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인한 대학신입생의 비대면 수업 경험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Non-face-to-face Teaching Experience of College Freshmen due to Covid-19

Article information

Korean J General Edu. 2021;15(1):273-286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1 February 28
doi : https://doi.org/10.46392/kjge.2021.15.1.273
최현실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신입생학사지도부 조교수, hschoi@dongguk.ac.kr
Assistant Professor, Dongguk University-Gyeongju Freshman Bachelor’s Degree
Received 2021 January 20; Revised 2021 January 30; Accepted 2021 February 17.

Abstract

초록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대학수업의 비대면이라는 급격한 수업방식의 전환이라는 상황에서 대학신입생의 경험을 근거이론을 통해 개념화하고 구조화하여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는 교육방향의 지향점을 제언하고 있다.

대학신입생의 비대면 학업경험은 온라인 학습참여의 쉬운 접근성, 복습용이, 온라인 매체를 통한 소통편리, 절대평가의 장점이 있으나, 인터넷 장비부담 및 웹 장애 문제 그리고 과제부담의 가중으로 귀결되며 이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교수와 학생의 개별적 특성에 따라 학습효과가 달리 나타날 수다.

특히, 대학생활을 처음 경험하는 신입생들은 대학생활에 대한 정보부족과 비대면 대학생활의 지속 그리고 사회적 거리두기에 따른 외출자제로 인해 집안에서 활동하는 시간이 지속되자 시간관리를 효율적으로 하는데 어려움을 느끼면서 자존감 저하, 무력감, 우울감 등을 겪고 있다.

이에 따른 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 및 학습효과가 떨어질 때 적절히 관여하여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수자의 상담기능을 대학차원에서 강화할 필요가 있다. 즉, 비대면 수업이라는 한계가 있지만 실시간 채팅, 카카오톡, 웹엑스 미팅 등의 온라인 컨텐츠를 적극 활용하여 교수와 학생 간의 라포를 형성하고 심리적 거리감을 좁힐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가능하면 학생들의 의견을 주기적⋅통합적으로 수렴할 수 있는 정기적 채널을 개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비대면 실시간 수업을 진행하는 교수의 경우 강의 시에 이해력을 높일 수 있는 구체적이고 자세한 강의 자료를 제공하는 온라인의 특성에 맞는 자료 개발과 동시에 온라인 수업설계와 운영과 관련된 장애물들을 사전에 파악하고 대비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동시에 대학의 실시간 온라인 컨텐츠의 안정적인 인프라 구축 및 컨텐츠 활용을 위한 행정지원 등이 필요하다.

Trans Abstract

Abstract

This study proposes the direction of education in the hopes of increasing the effects of learning. It does so by conceptualizing and structuring the experiences of college freshmen through grounded theory in the context of a rapid change in the teaching method of non-face-to-face college classes due to COVID-19.

The non-face-to-face academic experience of college freshmen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easy access to online learning participation, ease of review, convenience of communication through online media, and absolute evaluation. At the same time, this approach results in an increased burden felt among both teachers and students of having to provide and use internet equipment, the burden of overcoming certain obstacles inherent to the internet, and the burden of having to deal with extra assignments. Of course, the effects of this sort of approach to learning may differ depending o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professors and students invovled, but certain commonalities may be observed.

For instance, when new students have difficulty in effectively managing their time as they continue to be confined at home due to social distancing, and when the learning effect decreases due to reduced self-esteem, helplessness, and depression, these students are understandably in need of assistance. Thus, it is necessary for educators to strengthen the counseling function that can take place at the university level.

In addition, although there are certain limitations involved in non-face-to-face classes, online content such as real-time chats, Kakao Talk, and WebEx meetings should be actively used to form a better rapport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and to try to narrow the psychological distancing being experienced. If possible, it is desirable to establish a channel through which opinions of the students can be periodically integrated.

In the case of professors who conduct non-face-to-face real-time classes, they should develop material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classes that provide detailed lecture materials which enhance understanding during lectures. At the same time, instructors should identify and prepare for obstacles related to online classes involving design and execution. In a word, a great deal of more effort is required in this area. Finall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table infrastructure for the real-time online content of universities, and to establish administrative support for the utilization of this content.

1. 서론

현재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후 코로나-19)의 팬데믹을 경험하고 있다. 2019년 12월 중국 후베이성 우한시에서 SARS-CoV-2의 감염증인 코로나-19가 처음 확인된 이해 우리나라는 2020년 1월 8일 이후부터 2020년 10월 현재까지 감염 확산이 멈추지 않고 있다.

대학교육에서 비대면 수업은 사이버대학을 비롯하여 미네르바 스쿨, 에꼴42 등에서 온라인 기반으로 수업이 진행되고는 있었지만 대부분의 온라인 학습은 오프라인 학습과 병행하는 형태였다.

그러나 코로나-19의 팬데믹은 2020년 전 학기동안 국내외 대부분의 대학에서 비대면 강의(실시간 수업, 동영상수업)를 전면적으로 실시하게 하였다.

