가하는 것에는 무리가 있다. Stanger(2020)는 코로나19 상황 속에서 학생들이 평상시와 같은 교육을 받지 않고 있다는 것을 인정해야 하며 모든 수업을 합격/불합격 (pass/fail) 형태로 평가하는 것이 낫다고 하였다. 실제로 연구가 이루어진 K 대학도 코로나 발발 이후 기존의 상대평가기준을 완화하여 학생들이 비상 상황 속에서도 일정한 교육 목표를 달성하였는지에 보다 초점을 맞추었다. 구성원들의 건강과 생존이 위협받는 팬데믹 같은 상황 속에서 기존의 기준을 일괄적으로 적용할 수는 없는 것이다.
다만 이번처럼 위기상황이 오래 지속되면 우리는 비상 원거리 수업을 정상적 온라인 수업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게 된다. 실제로 학기를 거듭해가며 온라인 수업을 가로막은 기술적 문제는 크게 완화되었고 학교와 교수자가 보다 체계적으로 온라인 수업을 사전에 계획하는 일이 가능해졌다. 대면 수업으로 기획된 수업을 임시로 온라인에서 진행하는 대신 사전에 온라인 수업용 수업 계획을 세워 그동안 실행하고 연구해왔던 온라인 수업의 장점을 십분 발휘한 수업을 운용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또한 Zoom이나 Webex 등의 플랫폼을 활용하여 실시간 학습도 가능하게 되었다.

2.1.2. 실시간 비실시간 혼합형 온라인 학습

코로나 19 이전부터 온라인 수업은 대학 교육의 일부분으로 자리잡아왔다.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어디서나 학습에 참여할 수 있다는 온라인 학습의 강력한 장점은 기술의 발전과 함께 교육의 일부분이 되었다. Ally(2004)는 온라인 수업이란 인터넷의 사용으로 콘텐츠, 교수자 다른 교수자들과 상호작용하면서 수업 과정중 서로 지원해주고 지식을 습득하고 개인적 의미를 구성해가는 학습 경험으로 함께 성장하는 과정을 포함한다고 하였다. Means, Bakia와 Murphy(2014: 27)는 온라인 수업을 디자인하는 선택지를 다음 수업방식(modality), 학습속도(pacing), 학습자/교수자 수의 비율(student-instructor ratio), 교수법(pedagogy), 온라인상에서의 교수자 역할(instructor role online), 온라인상에서의 학습자 역할(student role online),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동시성(online communication synchrony), 온라인 평가의 역할(role of online assessments), 피드백 출처(source of feedback)의 아홉 개의 차원으로 분류하였다. 이 중 수업방식은 100% 온라인, 50% 이상 온라인 수업과 나머지 대면수업으로 구성된 혼합수업(blended learning), 25~50% 온라인 수업과 혼합수업, 웹으로 진행하는 대면수업의 네 가지로 분류하였고,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동시성은 100% 비실시간(asynchronous only), 100% 실시간(synchronous only)와 그 둘의 혼합형(some blend of both)로 분류하였다.
일반적으로 혼합 수업이나 하이브리드 수업은 대면수업과 온라인 수업을 병행하여 진행하는 것을 의미한다(Means, et al., 2009; O’Byrne & Pytash, 2015). 그들은 어떤 형태로 수업을 진행하던 간에 온라인 수업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교수자가 학생들에게 상호작용적이고 학생들을 지지해주고(supportive) 협업이 이루어지(collaborative)는 학습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온라인 학습은 일반적 상황에서나 위기적 임시 상황이거나 관계없이 학습자와의 상호작용이 더해져야 보다 교육적으로 의미 있는 수업 형태가 되는 것이다.
온라인 수업의 형태에서 비 실시간과 실시간 수업을 혼합한 형태의 수업을 Martin와 Ritzhaupt(2020)은 바이크로노스 온라인 러닝 (Bichronous online learning) 이라 하였다. 그들은 바이크로노스 온라인 학습이 실시간으로만 이루어지는 온라인 학습의 단점을 상쇄시켜줄 주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비실시간 온라인 학습은 즉시성과 커뮤니티, 상호작용, 오디오비디오 커뮤니케이션의 부족이라는 단점이 있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해 실시간 온라인 수업을 병행하여 온라인 수업을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다음 그림 1Martin와 Ritzhaupt(2020)이 바이크로노스 온라인 러닝을 개념화 한 모형이다. 그들은 온라인 수업을 실시간 수업과 비실시간 수업의 연속체로 보았다. 이는 현재 존재하고 있는 여러 형태의 온라인 수업이 사실 실시간 온라인 수업과 비실시간 온라인 수업 양 극단 사이 요소들을 차용한 바이크로노스 러닝 이였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림 1]
바이크로노스 온라인 학습의 개념 모형 (Martin과 Ritzhaupt, 2020: 4
kjge-2022-16-2-257-gf1.jpg
바이크로노스 온라인 러닝은 학생들이 언제 어디서나 비실시간 수업을 수강할 수 있게 하면서 특정시간에 모여 리얼타임으로 실시간 수업에 참여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이 방식을 통해 학습자들은 자신의 속도에 맞는 비실시간 수업을 학습하면서 실시간 수업을 통해 즉각적 피드백이나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실시간 수업 스케줄 조정의 어려움과 기술적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도 존재한다.
이러한 바이크로노스 온라인 수업 모형을 적용하여 학생들이 자기 속도로 반복해서 학습할 수 있는 비실시간 온라인 동영상 업로드 방식으로 이론과 원리를 학습하는 내용을 교수하고 실시간 온라인 수업으로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하는 다양한 활동이나 토론, 의사소통을 진행한다면 보다 높은 수준의 온라인 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 Fowler (2019)는 비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실시간 온라인 수업 요소를 실시하였을 때 학생들의 성적이 향상되었으며 학생들의 수강 중도 포기율이 비실시간 온라인 수업의 25.5퍼센트에서 9퍼센트로 인하되었다고 하였다. 연구결과 이는 실시간 온라인 수업이 가미되었을 때 온라인 수업이 보다 참여적 수업이 되고 학생들의 학습 결과가 향상되며 학생들의 긍정적 태도가 유지되기 때문이다.