이러한 대학교육의 수업방식의 변화는 대학생들의 학업활동과 대학생활에 상당히 많은 변화를 동반하고 있다. 특히 2020년에 대학에 진학한 신입생들은 대학생활의 경험이 전무한 상태에서 비대면 수업을 전 학기동안 경험하기에 이들이 느끼고 있는 학업과 대학생활 그리고 대인관계를 포함한 자기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왜냐하면 대학생들과 마찬가지로 전면 비대면 학습 상황에 익숙하지 못한 대다수의 교수자는 학습자의 학습과정과 인식 및 태도변화에 조응하여 학생의 수준에 적합한 상호작용과 보다 나은 학습 환경을 이끌어가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기존 학습관리시스템이 학습 콘텐츠 제공과 함께 형성평가, 학점이수 등 학습의 인증을 검토하기 위한 종합평가만 시행하였으나, 많은 학생이 비대면으로 학습을 하고, 평가를 받아야 하는 상황에서는 온라인 퀴즈 및 과제, 토론 등 다양한 패턴을 통해 대학생들의 면학형성을 위한 수업방식과 평가방식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대학수업의 비대면이라는 급격한 수업방식의 전환이라는 상황에서 대학신입생의 경험현상의 본질을 이해하고 개념화하기 위해 특정현상의 실체를 이론화 할 수 있는 근거이론을 채택하였다(최종혁, 2011: 17). 실체이론이라는 장점을 지닌 근거이론은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수업의 전면적 실시라는 현상에서 대학신입생 경험행동의 상호작용의 본질을 파악하고 개념화하는 데 용이하다. 즉 근거이론은 현장이론이라는 구체이론으로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화된 현상을 현실적으로 충분히 정확히 서술해 내는 장점이 있다(최종혁, 2011: 28).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대면 수업에서 대학신입생들의 학업몰입과 대학생활 적응 그리고 자기인식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구조화하며 교육방향의 지향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2.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수업에 대한 문헌고찰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수업상황은 교수자-학습자 모두에게 현상을 파악하고 보다 나은 수업환경을 도모해야하는 과제를 제시하였다. 이에 다양한 연구가 현재까지 진행되었고 크게 네 가지 경향으로 나타났다.

첫 번째 경향은 코로나-19로 촉진된 대학의 온라인 교육에 대한 전반적 고찰이다(박중열, 2020: 32-36). 온라인 교육에 대한 기본적 연구토대를 기초로 2020년 온라인 교육 전반의 현황에 대한 분석이나, ‘코로나’, ‘교육’, ‘온라인 또는 E-러닝’을 포함하는 602건 이상의 국내 언론보도가 2020년 상반기 기사에 이슈로 등장하며 온라인교육의 특성 및 과제를 분석하고 있다(김상미, 2020: 1091-1100).

두 번째 경향은 비대면 수업의 효과성에 대한 분석이다. 비대면 강의환경에서 온라인 학습패턴과 학습효과의 상관관계 연구로 학생들의 안정적으로 오프라인과 유사한 학습이 될 수 있도록 교수와 학습자가 면대면 수업과 유사함을 느낄 수 있는 사용자 친화적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함을 강조한다(이영석, 2020: 557-562). 그리고 대학의 비대면 전공수업에서 교수-학습자 상호작용,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이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고 있다(김진모, 손규태, 이은표, 정지용, 장한별, 2020: 98).

세 번째 경향은 비대면 수업의 실시로 인한 실험 및 실습과목의 미실시에 따른 경험에 대한 분석이다. 실습이 중요한 작업치료사의 실습 중단과정에 발생하는 문제와 그에 대한 인식을 현상학적 방법을 통해 연구하거나(정남해, 2020: 473-479), 음악학과 등 면대면 실습을 온라인으로 대체하는 교과목에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한 연구들이다(이희승, 2020: 177-197).

네 번째 경향은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를 통한 대학생들의 우울과 주관적 안녕에 대한 사례 및 문제해결을 위한 연구시도들로 라이프 스타일 변화 경험을 현상학적으로 분석한 연구이다(정원우, 류석진, 2020: 147). 이 연구는 코로나로 인한 변화상황에서 대학생의 심리적 변화 경험, 환경적 변화 경험, 행동적 변화 경험을 다루고 있거나(강진호, 박아름, 한승태, 2020: 289-297), 원격교육에서 외로움과 유투브 과다사용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다루는 연구가 있다(이종만, 2020: 342-351).

이들 최근의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한 대학생의 비대면 수업의 특성 및 효과성, 그리고 문제점들을 밝히고 있다. 그러나 이들 연구에서는 대학생활을 전혀 경험하지 못했던 신입생의 대학생활 경험과 비대면 수업의 경험을 동시에 연결하여 이들의 경험을 명확한 틀로 현상을 구체적으로 연구하여 교육방향을 제시하고 있지는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대학신입생의 비대면 수업을 경험하는 일반적 학업몰입과 대학생활 경험 및 자기인식을 총괄적으로 연결하여 이해하고자 한다. 이러한 대학신입생의 비대면 수업 경험의 이해는 학습상황의 전면적 변화와 이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경험 및 인식의 전환을 교수자가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뿐 아니라 상호연계에 대한 방안 및 효율적 지도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여한다고 고려된다.

3.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3.1 연구참여자의 선정 및 자료수집

3.1.1 연구참여자의 선정

연구 참여자는 D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신입생 500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수업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경험의 1차적 면담을 전화 및 온라인 상담을 통해 진행하였다. 1차면담은 2020년 1학기 자기계발과 미래설계1 8개 분반 262명과 2학기 자기계발과 미래설계2 10개 분반 238명에서 수업의 일환으로 수강자 전원과 정규적인 학사지도 면담으로 학생들의 관심사에 따라, 학사제도, 학교생활, 대학공부, 자기계발 및 진로, 정서의 6가지 분야에 이루어졌다1).

2차면담은 1차면담에서 수집한 자료들을 바탕으로 2차 면담대상자에게 면담의 내용을 설명하며 연구참여 및 연구활용에 대한 동의를 얻은 43(남 22, 여21)명의 연구대상자에게 2-3차면담을 실시하였다. 2차 면담자의 대상자 선정은 6개 분야에서 대학생활 적응지원이 필요한 학생 및 적극적인 대학생활을 하고자 하는 학생을 함께 포함하여 총괄적으로 비대면 수업의 학업경험과 대학생활에 적응, 그리고 사회적 거리두기에 따른 자아인식 등에 대해 구체적인 사항을 추가로 질문하는 형식을 취했다.

마지막으로, 1차와 2-3차면담에서 면접 대상자가 답변한 내용들을 연구자가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는지에 대한 점검을 진행하였다.

3.1.2 자료수집

본 연구 자료 수집은 2020년 3월 2일부터 10월 8일까지 1-2학기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본 연구의 연구도구로는 인터뷰가 활용되었다. 첫 번째 수집 자료는 비대면 상황에서 2020학년도 1-2학기 온라인 설문 및 면담에서 작성한 평가(성찰) 내용을 분석하였다.

사전단계인 설문 조사에서는 기본적인 정보와 인터뷰를 위한 동의가 이뤄졌고 이를 토대로 한 인터뷰에서는 비대면 수업의 참여 경험에 대한 자료들이 수집되었다.

두 번째 수집자료는 2~3회 이루어진 개별 인터뷰로 코로나-19 확산 예방을 위해 webex를 활용하여 연구자와 참여자 간 일대일로 진행하였다. 인터뷰는 최대 1시간 이내로 당사자들이 희망하는 일정과 시간대 위주로 시행되었다. 또한 연구의 엄격성을 유지하기 위해 webex로 면담과정이 녹화된 것을 연구과정에만 활용하고 폐기한다는 점에 동의를 얻었다.

3.2 분석방법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비대면 수업의 경험에서 나타나는 개념(범주)을 체계적으로 관련지어서 관계적 속성의 틀을 구성하는 근거이론의 분석방법을 채택하였다(최종혁, 2011: 21). 근거이론은 수집된 자료를 근거로 인간행위의 상호작용의 본질을 파악하고 개념화하는 것에 중점을 두며, 상징적 상호작용론을 철학적 배경으로 한다(Chenitz, W. Carol and Janice M. Swanson. 1986: Glaser, Barney G. 1978).

근거이론은 대학신입생들이 비대면 수업에서 학업몰입과 대학생활의 상호작용을 어떻게 경험하고 느끼며 행동이 구조화되는지를 밝히는데 유용한 연구방법이다.

자료 분석은 스트라우스와 코빈(Strauss & Corbin 1998)의 분석방법에 따라 개방코딩(open coding), 축코딩(axial coding), 선택코딩(selective coding)의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다만, 범주를 추출하는 단계에서 새로운 속성을 찾기 쉬운 자료로 전략적으로 비교하기 위해 사이키 그레이그 힐 시게코의 자료에서 나온 상황과 연구자가 생각한 가공의 상황을 비교하여 속성을 찾는 방법을 응용하였다(최종혁, 2011: 56-62).

분석 단계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개방코딩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고 재조합하여 개념화하고자 한다. 개방코딩 과정은 자료로부터 이론이 정립되는 핵심과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면담 자료를 절편화 및 문맥 분리작업, 속성의 비교분석 등을 통해 자료를 다각적으로 음미하며 코딩작업을 하였다. 즉, 면담 자료들을 분해하면서 유사점과 차이점 그리고 속성을 면밀히 비교 검토하는 줄 단위 분석과정을 통해 개념을 도출하였다.

두 번째, 관련있는 비슷한 개념끼리 통합하는 범주화 작업으로 축코딩을 하였다. 축코딩은 개방코딩에서 도출한 범주들을 더 높은 범위의 명칭으로 그룹화 하는 단계로 각 그룹은 특징에 따라 나누어 그룹끼리 비교하여 범주를 형성하였다. 축코딩에선 분석을 구체화하기 위해 범주를 통해 현상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의미를 제공하며, 지식을 일반화한다. 이 과정에서 중심현상을 중심으로 인과적 조건, 맥락적 조건, 중재적 조건, 작용/상호작용 조건, 결과의 관계로 구조를 만들었다.

세 번째 단계는 축코딩에서 도출된 하위범주들을 토대로 비슷한 성향과 하위 범주를 하나의 범주로 묶고 범주를 더 큰 그룹으로 묶는 선택코딩 작업을 실시하였다. 이 단계에서 본 연구현상의 핵심범주(core category)를 추출하였고, 연구 참여자들의 비대면 수업 경험의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상황모형을 도출하였다.

분석과정에서 주의한 점은, 현상과 관련이 없는 표현을 제거하고 구조적 가설을 확인하기 위해 면접대상자에게 확인하는 과정을 거쳤다. 다음은 연구 질문이다.

  • 연구문제1: 대학신입생의 비대면 수업 경험의 인과적, 맥락적, 중재적 조건은 무엇인가?

  • 연구문제2: 대학신입생의 비대면 수업 경험의 작용/상호작용 전략과 결과는 무엇인가?

  • 연구문제3: 대학신입생의 비대면 수업 경험의 중심현상은 무엇인가?