2.2. K 대학 온라인 실시간, 비실시간 혼합형 교양영어 수업사례

예기치 못한 팬데믹이 발생한 2019년 이전까지는 대면 수업 100%로 교양영어 수업을 진행하였던 충청권 소재의 K대학은 팬데믹이 발발한 후 첫 해인 2020년 1년 동안 100% 비실시간 온라인 수업을 진행하였다. 이 후 1년여의 100% 비 실시간 온라인 수업이 학생들과의 상호작용이 큰 역할을 하는 언어 교수에 적합지 않다는 교수자들의 강력한 요구에 따라 학습자와의 피드백을 보다 원활히 하고 보다 의사소통적 교양영어수업을 진행하고자 2021년에는 바이크로노스 러닝인 온라인 실시간⋅비실시간 혼합형 수업방식을 채택하였다. 물론 이 시기에 대면수업을 강행한 학교도 있었지만 실기 위주의 전공수업을 제외한 다른 과목은 비대면으로 수업을 진행하라는 학교의 방침에 따라 바이크로노스 러닝 방식을 선택하게 된 것이다.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설강된 교양 필수 영어 과목의 교수자는 총 8명이였으며 학기가 시작되기 전 수업교재, 수업 방식, 평가 방법 등을 협의하여 같은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수업은 2주간 4시수 동안 한 챕터를 교수하는 방식으로 설계되었다. 2021년 1학기에 K 대학이 설계한 교양영어 실시간, 비 실시간 수업 비율은 그림 2와 같다. 수업의 경우 그 4시간 중 첫 3시간은 비 실시간 온라인 동영상 업로드 방식으로 진행하였고 나머지 1시간은 Zoom을 활용하여 실시간 온라인 수업을 실시하였다. 학교 내부의 의견 수렴 과정에서 전공수업의 원활한 대면 수업 전환을 용이하도록 하려는 목적으로 교양과목을 100% 비실시간 온라인 수업으로 진행했으면 하는 의견이 제시되었으며 학생들 또한 교양과목을 100% 비실시간 온라인 수업을 선호하는 의견이 우세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교수자들은 교양 영어를 전면 실시간 수업으로 진행하는 것은 부담스러우나, 학생들의 학습 진척사항을 확인하고 학습내용을 바탕으로 학생 참여 활동을 진행할 수 있는 분량의 실시간 수업은 반드시 병행되어야 한다고 의견을 모으게 되었다. 그리하여 75%의 비실시간 온라인 수업과 25%의 실시간 온라인 수업의 병행이라는 수업 방식이 결정된 것이다. 수업시간은 동영상 업로드의 경우 1시수에 25분 이상의 분량을 업로드 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였고 Zoom 수업의 경우 1시수에 50분을 진행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였다.
[그림 2]
K 대학 온라인 수업 실시간/비실시간 비율
kjge-2022-16-2-257-gf2.jpg
과제의 경우 학생들이 교재 출판사(Pearson)에서 제공한 온라인 학습 프로그램인 MyEnglishLab1)을 이용하여 강의를 수강한 내용의 이해도를 확인하는 비 실시간 온라인 학습 과제와 Zoom 실시간 수업 학습 활동과 관련한 과제가 모두 부과되어 각각 성적에 반영되었다. 과제의 분량과 학생들이 과제를 하는데 소요한 시간을 고려하면 비실시간 과제가 실시간 과제 비율은 3대 1정도였다.
의사소통의 경우 학생들은 비실사간 온라인 수업 중 교수자에게 질의하고 싶은 내용이 있는 경우 LMS 게시판이나 쪽지, 질의 응답란을 활용하여 교수자게게 언제든지 질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의사소통은 비실시간 상황보다 Zoom 실시간 수업 시간에 높은 비율로 발생하였다. Zoom 실시간 수업시간에는 이전 3시간 동안 비 실시간 동영상 강의 시 학습한 내용을 학생들이 잘 이해하였는지를 확인하는 수업 중 활동이 교수자에 따라 여러 형태로 진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교수자는 학생의 개별적 이해도를 퀴즈, Padlet 활동, Zoom 채팅창 등을 활용하여 확인하였고 활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졌다. 강의 내용 뿐 아니라 교양 영어 과목 과제, 시험등 전반에 걸친 질의응답도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이어져 학생들의 원활한 과목 수강을 도울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평가의 경우 중간고사, 기말고사, 성취도 평가가 모두 학교 LMS 시스템의 시험란을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진행되었다. 교수자가 문제를 미리 시스템에 업로드 해 놓으면 학생들이 정해진 시간에 일제히 접속하여 문제를 푸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중간고사는 8주자, 기말고사는 15주차에 각 교수자가 출제한 문제로 시행되었고 성취도 평가는 모든 교수자가 협업하여 출제한 공통의 문제를 전 학년의 학습자가 14주차에 실시간 온라인 방식으로 시행하였다.
이처럼 2021년 1학기 교양 영어는 그 과목을 교수하는 전 분반이 온라인 실시간⋅비실시간 혼합형 수업방식을 철저하게 사전에 계획하고 이를 실행에 옮겼다는 점에 있어 온라인 실시간⋅비실시간 혼합형 수업방식에 관한 학생들의 선호도와 만족도를 조사하는데 있어 매우 적합한 사례가 될 것이다.