  • 연구문제4: 대학신입생의 비대면 수업 경험의 핵심범주화를 통해 나타난 상황모형은 어떻게 도출할 수 있는가?

코로나-19이전에는 대학생활을 경험하지 않은 상태에서 예측 못했던 대학수업 방식인 동영상 및 온라인 강의에 대한 신입생들의 경험에 대한 질문에서부터 대학생활과 자기인식 등이 대학학습활동에 미친 영향과 개선가능성 등을 살펴보고자 2차 면담과정에서 <표 1>과 같이 질문하였다.

비대면 수업 경험에 대한 2차면담 주요 질문내용

4. 연구결과

4.1 연구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표 2>)

비대면 수업을 경험한 대학신입생 41명의 문의 및 의견의 일반적 특성

4.2 개방코딩

개방코딩(open coding)은 인터뷰 자료를 각 문장별로 분석하여 하위범주와 범주를 구분해 내는 작업이다. 이때 하위범주와 범주를 구성하는 개념들을 형성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교수와 학생의 속성을 기초로 하는 사이키 그레이그 힐 시게코의 속성에서 교수자로서의 특성을 기본적 바탕으로 해서 학생들의 질문 및 의견을 개념화 하였다(최종혁, 2011: 56-59). 사이키 그레이그 힐 시게코의 속성분석을 위해 비대면 수업을 경험하고 있는 동료 교수 3인의 의견을 중심으로 교수자의 경험, 입장, 지식, 역할, 역할의 내용이라는 5가지 속성을 도출하였다.

개방코딩은 중심현상을 발생시키는 선행적 원인으로 해석되는 조건이다. 맥락적 조건은 인과적 조건과 중심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특수한 조건들의 집합 혹은 양상이다. 그리고 핵심 연구결과로 중심현상을 서술하였다. 특히, 중재적 조건은 사이키 그레이그 힐 시게코의 교수자와 학생간의 속성과 차원분석인 <표 3>을 활용하여 현상의 맥락 안에서 작용/상호작용을 촉진하거나 방해하는 작용을 하는 조건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중심현상을 통해 획득된 범주들에 대한 연구 참여자들의 전략과 습관적 행위 등 후속 조치인 작용/상호작용 전략, 그리고 앞의 단계들에 의해 의도적, 비의도적으로 형성된 광범위한 결과라는 패러다임에 따라 <표 4>를 구성하였다(최현실, 2018: 81-84).

비대면 수업을 경험에서의 교수와 학생의 차이

비대면 수업을 경험한 대학신입생의 범주-하위범주-개념

첫째, 대학신입생들은 코로나-19로 인하여 대학생활의 경험을 할 수 없는 상태로 비대면 수업을 시작하는 환경적 변화를 겪었다. 그리고 1학기에는 대면수업을 기대하면서 비대면의 수업의 연장을 경험하였기에 초기 대학생활에 혼란을 겪었다.

대학생활 1학년의 생활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코로나가 박탈했습니다.<여12>

현재 코로나-19 사태로 인해서 서울에서 한 번도 학교로 내려가 본 적이 없습니다. 전체적인 기숙사 환경이 어떠한지 알고 싶습니다.<남10>

코로나로 인해 학교를 못 가, 친구가 없는 상태에서 내년에 군대를 다녀온 후에도 친구를 만들기 힘들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남10>

새로운 만남이나 환경에서 먼저 다가가지 못하는 성격인데 특히 비대면으로 인해서 교수님이나 동기들과 친해지는 방법이 더 어렵습니다.<여10>

1학기 동안 학교에서 몇 주 간격으로 비대면 수업을 연장했기에 언제 대면수업으로 전환할지 몰라 자취방을 유지하였습니다. 집에도 못 올라가고 학교에 불만이 많았습니다.<남8>

둘째, 비대면 수업에 대해 학생들은 온라인 매체를 활용, 장비 마련 및 사용 그리고 웹 장애 등에 대체로 어려움을 느꼈다. 다만 수업 접근성에 대해서는 비대면 수업의 장점을 강조하였다.

비대면 수업 참여를 위해 인터넷 장비를 마련하는 부담이 있었습니다.<여5>

한 번씩 온라인 접속이 용이하지 않아 불편합니다.<여2>

실시간 수업의 경우 웹에서 조금 끊길 때가 있습니다.<여3>

다른 강의 실시간 수업에서 소리가 울리고 안 들려서 동영상 강의가 좋았습니다. 그리고 실시간 수업의 경우 웹에서 조금 끊길 때가 있습니다.<여2>

비대면 수업은 괜찮은 점도 있고 불편한 점도 있어요. 집에서 편하게 들을 수 있어서 괜찮습니다.<남6>

비대면 수업은 어느 장소에서든 수업을 들을 수 있어 편합니다.<남7>

셋째, 비대면 수업의 학습방식 및 과제부담에 대한 의견이 많았다. 특히 신입생들은 대학생활의 경험이 없는 상태에서 학업활동과 대학정보를 찾는데 어려움을 혼란을 겪고 있다. 특히 신입생들은 대학교에서는 어떻게 해야 더 효율적인 학습방법인지에 대해 의문을 지니면서 동기 및 선배와의 관계 속에서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기 보다는 온라인 매체를 통해 학업활동과 대학정보를 찾는 게 대다수이다.

비대면 수업에서 자신에게 가장 효과적인 학습 방법을 어떻게 찾을 수 있을까요?<남1>

과제 제출이 너무 많아져서 버거웠습니다.<남4>

신입생 초기부터 친구들을 사귀지 못해서 수업, 과제, 시험 등에 대해 도움을 주고, 받기가 힘듭니다.<여14>

동기들과 과제에 대해서도 이야기 하고 싶었는데 못해서 과제에 대한 감이 모호했습니다.<남5>

비대면 학기가 진행되고 있는데 장학금을 받는 정확한 기준이 무엇 인가요.<여7>

전과, 편입, 복수전공 등 전공에 대한 적성여부가 온라인 수업 상으로는 정보가 매우 부족합니다. <남13>

인터넷, 에브리타임 등에서 대다수 대학에 대한 정보를 찾습니다. 네이버나, 친구에게 물어보기도 합니다. 아주 모르면 수업시간에 교수님한테 물어봅니다.<여16>

넷째, 참여자들은 사회적 거리두기 및 외출제한에 따라 대학생활을 경험하지 못하고 주로 집에서 활동하는 것에 대해 아쉬움과 우울함을 느끼고 있었다. 이는 베이커와 쉬릭(Baker & Siryk, 1984: 179-189)의 이론에서 주장하듯이 외로움이 대학생활 적응에 부정적으로 작용함이 나타났다.

선배들 및 동기들과 많은 대화를 나누고 싶고, 동아리 참여도 하고 싶었는데 많이 아쉽습니다.<여15>

대학교 교정에서 친구들과 만나서 밥 먹고, 도서관 가는 소소한 일상을 하고 싶습니다. 이것이 얼마나 소중한지 몰랐습니다.<여13>

고3을 한 번 더한다는 느낌이 들었습니다.<남18>

불규칙한 생활습관으로 우울감이 더 크고 자존감도 떨어졌습니다.<남19>

다섯째, 1⋅2학기 모두 비대면 수업으로 집안에서 대다수의 활동을 하는 상황은 생활습관 및 시간관리에 대한 불만으로 자존감의 저하를 유발하였고, 진로 및 미래에 불안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학생들의 경향은 크게 두 부류로 능동적으로 현재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주도적 대학생활을 도모하려는 학생과 수동적 상태에 머무는 학생의 차이가 나타났다.

집에만 머물다 보니 시간관리를 잘 못하는 것 같습니다. 낭비하는 시간들이 많은데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여18>

나만의 시간 관리가 어렵습니다. 공부를 하기로 마음먹어도 공부를 시작하기 전 예열단계가 깁니다. 딱히 고쳐야겠다는 생각은 안 해 봤지만 혼자서는 그 문제를 발견하기가 어렵습니다.<남 21>

미래에 무엇을 하면서 살아가야할지 아직 정확한 답이 나오지 않았습니다. 어떻게 하면 그런 것들을 찾아낼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남 16>

코로나-19 때문에 밖에도 제대로 나가지 못하고 대학생활을 전혀 즐기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내 자신이 너무 무기력한 상황이다. 몸과 마음도 건강해지기 위해 다이어트를 위해 헬스 유튜브나 커뮤니티를 활용하고 있다.<남 22>

4.3 축코딩

개방코딩에서 나타난 여러 맥락에서 공통된 현상을 조합하여 하위범주로 축코(axial coding)딩이 이루어진다. 축코딩은 중심현상이라는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여러 하위 범주들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이다. 즉, 축코딩은 중심현상을 둘러싼 조건과 전략, 결과 등 전 과정의 현상이 하나의 모델로 통합되어 개념화 된 것이다. 그리고 이를 위해 개방코딩 단계에서 도출된 추상화된 하위범주와 범주를 하나의 패러다임으로 연결시켰다.

[그림 1]은 대학신입생의 비대면 수업의 경험 및 결과에 대한 패러다임 모델이다. 패러다임 모델은 비대면 수업활동에서의 경험 및 대학생활 적응, 자기인식의 인과적 조건, 맥락적조건, 중재적 조건, 그리고 작용/상호작용과 결과라는 각 패러다임 요소들이 연결된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그림 1]

대학신입생 비대면 수업 경험의 패러다임 모델

인과적 조건에선 비대면 수업 중 동영상 강의는 학습방법에서 다시보기를 통한 복습을 활용한 점이 편리했고, 실시간 수업은 간혹 웹 장애로 연결 및 소리 음향 불안정으로 학습에 불편한 점이 있지만 교수와의 소통이 즉각적인 도움이 되었다는 점이 나타났다.

즉, 대학공부에 대한 경험이 없는 상태에서 선배 및 동기와의 면대면 대화가 어려운 상황은 대학에 대한 기본적 정보의 부족을 유발하였고 자신만의 대학공부 방식을 찾는데 어려움을 느끼게 하였다. 특히, 대학학습의 초기단계인 1학기에 이러한 현상이 뚜렷이 나타났으며, 이러한 상황개선을 위한 개별적 노력이 미약할 때 학습 불안이 개선되지 못한 특징이 있다.