3. 연구방법

3.1. 연구대상

본 연구는 학습자들의 실시간⋅비실시간 혼합형 온라인 수업 선호도를 알아보고 이러한 인식과 실제 수업 만족도 사이의 상관관계를 연구해 보고자 2021년 충청권 소재 K 대학 교양 영어 수업을 수강한 2학년 학부생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동일과목 40강좌에서 총 990명의 수강학생 중 설문에 응답한 학생은 870명이였으며 88%의 응답률을 보였다. 소속 단과대학 별 응답자 비율은 간호대학 12.3%, 군사경찰대학 9.2%, 글로벌경영대학 6.3%, 의과학대학 22.1%, 의료공과대학 15.3%, 재활복지대학 16.9%이다.
연구대상 학부생들이 수강한 교양필수 영어 교과목은 100% 온라인으로 진행되었으며 학교 LMS를 통한 강의 동영상 청취와 Zoom 실시간 수업을 병행한 실시간 비실시간 혼합형 온라인 수업이 이루어졌다. 영어 읽기와 쓰기 능력의 함양을 목표로 하는 교재가 선정되었으며 어휘학습, 읽기, 문법, 쓰기능력을 강의와 수업 시간 내 활동, 온라인 과제학습을 통해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평가는 중간고사와 기말고사가 모두 LMS상에서 온라인으로 실시간 실시되었으며 교양영어 수강생이 모두 같은 문제로 시험을 치르는 성취도 평가가 학기말 시행되었다.
조사 대상자들의 특성을 온라인 수업에 관한 선호도와 교양 영어 수업 만족에 영향을 주는 조절 변수로서 사용하기 위해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들의 일반적인 특성으로 연령, 교수자별, 영어 수준, 영어 선호도별 빈도분석을 시행하였고 그 결과는 <표 1>과 같다.
<표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N=870)
변인 구분 빈도 (%) 변인 구분 빈도 (%)
연령 21세 이하 700 (80.5) 영어
수준
초급 238 (27.4)
22세~23세 116 (13.3) 초⋅중급 386 (44.4)
24세~25세 36 (4.1) 중급 226 (26.0)
26세 이상 18 (2.1) 고급 20 (2.3)
교수자 A교수 123 (13.2) 영어
선호도
좋아하지 않음 181 (20.8)
B교수 133 (14.3)
C교수 112 (12.0) 보통 473 (54.4)
D교수 126 (13.5)
E교수 201 (21.5)
F교수 102 (10.9) 좋아함 216 (24.8)
G교수 71 (7.6)
H교수 65 (7.0)
연령은 870명 중 21세 이하 700명(80.5%), 22세~23세 116명(13.3%), 24세~25세 36명(4.1%), 26세 이상 18명(2.1%)으로 21세 이하가 가장 많고, 본인 스스로 생각하는 영어수준은 초급 238명(27.4%), 초⋅중급 386명(44.4%), 중급 226명(26.0%), 고급 20명(2.3%)으로 초⋅중급이라고 응답한 학생이 가장 많았다. 영어 선호도는 좋아하지 않음 181명(20.8%), 보통 473명(54.4%), 좋아함 216명(24.8%)으로 보통이라고 응답한 학생이 가장 많았다.

3.2. 연구 데이터 수집과 분석

본 연구의 설문지는 충청권 소재 K대학 2021년 1학기 교양필수 영어 과목 전체 수강생을 대상으로 학기말 Google forms설문으로 이루어졌다. K대학 전체에서 내부적으로 학생들에게 실시하는 선호도 조사에서 학생들은 교양 수업을 비대면 비실시간 온라인 수업으로 진행하기를 원하는 결과가 더 많았지만, 의사소통능력이 중시되는 외국어 강의를 전면 비대면 비실시간으로 지속할 수 없다는 대부분의 교수자들의 의견에 따라 실시간 온라인 수업을 활용하는 방식이 강행되었다.
수업이 초기 교수자들은 온라인 비실시간 수업에 관한 인식이 좋지 않음을 염려하였지만, Zoom을 통한 실시간 수업 시간에 학습자들과 원활한 상호작용을 통해 서로 수업 만족도가 올라가는 것을 체감하게 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와 같은 현상을 지켜보며 본 저자들은 학습자들의 실시간 온라인 수업 병행에 관한 선호도와 실제 수업 만족도 사이의 상관관계를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고 보고 이와 관련된 설문을 시행하였다.
해당 설문은 학기 마지막 온라인 실시간 Zoom 수업 시 Google forms 링크를 공유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으며 무기명으로 작성하도록 하였다. 구체적인 설문 내용은 다음 <표 2>와 같다.
<표 2>
온라인 수업 선호도와 교양 영어 수업 만족도에 관한 설문지 개요
조사영역 설문내용 응답유형 조사영역 설문내용 응답유형
(1) 학습자
개인특성
단과대학 선택형 (2) 온라인 수업
선호도
선호하는 온라인 수업 방식 선택형
연령 선택형 실시간 온라인수업 장점 선택형(복수), 개방형
교수자 선택형 실시간 온라인수업 단점 선택형(복수), 개방형
영어수준 선택형 실시간 수업 성공요건 선택형(복수)
영어선호도 선택형 (3) 교양영어 온라인 수업만족도 온라인 수업방식 만족도 척도형(1-5)
(2) 온라인 수업
선호도
온라인 수업 선호도 척도형(1-5) 실시간 온라인 수업 만족도 척도형(1-5)
실시간 온라인수업 선호도 척도형(1-5) 수업 전반 만족도 척도형(1-5)
<표 2>에서 보듯이 설문 내용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이는 (1)학습자의 개인적 특성 연령, 교수자별, 영어 수준, 영어 선호도 (2)학습자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 선호도 그리고 (3)학습자의 수업 만족도로 총 12개 문항으로 이루어졌다.
리커트 척도(Likert scale)형으로 이루어진 온라인 수업 선호도의 두 문항과 교양영어 온라인 수업 만족도의 세 문항의 문항 신뢰도는 <표 3>과 같다.
<표 3>
온라인 수업에 관한 선호도와 교양 영어 수업 만족도에 관한 문항 신뢰도
조사 영역별 설문 내용 문항 수 신뢰도 (Cronbach‘s-α)
온라인 수업 선호도 온라인 수업에 대한 생각 2 .472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대한 생각
교양 영어 온라인 수업 만족도 온라인 수업 방식 만족도 3 .907
실시간 온라인 수업 만족도
수업 전반의 만족도
교양영어 온라인 수업 만족도의 경우 0.907로 상당히 높은 수준의 문항 내적 신뢰도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온라인 수업 선호도의 경우 선호도에 대한 문항은 응답 경향에 큰 차이가 있어 수치가 다소 낮게 측정 된 것으로 보인다.2) 다시 말해 영어 온라인 수업 만족도 응답 경향은 비슷한 반면, 온라인 수업 선호도는 온라인수업과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대한 선호도의 경향이 확연한 차이를 보여 이러한 신뢰도가 산출되었기 때문에 향후 조사에는 온라인 수업 선호도와 실시간 온라인 수업 선호도를 묻는 문항을 각각 추가하여 조사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설문을 통하여 수집된 자료는 온라인 수업 선호도가 영어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t검정, 대응표본-t검정과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온라인 수업 선호도가 영어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절변수(연령, 교수자, 영어 수준, 영어 선호도)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4. 연구결과 및 논의