동영상 자료가 다시보기를 활용하기 좋아 더 유용했습니다. 실시간 수업에는 녹화가 되지 않는 경우도 있어서요.<남3>

동기들과 과제에 대해서도 이야기 하고 싶었는데 못해서 과제에 대한 감이 모호했습니다.<남5>

과제를 제출했을 때 어느 부분이 감점된 것인지 몰라 궁금했습니다.<여4>

맥락적 조건에선 온라인 수업에 대한 라스페토와 올파(Lasfeto, D. B. & Ulfa, S. 2020: 34-41)의 연구의 출석, 과제물, 학습자 평가의 과정에서 학생들이 자발적인 주도적 학습준비가 이루어져야 학습 성취와 만족도가 크다는 결과와 유사하다. 즉, 온라인 콘텐츠에 익숙하지 못한 학생들의 수동적인 수업참여를 능동적으로 개선하여 학습효과를 높이는데 어려움을 겪은 사례가 많았다.

중심현상은 비대면 수업에서 과제부담의 가중에 대한 의견이 1-2 차면담에서 모두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는 윌깅과 존슨(Willging, P. A. & Johnson, S. D. 2009: 115-127)의 연구에서도 학생들이 온라인 수업을 기피하는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하고 있다. 중심현상에서 가장 뚜렷하게 나타난 것은 코로나-19로 인한 대학생활의 경험 박탈에 대한 신입생의 불만과 외출자제에 따른 비효율적 시간활용 등으로 무기력함을 느끼고 우울한 상태가 지속되고 있다는 것이다.

불규칙한 생활습관으로 우울감이 더 크고 자존감도 떨어졌습니다.<남 19>

중재적 조건은 교수자의 전화, E-메일, 메시지 등을 통한 온라인 학습지원과 실시간 답변이 교수와 학생과의 소통에 도움을 주어 대학생의 비대면 수업 및 대학생활 적응에 긍정적 역할을 하였다. 즉, 비대면 수업에 임하는 교수자와 학생간의 적극적인 상호작용이 학습상황에 긍정적인 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신입생 개인의 능동적 경향과 수동적 경향도 비대면 수업효과에 긍-부정적 역할을 하는 것이 보인다.

대학에 입학하나 이유 중에 선후배 등의 인간관계 형성인데 코로나 바이러스로 거리두기를 지켜야 하는 상황에서 인간관계를 유지하고 발전시키기가 어려워 우울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대학 비대면 프로그램과 비대면 동아리 활동에 참여하고자 한다.<여 21>

작용/상호작용은 비대면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시간, 공간, 거리에 제한이 없는 접근성이 높아졌다는 점다. 또한 대면 수업에선 능동적으로 참여하지 못했던 학생들도 편리하게 채팅을 이용하여 부담없이 교수에게 질문을 하고 교수의 응답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이다.

비대면 수업은 어느 장소에서든 수업을 들을 수 있어 편합니다.<남7>

비대면 수업은 괜찮은 점도 있고 불편한 점도 있어요. 집에서 편하게 들을 수 있어서 괜찮습니다.<남6>

동영상 자료가 다시보기 기능 덕에 더 유용했습니다.<남3>

모르면 수업시간에 교수님한테 물어봅니다.<여16>

4.4 선택코딩

선택코딩(selective coding)은 코딩의 마지막 단계로서 중심현상인 핵심범주(core category)를 선택하고 좀 더 추상적인 개념적으로 응축하고, 통합시켜 정교화하는 단계이다(Corbin, Juliet and Anselm Strauss, 2008). 즉, 본 연구의 선택코딩에선 다이어그램을 활용하여 연구의 핵심주제로 서술적으로 제시되었던 이야기 중심현상에 대한 윤곽(story line)을 동명사화 된 문장으로 응축하였다.

[그림 2]는 개방코딩 및 축코딩에 나타난 핵심범주를 다른 범주에 체계적으로 연결시켜 개념 간의 관계를 도표로 시각화한 것이다.

[그림 2]

코로나-19로 인한 대학 신입생 비대면 수업 경험의 상황모형

코로나-19로 인한 대학신입생의 비대면 수업 경험의 상황모형은 교수와 학생간의 비대면 수업경험의 5가지 특성이 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과 자기인식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상황모형에 제시한 비대면 수업에서 교수와 학생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대면 수업에 참여하기 위해 인터넷 장비를 마련하는 부담을 지게 되었지만 1년여의 기간 동안 온라인 컨텐츠에 익숙해졌다는 것이다. 그러나 빈번한 웹 장애(연결 및 소리⋅음향)의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온라인 콘텐츠에 익숙해지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게 되었지만 대규모 강좌에서 비대면 실시간 시험을 수행하기에는 교수의 노력 외에도 대학의 컨텐츠도 끊임없이 개발 되어야 할 필요성을 낳고 있다.

둘째, 온라인 수업상의 특성으로 인해 교수는 온라인상에 자료를 제공할 때, 동영상 및 음악 등 저작권의 부담을 안게 되었다. 반면, 학생들은 온라인 녹화기능에 따른 학습내용의 녹화기능을 활용하여 복습이 용이하여 온라인 학습에 대한 부담이 감소되었다는 점이다.

셋째, 비대면 수업에서 학습평가에 대한 공정성 확보를 위해 교수는 수업시간마다 과제를 제시하는 경우가 많았고, 이러한 과제물의 증가는 학생들에게 과제부담을 교수에게는 과제물 평가부담을 안겨주었다. 또한 학생들이 과제 이해도를 파악하고 피드백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온라인 컨텐츠와 매체를 적극 활용해야 하는 부담도 증가하였다.

넷째, 비대면 수업에서 E-메일, 채팅창, 휴대폰 메시지, 전화 등 온라인 매체를 통한 쉬운 접근성이 대학수업에서 교수와 학생간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는데 기여하고 있다는 점이다.