4.1. 교양영어 온라인 수업 선호도 및 실제 수업 만족도 조사 결과

4.1.1. 온라인 교양영어 수업에 관한 학습자의 선호도

본 설문은 교양 영어 과목 온라인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기본적 선호도를 알아보고자 척도형, 선택형(복수), 개방형 질문을 혼용하여 구성되었다. 설문 답안 작성에 앞서 본 질문이 온라인 수업 전반에 관한 인식이 아닌 교양영어 과목에 사용되는 온라인 수업에 관한 인식을 묻는 설문임을 학생들에게 분명히 주지시키는 과정을 거쳤다. 교양영어 온라인 수업에 관한 학생들의 선호도를 알아보고자 온라인 수업 선호도, 실시간 온라인 수업 선호도, 선호하는 온라인 수업 방식, 실시간 온라인 수업 장점, 실시간 온라인 수업 단점과 실시간 수업 성공요인에 관한 의견을 물었다.
먼저 척도형으로 질문한 전반적 온라인 수업 선호도와 실시간 온라인 수업 선호도의 빈도 분석 결과는 <표 4>와 같다.
<표 4>
교양영어 온라인 수업과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관한 선호도
온라인 영어수업에 관한 선호도 실시간 온라인 영어수업에 관한 선호도
척도 응답자 수 빈도 (%) 척도 응답자 수 빈도 (%)
매우긍정적 232 26.7 매우긍정적 97 11.1
긍정적 372 42.8 긍정적 276 31.7
보통 219 25.2 보통 351 40.3
부정적 41 4.7 부정적 110 12.6
매우부정적 6 0.7 매우부정적 36 4.1
교양영어를 온라인으로 진행하는 것에 관해 긍정적 혹은 매우 긍정적이라고 대답한 비율은 69.5%로 거의 70퍼센트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정적 혹은 매우 부정적이라고 대답한 비율은 5.4%에 그쳤다. 대학생 수의 감소로 대학이 학생들의 의견을 매우 민감하게 받아들이는 현실 속에서 높은 온라인 수업에 대한 수요는 교수자가 온라인 수업을 보다 수준 높은 수업으로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이에 반해 실시간 온라인 수업의 경우 매우 긍정적 혹은 긍정적이라고 우호적인 반응을 보인 비율은 42.8%였으며 보통이라고 대답한 비율이 40.3%, 부정적 혹은 매우 부정적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16.7%였다. 보통이라고 밝힌 비율이 매우 높았던 것으로 보아 실시간 수업의 질에 따라 실시간 수업에 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날 여지가 있다고 분석할 수 있다.
다음으로 100% 비실시간 동영상 시청방식의 수업, 100% 실시간 온라인 수업, 실시간, 비실시간 혼합형 온라인 수업의 세 가지 형태 중 어느 유형의 온라인 수업을 선호하는가에 관한 질문의 결과는 [그림 3]과 같다.
[그림 3]
온라인 교양영어 수업 방식 선호도
kjge-2022-16-2-257-gf3.jpg
앞선 질문에서 온라인 실시간 수업에 긍정적이라고 답한 학생들이 42.8%였지만 결국 100% 비실시간 동영상 시청방식의 수업, 100% 실시간 온라인 수업, 실시간, 비실시간 혼합형의 세 가지 중 선택하라는 질문의 답변은 100% 비실시간 동영상업로드 방식을 선택한 비율이 63.8%로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어떻게 질문하느냐에 따라 같은 학생도 다르게 대답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예로서, 하나의 통계지표만으로 쉽게 학생들이 비실시간 온라인 수업으로 진행하는 것을 원한다고 결론지을 수 없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고 하겠다.
복수의 정답을 선택하도록 한 실시간 온라인 수업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응답자들은 ‘교수자와 원활하게 소통할 수 있다(360명, 41.4%)’는 점을 가장 큰 장점으로 뽑았고 그 다음으로는 ‘능동적으로 수업에 참여할 수 있다(320명, 36.8%)’, ‘비실시간 동영상 강의보다 집중해서 수업에 참여할 수 있다(297명, 34.1%)’, ‘교수자와의 친밀도가 높아진다(203명, 23.3%)’, ‘영상강의보다 실시간 수업이 더 재미있다(94명, 10.8%)’의 순으로 나타났다. 기타 개방형으로 실시간 수업의 장점을 묻는 질문의 답변을 개념화 하면 ‘실시간 수업으로 규칙적 생활이 가능함’, ‘수업의 현장감이 느껴짐’, ‘강의 시청이 밀리지 않음’, ‘바로 질문하고 답변할 수 있음’, ‘질문사항에 대해 즉각적 피드백을 받을 수 있음’, ‘혼자 공부하는 느낌이 아니라 다른 학우들과 여럿이 수업하는 느낌을 갖을 수 있어 좋음’, ‘교수자의 열정을 느낄 수 있어 좋음’ 등의 의견이 있었다.
반대로 실시간 온라인 수업의 단점에 관한 답변은 다음과 같았다. 응답자들은 실시간 수업의 단점으로 ‘기술적 문제(인터넷 연결 불안, Zoom 수업 시 영상 및 음성 끊김 현상, 새로운 플랫폼 사용의 어려움)로 수업에 집중하기 어려움(524명, 60.2%)’과 ‘장소의 제약으로 수업에 참여하기 불편함(523명, 60.1%)’을 압도적으로 많이 선택했다. 수업 내용의 문제보다는 수업 참여를 용이하도록 하는 환경적 요인이 실시간 수업에 대한 부정적 인식의 원인이 되었다 볼 수 있다. 다음으로는 ‘인터넷, 카메라, 마이크 등의 장비를 구비하는데 어려움이 있다(242명, 27.8%)’는 답변이 뒤를 이었다. 기타 개방형으로 실시간 온라인 교양영어 수업을 선호하지 않는 원인을 묻는 질문에는 ‘원하는 시간에 수업을 들을 수 없음’, ‘동영상 강의와의 차이를 크게 느끼지 못함’, ‘중간에 멈출 수 없어 필기할 시간이 부족함’, ‘ 실시간 수업시간이 늘어나는 경우 다른 수업에 지장을 줌’, ‘대면수업에 비해서는 집중도가 떨어짐’, ‘자신의 얼굴이 녹화되는 것이 꺼려짐’, ‘얼굴이 공개되는 상황에 녹화가 되어 업로드 하는 것을 거부할 권한이 없음’, ‘공개적으로 질문을 받고 답변하지 못할 때 부담스러움’, ‘카메라와 마이크를 켤 수 없는 상황에도 켜야 해서 부담스러움’ 등이 있었다. 적극적 강의참여와 정확한 출석 확인을 위해 교수자 입장에서는 카메라를 켜고 수업에 참여할 것을 요구하게 되고, 코로나 19 상황에서 결석한 학생들의 학습권을 보장하기 위해 실시간 수업이 녹화되어 LMS에 업로드 하게 되는 데, 이러한 경우 본인의 얼굴이 녹화되어 나중에 청취되는 것을 불편하게 생각하는 학생들이 존재한다는 측면을 추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다음으로 온라인 실시간 수업의 성공 요건을 복수 선택하라는 질문의 결과는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임하는 학생들의 태도(387명 44.5%)’, ‘실시간 온라인 수업 내용 및 활동(382명 43.9%)’,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운영에 관한 교수의 숙달도(301명 34.6%)’,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집중할 수 있는 장소(296명 34%)’,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필요한 컴퓨터, 웹캠, 마이크 등의 장비확보(181명 20.8%)’의 순으로 나타났다. 즉 실시간 수업에 임하는 학습자의 태도, 교수자, 수업 내용, 수업 외적 요인이 모두 중요하다고 학습자들이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4.1.2. K대학 2021년 1학기 교양영어 수업에 학습자의 만족도

K대학 2021년 1학기 교양필수 영어 수업 학기말에 학습자의 수업 만족도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였고 리커트 척도형으로 질문한 온라인 수업방식 선호도, 실시간 온라인 수업 만족도, 수업 전반에 걸친 만족도 빈도분석 결과는 <표 5>와 같다.
<표 5>
K대학 2021년 1학기 교양영어 수업에 학습자의 만족도
온라인 수업방식 만족도 실시간 온라인 수업 만족도 수업 전반 만족도
척도 응답자 수 빈도(%) 척도 응답자 수 빈도(%) 척도 응답자 수 빈도(%)
매우긍정적 189 21.7 매우긍정적 196 22.5 매우긍정적 217 24.9
긍정적 382 43.9 긍정적 429 49.3 긍정적 439 50.5
보통 222 25.5 보통 207 23.8 보통 191 22
부정적 62 7.1 부정적 28 3.2 부정적 15 1.7
매우부정적 15 1.7 매우부정적 10 1.1 매우부정적 8 0.9
온라인 수업 방식 만족도를 묻는 질문에 매우 긍정적 또는 긍정적이라 답한 비율은 65.6%, 보통은 25.5% 부정적 혹은 매우 부정적으로 답한 비율은 8.8퍼센트였다. 전반적으로 긍정적 답변이 우세하였다. 다음으로 실시간 온라인 수업 만족도3)를 묻는 질문에는 71%의 학생이 긍정적 혹은 매우 긍정적이라고 답했고 보통은 23.8%, 부정적 혹은 매우 부정적이라 답한 비율은 1.1프로였다. 실시간 온라인 만족도에서 긍정적 반응을 보인 학생의 비율은 실시간 온라인 수업 관련 선호도의 긍정적 답변 42.8%에 비해 크게 높은 수치이다. 기존의 실시간 온라인 수업 관련 선호도가 높지 않았던 학생들도 실제 실시간 수업을 경험 한 후 만족도가 크게 향상될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해 볼 수 있다.
전반적 수업 만족도를 묻는 질문에 긍정적이라 답한 학생은 75%였으며 전체 860명 응답자 중 656명에 달한다. 보통이라 답변한 비율은 22%였으며 부정적이라 답한 학생은 2.6%였다. 철저한 계획을 통해 구성된 온라인 수업의 만족도는 일반적 온라인 수업 만족도에 비해 매우 높은 편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의 온라인 수업 선호도와 실제 수업 만족도의 단순 수치만으로는 향후 어떤 학습자에게 어떤 수업 방식을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인 온라인 수업이 되는지 제안하기에는 분명 한계가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지금부터는 온라인 수업 선호도나 온라인 실시간 수업 선호도가 실제 온라인 수업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또 그 영향이 학습자 개인 특성인 연령, 영어수준, 영어 과목 선호도와 각 분반의 교수자에 따라 영향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해 보려 한다.

4.2. 온라인 수업 선호도와 수업 만족도 사이의 상관 관계 분석

4.2.1. 온라인 수업 선호도와 수업 만족도

온라인 수업 선호도와 실시간 온라인 수업 선호도가 온라인 수업방식과 실시간 온라인 수업의 만족도에 어떠한 상관관계를 주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t검증과 대응표본-t검정을 실시하고.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표 6>과 같다.
<표 6>
온라인 수업 선호도와 영어 수업 만족도 (N=870)
변인 구분 M SD t(p) R2
수업
선호도
온라인 수업방식 선호도 3.90 .87 15.450*** .310***
실시간 온라인 수업 선호도 3.33 .97
교양영어
수업 만족도
온라인 수업 방식 만족도 3.77 .93 -5.919*** .771***
실시간 온라인 수업 만족도 3.89 .83

*p < .05, **p < .01,

*** p < .001

※ 대응표본 t검정에서의 원가설은 “온라인 수업방식 선호도-실시간 수업 선호도”, “온라인 수업 만족도-실시간 온라인 수업 만족도”가 0이다,

<표 6>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수업 선호도의 경우 온라인 수업방식 선호도가 실시간 온라인 수업 방식 선호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 = 15.450, p < .01). 이에 반해 실제 교양영어 수업 만족도에서는 실시간 온라인 수업 만족도가 온라인 수업 전반의 만족도 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 = -5.919, p < .01).
여기서 온라인 수업 선호도, 실시간 온라인 수업 선호도와 영어 수업 만족도의 상대적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는 <표 7>과 같다.
<표 7>
변수간의 상관관계 (N=870)
변수 영어 수업 전체 만족도 영어 온라인 수업 만족도 영어 실시간 온라인 수업 만족도 온라인 수업 선호도 실시간 온라인 수업 선호도 영어 수준 영어 선호도 연령 교수자
영어 수업 전체 만족도 Pearson 상관계수 1
영어 온라인 수업 만족도 Pearson 상관계수 .809** 1
영어 실시간 온라인 수업 만족도 Pearson 상관계수 .878** .771** 1
온라인 수업 선호도 Pearson 상관계수 .296** .245** .267** 1
실시간 온라인 수업 선호도 Pearson 상관계수 .513** .589** .485** .310** 1
영어 수준 Pearson 상관계수 .197** .115** .148** .021 .070* 1
영어 선호도 Pearson 상관계수 .319** .230** .243** .044 .174** .474** 1
연령 Pearson 상관계수 .002 -.004 .017 .023 .003 -.006 -.074* 1
교수자 Pearson 상관계수 -.085* -.039 -.091** .008 -.074* -.050 -.041 .052 1

* p < .05,

** p < .01,

***p < .001

<표 7>과 같이 온라인 수업 방식 선호도와 실시간 온라인 수업 선호도는 영어 수업 만족도와는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즉 온라인 수업 방식과 실시간 수업 선호도가 높을수록 영어 수업 만족도가 높았다. 그 중 온라인 수업 방식 선호도(r = .296, p < .01;, r = .245, p < .01;, r = .267, p < .01)보다 실시간 온라인 수업 선호도(r = .513, p < .01;, r = .589, p < .01;, r = .485, p < .01)가 높을수록 영어 수업 만족도에 더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실시간 온라인 수업 선호도가 높은 학생들의 실제 수업 만족도가 더 높았다는 것으로, 실시간 수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적극적 태도가 실제 온라인 수업 자체의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다.