다섯째, 출석, 과제물, 시험 등의 학습자 평가의 과정이 모두 온라인을 통해 이루어진 경우가 대다수인 비대면 수업에선 공정성 담보가 대면보다는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이에 대학은 공정성을 높이기 위해 대면시험의 가능성을 열어두었지만, 비대면으로 시험을 보게 되는 경우가 다수였기에 성적평가는 절대평가로 임시전환하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부득이하게 학생들은 대면시험 가능성에 대한 부담을 받았다. 비대면 시험을 실시한 교수는 학생의 성적평가에서의 공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어려움이 겪고 있다.

5. 논의 및 제언

이상에서 코로나-19상황에 따른 대학신입생의 비대면 수업 경험이라는 학습상황의 전면적 변화와 비대면 대학생활 적응에서 나타나는 현상이 비대면 수업의 효과적 진행에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작용하고 있는 것이 나타났다.

대학신입생의 비대면 학업경험은 온라인 학습참여의 쉬운 접근성, 복습용이, 온라인 매체를 통한 소통편리, 절대평가의 장점이 있으나, 인터넷 장비부담 및 웹 장애 문제 그리고 과제부담의 가중이라는 특징으로 귀결되며 이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교수와 학생의 개별적 특성에 따라 학습효과가 달리 나타날 수 있음을 짐작가능하게 한다.

코로나-19로 인한 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이 다시 한 번 고3 생활을 경험하는 듯한 느낌을 갖게 하였고, 대학생활에서 신입생이 누릴 수 있는 자유 및 선택권의 박탈감을 느끼게 함과 동시에 비대면 수업의 연장은 대학생활에서 선배 및 동기들과의 인간관계를 형성하는 데 제약이 되었다.

동시에 선배 및 동기와의 관계 속에서 획득할 수 있는 대학 기본 정보들을 인터넷, 에브리타임, 카카오톡을 통한 온라인 매체로 접하게 되면서 대학신입생의 대학생활 정보의 명확성이 떨어졌다. 이에 대한 교수자의 신입생의 관계를 확대하여 대학생활 및 학습방안에 대한 교육의 강화가 더 필요해졌다.

특히, 신입생들이 사회적 거리두기에 따른 외출자제로 인해 집안에서 활동하는 시간이 지속되자 시간관리를 효율적으로 하는데 어려움을 느끼는 것과 자존감 저하, 무력감 및 우울감 등으로 학습효과가 떨어질 때 적절히 관여하여 도움을 줄 수 있는 상담기능을 대학차원에서 강화할 필요가 있다.

개별학생에 따라 자발적으로 온라인수업에 능동적으로 임하는 학생과 우울감으로 수동적으로 수업에 임하는 학생의 차이는 상당히 크다. 규칙적인 생활패턴과 식단관리 및 운동 등을 통해 건강관리를 하며 일상생활을 개선하는 학생들일수록 비대면 수업의 학습효과가 높아질 수밖에 없기에 학습자 피드백 시스템의 지속적 개선을 통한 교육 운영의 질을 관리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비대면 수업이라는 한계가 있지만 실시간 채팅, 카카오톡, 웹엑스 미팅 등 의 온라인 컨텐츠를 적극 활용하여 교수와 학생 간의 라포를 형성하고 심리적 거리감을 좁힐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가능하면 학생들의 의견을 주기적⋅통합적으로 수렴할 수 있는 채널을 개설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교수의 부담가중에 대처할 대학 온라인 전문조직의 구축이 필요하다.

비대면 실시간 수업을 진행하는 교수의 경우 강의 시에 이해력을 높일 수 있는 구체적이고 자세한 강의 자료를 제공하는 온라인의 특성에 맞는 자료 개발과 동시에 온라인 수업설계와 운영과 관련된 장애물들을 사전에 파악하고 대비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동시에 대학의 실시간 온라인 컨텐츠의 안정적인 인프라 구축 및 컨텐츠 활용을 위한 행정지원 등이 필요하다.