4.2.2. 온라인 수업 선호도와 조절변수가 영어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온라인 수업방식 선호도, 실시간 온라인 수업 선호도, 영어 수준, 영어 선호도, 교수자, 연령이 영어 수업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가지는지 살펴보기 위해 온라인 수업방식 선호도, 실시간 온라인 수업 선호도, 영어 수준, 영어 선호도, 교수자, 연령을 독립변수로, 온라인 영어 수업 만족도와 실시간 온라인 수업 만족도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표 8>과 같다.
<표 8>
영어 수업 만족도에 대한 온라인 수업방식 선호도, 실시간 온라인 수업 선호도, 영어 수준, 영어 선호도, 교수자, 연령의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변수 b S.E β t(p) R2 △R2
(상수) 2.221 .103  - 21.537*** .284*** .282***
온라인 수업방식 선호도 .123 .025 .151 4.994***
실시간 온라인 수업 선호도 .340 .022 .467 15.433***
(상수) 1.804 .128  - 14.053*** .344*** .06***
온라인 수업방식 선호도 .126 .024 .154 5.323***
실시간 온라인 수업 선호도 .307 .022 .422 14.286***
영어 수준 .057 .028 .064 2.030*
영어 선호도 .218 .033 .207 6.519***
교수자 -.016 .010 -.044 -1.587
연령 .016 .031 .015 .525

* p < .05,

**p < .01,

*** p < .001

<표 8>에서 볼 수 있듯이 온라인 수업방식 선호도와 실시간 온라인 수업 선호도는 영어 수업 만족도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154, p < .001; β=.422, p < .001). 또한 영어 수준, 영어 선호도도 영어 수업 만족도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064, p < .05; β==.207, p < .001). 그러나 교수자와 연령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β=-.044, p > .05; β=.015, p > .05). 특히, 어떠한 변수가 가장 큰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면 실시간 온라인 수업 선호도, 영어 선호도, 온라인 수업 선호도, 영어 수준 순으로 영어 수업 만족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온라인 수업 선호도, 실시간 온라인 수업 선호도, 영어 수준, 영어 선호도, 교수자, 연령이라는 변인은 영어 수업 만족도의 전체 분산 중에 34.4%를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2=.344, p < .001). 영어 수업 만족도의 전체 분산 중 온라인 수업 만족도, 실시간 온라인 수업 선호도의 영향을 통제한 상태에서 영어 수준, 영어 선호도가 추가적으로 순수하게 설명할 수 있는 분산의 비율은 6%로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R2=.06, p < .001).

5. 결론 및 제언

누구도 예상하지 못한 코로나 19 팬더믹의 발발로 불가피하게 대부분의 대학에서 전면 비대면 수업을 선택해야 했던 2020년 1학기를 2년여 지나 2022년이 된 지금의 시점에서 돌아보면 대학은 나름대로 대응력을 높여가며 본연의 교육 목표를 달성하려 애써왔다. 팬데믹 발발 초기에는 대면수업이 불가능하다는 위기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대안으로 온라인 수업이 갑작스럽게 실시되어 수업의 질을 보장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었다. 그러나 시간이 흘러 위기 대응력과 적응력이 높아졌으며 학생들에게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고자 하는 대학 구성원들의 노력이 더해져 보다 높은 수준의 온라인 수업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2021년 충청권에 위치한 K대학 교양 영어 수업은 철저한 사전 계획을 거쳐 실시간, 비실시간 혼합형 온라인 수업으로 진행되었다. 이 수업을 수강한 학생들의 온라인 수업에 관한 선호도를 알아보고 이 인식과 실제 교양영어 수업 만족도 사이의 상관관계를 연구해 보고자 학기말에 설문을 진행하였고 그 응답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의 온라인 수업방식 선호도는 긍정적 의견이 69.5%였고 보통이 25.5%, 부정적 의견은 5.4%였다. 실시간 온라인 수업 선호도의 경우 긍정적 의견이 42.8%였으며 보통이라고 대답한 비율이 40.3% 부정적 혹은 매우 부정적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16.7%였다. 그러나 100% 비실시간 동영상 시청방식의 수업, 100% 실시간 온라인 수업, 실시간, 비실시간 혼합형 온라인 수업의 세 가지 형태 중 어느 유형의 온라인 수업을 선호하는가에 관한 질문의 경우 100% 비실시간 동영상업로드 방식을 선택한 비율이 63.8%로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로 미루어 보아 비실시간 온라인 수업을 선호한다고 밝힌 학생들 중에도 실시간 온라인 수업 자체에 긍정적 의견 혹은 보통이라고 밝힌 학생들이 상당히 존재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설문을 의사결정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여러 요소들을 다각적으로 묻고 이를 모두 고려하여 판단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둘째 교양영어 수업 만족도와 관련한 첫 번째 질문인 실시간⋅비실시간 혼합형 온라인 수업 방식 만족도를 묻는 질문에 매우 긍정적 또는 긍정적이라 답한 비율은 65.6%, 보통은 25.5% 부정적 혹은 매우 부정적으로 답한 비율은 8.8퍼센트였다. 수업의 형태의 일부분이었던 실시간 온라인 수업 만족도를 묻는 질문에는 71%의 학생이 긍정적 혹은 매우 긍정적이라고 답했고 보통은 23.8%, 부정적 혹은 매우 부정적이라 답한 비율은 1.1프로였다. 전반적 수업 만족도를 묻는 질문에 긍정적이라 답한 학생은 75%였으며 보통이라 답변한 비율은 22%, 부정적이라 답한 학생은 2.6%였다. 철저한 계획을 통해 구성된 온라인 실시간 비실시간 혼합형 온라인 강의에 관한 전반적 만족도가 매우 높은 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존의 온라인 수업 관련 선호도가 높지 않았던 학생들도 실제 실시간 수업을 경험 한 후 만족도가 크게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온라인 수업과 실시간 온라인 수업의 선호도가 온라인 수업과 실시간 온라인 수업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t검증과 대응표본-t검정을 실시하고 Pearson 상관분석을 한 결과, 수업 선호도의 경우 온라인 수업방식 선호도가 실시간 온라인 수업 선호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실제 교양영어 수업 만족도에서는 실시간 온라인 수업 만족도가 온라인 수업 만족도 보다 더 높았다. 온라인 수업 선호도와 영어 수업 만족도의 상대적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온라인 수업 방식 선호도와 실시간 온라인 수업 선호도는 영어 수업 만족도와는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그중 온라인 수업 방식 선호도보다 실시간 온라인 수업 선호도가 영어 수업 만족도에 더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실시간 온라인 수업 선호도가 높을수록 실제 온라인 수업 자체의 만족도가 높았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온라인 수업 선호도, 실시간 온라인 수업 선호도, 영어 수준, 영어 선호도, 교수자, 연령이 영어 수업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가지는지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온라인 수업방식 선호도와 실시간 온라인 수업 선호도는 영어 수업 만족도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어 수준, 영어 선호도도 영어 수업 만족도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수자와 연령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특히, 어떠한 변수가 가장 큰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면 실시간 온라인 수업 선호도, 영어 선호도, 온라인 수업 방식 선호도, 영어 수준 순으로 영어 수업 만족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한 학기동안 동일한 교양필수 영어 과목을 수강한 870명의 실시간 비실시간 혼합형 온라인 수업에 만족도는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잘 설계된 온라인 수업은 위기상황에서 임시방편으로 이행되는 비상 원거리 수업과는 달리 학습자에게 높은 만족도를 줄 수 있는 효과적 수업 방식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실제 온라인 수업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요인은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대한 선호도였다. 이는 실시간 온라인 수업을 하면 자신이 정해진 시간에 온라인 수업을 해야 한다는 단점에도 수업 자체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자 하는 적극적 수업 태도를 가진 학생들이라 볼 수 있으므로 수업에 관한 적극적 태도가 실제 수업에서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원래 영어 과목의 선호도가 높고 열심히 수강하고자 하는 점이 수업 만족도에 영향을 준 것도 당연한 결과로 보인다.
이번 연구에서도 드러났듯이 실제 실시간으로만 진행되는 온라인 수업에 관한 학생들의 선호도는 매우 낮은 편이다. 그러나 자기 속도에 맞게 수강이 가능한 비실시간 동영상 학습을 이론과 개념학습에 활용하고 이를 적용하는 다양한 활동을 위해 실시간 온라인 학습이 병행되는 방식은 학생들이 매우 만족감을 느끼는 효과적 수업 방법이 될 수 있다. 학습자들이 더 이상 실시간 온라인 수업을 번거롭고 부담스러운 것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교수자와 원활히 상호작용 하면서 실제감 있는 수업을 할 수 있는 좋은 방식이라는 것을 긍정적 인식을 갖게 된다면 이는 실제 실시간 비실시간 병행 방식 온라인 수업의 성공으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잘 설계된 실시간 비실시간 병행 방식 온라인 수업을 수강한 후 학생들이 긍정적 경험을 통해 향후 실시간 수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갖게 된다면, 이것이 실시간 온라인 학습이 병행되는 다른 과목에 대해서도 긍정적 영향을 끼치는 선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870명이라는 비교적 많은 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연구라는 점에서 실시간 비실시간 혼합형 온라인 수업에 관한 의미 있는 연구결과가 될 것이라 자평하지만 그럼에도 한 대학 학부생에 제한된 연구였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음을 부정할 수 없다. 모든 대학의 온라인 수업 상황은 각기 다를 수 있으므로 본 연구 결과를 일반화 하는 데는 제약이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예기치 않은 전면 온라인 수업 시행으로 쌓인 노하우를 활용하여 온라인 수업을 효과적으로 대학 수업방식에 활용하는 활발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지금 대학 현장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이루어지는 대면수업과 온라인 수업의 블랜디드 러닝방식의 수업방식이나 실시간 비실시간 혼합형 온라인 수업 등을 적용한 연구가 앞으로도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Notes

1) Pearson은 MyEnglishLab이라는 온라인 프로그램을 제공하는데 이는 대면 수업 상황에 온라인 수업과 결합된 혼합수업(blended learning)용으로 개발된 프로그램이다. 본 수업의 수강생들을 공통적으로 교수자가 선정한 MyEnglishLab 과제를 분량을 수행하고 이를 성적에 반영하였다.

2) 온라인 수업 선호도에서 매우부정적, 부정적, 보통, 긍정적, 매우 긍정적을 선택한 비율은 각각 0.6/ 4.4/23.5/39.9/24.9 퍼센트였으나 실시간 온라인 수업 선호도의 경우 3.9/ 11.8/ 37.6/ 29.6/ 10.4퍼센트로 특히 부정적, 보통, 긍정적 항목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3) 여기에서 말하는 실시간 온라인 수업 만족도는 혼합형 수업 내에서 이루어진 온라인 수업에 관한 만족도임을 학생들에게 충분히 주지시키는 과정을 거쳤다.

4) 7번과 8번문항이 온라인 수업 선호도 연구에 활용됨

5) 5번 6번 7번 문항이 본 온라인 수업 만족도 연구를 위해 활용됨.

참고문헌

강현숙(2021). “영어능력 수준에 따른 대학교양영어 비대면비실 시간수업에 대한 인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9), 195-209.

김석훈(2021). “대학 교양필수 영어읽기와 영어쓰기 교과목 온라인 화상수업에 대한 학습자 인식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3), 217-231.

도재우(2020). “면대면 수업의 온라인 수업 전환과정에서 발생하는 설계 장애물에 대한 탐색”, 교육문화연구 26(2), 153-173.

박현진(2021). “동영상 및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대한 학부생의 인식-국어국문학 전공생의 학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우리어문연구 69, 385-417.

이동주, 김미숙(2020). “코로나19 상황에서의 대학 온라인 원격교육 실태와 개선 방안”, 멀티미디어 언어교육 23(3), 359-377.

이유화, 권진영, 김민경(2021). “A Case Study on Effects and EFL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Mirroring Blending Class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5), 55-68.

Ally, M(2004). “Foundations of educational theory for online learning”, Edited by Terry Anderson, Edmonton , Theory and Practice of Online Learning, 2nd ed. Alberta: Athabasca University Press, 15-44.

Fowler, R. C(2019). “The effects of synchronous online course orientation on student attrition”,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Hodges, C. B, Moore, S, Lockee, B. B, Trust, T, Bond, M. A. (2020 “The difference between emergency remote teaching and online learning”, https://er.educause.edu/articles/2020/3/the-difference-between-emergency-remote-teaching-and-online-learning

Martin, F, Polly, D, Ritzhaupt, A. (2020 “Bichronous online learning:Blending asynchronous and synchronous online learning”, Educause review, Retrieved from: https://er.educause.edu/articles/2020/9/bichronous-online-learning-blending-asynchronous-and-synchronous-online-learning

Means, B, Toyama, Y, Murphy, R, Bakia, M, Jones, K(2009). “Evaluation of evidence-based practices in online learning:A meta-analysis and review of online learning studies” 3-6.

Means, B, Bakia, M, Murphy, R(2014). Learning online:What research tells us about whether, when and how, Routledge.

Nam, S. Z(2020). “Comparative analysis of online real-time lecture and on-demand contents lecture under the COVID-19 situation in Korea”, J. Adv. Inf. Technol. Converg 10(2), 177-197.
crossref
Nworie, J. (2021 May 19“Beyond COVID-19:What's next for online teaching an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Educause Review, Retrieved from: https://er.educause.edu/articles/2021/5/beyond-covid-19-whats-next-for-online-teaching-and-learning-in-higher-education

O'Byrne, W. I, Pytash, K. E(2015). “Hybrid and blended learning:Modifying pedagogy across path, pace, time, and place”, Journal of Adolescent &Adult Literacy 59(2), 137-140.
crossref
Stanger, A. (2020 “Make All Courses Pass/Fail Now”, Chronicle of Higher Education, 66(26), https://www.chronicle.com/issue/2020/03-29

Appendices

<부록> 2021 - 교양필수교과목 (영어) 설문조사
1. 학습자 특성 및 온라인 수업 선호도 조사4)
1. 본인이 수강하고 있는 영어1 과목 분반번호를 쓰시오.
2. 본인이 속한 단과대학을 선택하시오.
간호대학
군사경찰대학
글로벌경영대학
의과학대학
의료공과대학
재활복지대학
창의융합대학12.
3. 본인의 연령대를 선택하시오.
21세 이하
22-23세
24-25세
26세 이상
4. 본인이 생각하는 자신의 영어 수준을 선택하시오.
고급(advanced)
중급(intermediate)
초중급(pre-intermediate)
초급(novice)
5. 본인의 영어 선호도를 선택하시오.
좋아함
보통
좋아하지 않음
6. 하루 중 IT 매체 (핸드폰, PC, 인터넷, 등)에 사용하는 시간은 어느 정도인가?
거의 이용하지 않음
1시간~3시간
3시간~5시간
5시간~10시간
10시간 이상
깨어있는 시간 대부분 (15시간 이상)
7. 교양영어 온라인(비대면) 수업에 대한 본인의 생각을 선택하시오.
매우 긍정적
긍정적
보통
부정적
매우부정적
8. 교양영어 실시간 온라인 수업(zoom등 활용)에 대한 본인의 생각을 선택하시오.
매우 긍정적
긍정적
보통
부정적
매우부정적
9. 실시간 온라인 수업의 장점은? (복수선택 가능)
LMS 영상강의보다 집중해서 수업에 참여할 수 있다.
LMS 영상강의보다 수업이더 재미있다.
비대면 수업임에도 교수자와의 친밀도가 높아질 수…
교수자와 좀 더 원활하게 소통할 수 있다.
좀 더 능동적으로 수업에 참여할 수 있다.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
기타: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0. 실시간 온라인 수업의 단점은? (복수선택 가능)
LMS 영상강의보다 수업이 재미없다.
장소의 제약으로 인해 수업에 참여하기 불편하다.
인터넷, 카메라, 마이크등 장비 구비에 어려움이 있다.
기술적 문제(인터넷 연결 약함, 새로운 온라인 플랫폼과 도구 사용의 어려움 소음…)
기타: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1. 실시간 온라인 수업의 성공 요건을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복수선택 가능)
실시간 온라인수업에 집중할 수 있는 장소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필요한 컴퓨터 카메라 마이크…
실시간 온라인수업 플랫폼에 대한 교수의 숙달도
실시간 온라인 수업 내용 및 활동
실시간 온라인수업에 임하는 학생들의 태도
기타: _________________________
12. 교양영어 온라인(비대면) 수업 방식중 본인이 선호하는 유형은?
100% LMS 수업영상 업로드 방식
LMS 수업영상 업로드와 실시간온라인수업(zoom 또는 teams, Youtube 등) 병행
100% 실시간 온라인수업
2. 영어1 과목 만족도 조사5)
1. 이 수업은 영어 읽기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
매우 그렇다
그렇다
보통이다
그렇지 않다
전혀 그렇지 않다
2. 이 수업의 교재는 전반적으로 내 수준에 적절했다.
매우 그렇다
그렇다
보통이다
그렇지 않다
전혀 그렇지 않다
3. 이 수업에서 활용한 온라인 과제(myenglish lab)은 수업 이해에 도움이 되었다.
매우 그렇다
그렇다
보통이다
그렇지 않다
전혀 그렇지 않다
4. 본 수업의 평가방식은 적절했다.
매우 그렇다
그렇다
보통이다
그렇지 않다
전혀 그렇지 않다
5. 본 수업의 실시간, 비실시간 병행 온라인 수업 방식에 만족한다.
매우 그렇다
그렇다
보통이다
그렇지 않다
전혀 그렇지 않다
6. 본 수업의 실시간 온라인 수업 내용 및 활동에 만족한다.
매우 그렇다
그렇다
보통이다
그렇지 않다
전혀 그렇지 않다
7. 나는 이 수업에 전반적으로 만족한다.
매우 그렇다
그렇다
보통이다
그렇지 않다
전혀 그렇지 않다
8. 이 수업에서 가장 좋았던 점을 서술하시오.
9. 이 수업에서 가장 어려웠던 점을 서술하시오.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203-827. Chung-Ang University
84, Heukseok-ro, Dongjak-gu, Seoul, Republic of Korea, 06974
Tel: +82-2-820-5949    E-mail: hangang331@cau.ac.kr                

Copyright © 2022 by The Korean Association of General Education.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