References

1. 강진호, 박아름, 한승태(2020). “코로나-19로 인한 대학생들의 라이프 스타일 변화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4(5),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89-297.
2. 김상미(2020). “코로나-19 관련 비대면 수업에 관한 국내 언론보도기사 분석”,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21(6), 한국디지털콘텐트학회, 1091-1100.
3. 김진모, 손규태, 이은표, 정지용, 장한별(2020). “대학 온라인 비대면 전공수업에서 교수자-학습자 상호작용, 학습자- 학습자 상호작용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한국농산업교육학회 학술대회 발표자료집, 한국농산업교육학회, 98-98.
4. 박중열(2020). “코로나-19로 촉진된 대학의 온라인 교육에 대한 고찰”, 기계저널 60(7), 대한기계학회, 32-36.
5. 박지은, 박정환(2020). “비대면 대학 수업환경에서의 교수-학습 전개 과정 탐색: 유아교육과 학습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산하기술학회논문지 21(11), 한국산학기술학회, 398-411.
6. 이영석(2020). “비대면 강의환경에서의 온라인 학습패턴과 학습효과의 상관관계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1(8), 한국산학기술학회, 557-562.
7. 이종만(2020). “코로나-19 원격 교육에서 외로움과 유튜브 과다 사용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7), 한국콘텐츠학회, 342-351.
8. 이희승(2020). “음악전공 대학생들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 인식 연구”, 음악교수법연구 21(2), 177-197.
9. 정남해(2020).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의 코로나-19로 인한 실습 중단 경험: 현상학적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1(9), 한국산학기술학회, 473-479.
10. 정원우, 류석진(2020). “코로나 블루 예방을 위한 전화상담이 대학생의 우울과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심리학회, 147-147.
11. 조성남, 이현주, 주영주, 김나영(2011). 질적연구방법과 실제, 서울: 도서출판 그린.
12. 최종혁(2011). 질적연구방법론: 근거이론과 수정근거이론의 실제, 서울: 도서출판 신정.
13. 최현실(2018).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연구”, 인문사회연구 62,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71-93.
14. Baker R. W, Siryk B. 1984;“Measuring adjustment to college”. Journal of Consulting Psychology 31(2):179–189.
15. Glaser, Barney G., & Anselm Strauss A. 공저, 이병식, 박상욱, 김사훈 공역(2011). 근거이론의 발견: 질적연구전략, 서울: 학지사.
16. Corbin Juliet, Anselm Strauss. 200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3rd edth ed. Thousand Oaks CA: Sage.
17. Glaser Barney G. 1978. Theoretical Sensitivity:Advances in the Methodology of Grounded Theory Mill Valley CA: Sociology Press.
18. Lasfeto D. B, Ulfa S. 2020;“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nd students'social interaction in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Journal of E-Learning and Knowledge Society 16(2):34–41.
19. Willging P. A, Johnson S. D. 2009;“Factors that influence students'decision to drop out of online courses”. Journal of Asynchronous Learning Networks 13(3):115–127.

Notes

1)

1차 설문내용은 학사제도, 학교생활, 대학공부, 자기계발 및 진로, 정서 등에 대한 만족도와 대인관계에 대한 만족도 그리고 대학진학에 대한 만족도이다.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표 1>

비대면 수업 경험에 대한 2차면담 주요 질문내용

영역 2차 면접 질문
비대면 수업 비대면 수업에 관한 경험을 설명해 주시겠어요?
비대면 수업(동영상 또는 실시간 수업)의 학습 효과에 대해서 설명해 주시겠어요?
비대면 수업의 시스템(접근성, 스트리밍 속도, 콘텐츠 구성)에 대해 느낀 점에 대해서 설명해 주세요.
대학생활 비대면 수업만 경험하고 있는 신입생의 입장에서 대학생활에 대해 가지는 꿈은 무엇인가요?
비대면 수업을 하면서 대학생활에 대한 정보 및 궁금증은 어떻게 해결하나요?
비대면 수업 시 대학동기 및 선후배 관계는 어떻게 유지하고 있는가요?
대학학습 능력을 향상하기 위해 하는 활동이 있습니까?
자기인식 개강 전 상황에서 비대면 수업에 대한 정보를 접했을 때 느낌은 어떠하였나요?
비대면 수업과 대학생활에 대해 자신이 갖는 느낌을 설명해 주시겠어요?
코로나19로 인한 우울감으로 학습장애가 있다면 이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있나요?
기타 교수자에 대한 요구사항이 있다면 얘기해 주시겠어요?
마지막으로 자유롭게 얘기하고 싶으신 내용을 얘기해 주시겠어요?

<표 2>

비대면 수업을 경험한 대학신입생 41명의 문의 및 의견의 일반적 특성

패러다임요소 요소 성별 연령 비대면 수업, 대학생활 적응, 자기인식
비대면 수업 문의 여1 20 저는 제가 공부하는 방법을 잘 모르겠습니다. 어떻게 하면 저만의 공부 방식을 찾아 갈 수 있을까요?
남1 20 비대면 수업에서 자신에게 가장 효과적인 학습 방법을 어떻게 찾을 수 있을까요?
의견 남2 20 과목공부, 과제, 시험 준비 등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남3 20 동영상 자료가 다시보기를 활용하기 좋아 더 유용했습니다. 실시간 수업에는 녹화가 되지 않는 경우도 있어서요.
여2 21 한 번씩 온라인 접속이 용이하지 않아 불편합니다.
여3 20 실시간 수업에서는 소리가 울리거나 안 들리는 경우가 있어 동영상 강의가 좋습니다. 그리고 실시간 수업의 경우 웹에서 조금 끊길 때가 있습니다.
남4 20 과제 제출이 너무 많아져서 힘들었습니다.
여4 20 과제를 제출했을 때 어느 부분이 감점된 것인지 몰라 궁금했습니다.
남5 20 동기들과 과제에 대해서도 이야기 하고 싶었는데 못해서 과제에 대한 감이 모호했습니다.
남6 20 비대면 수업은 괜찮은 점도 있고 불편한 점도 있어요. 집에서 편하게 들을 수 있어서 괜찮습니다.
남7 20 비대면 수업은 어느 장소에서든 수업을 들을 수 있어 편합니다.
남8 20 1학기 동안 학교에서 몇 주 간격으로 비대면 수업을 연장했기에 언제 대면수업으로 전환할지 몰라 자취방을 유지하였습니다. 집에도 못 올라가고 학교에 불만이 많았습니다.
여5 20 비대면 수업 참여를 위해 인터넷 장비를 마련하는 부담이 있었습니다.
여6 20 이번 학기에는 비대면 수업에서도 실습과목은 소수로 진행되어서 1학기 보다는 좋습니다.
대학 생활 적응 문의 남9 20 코로나 때문에 봉사자리 찾는 것 또한 어렵지만 이 봉사점수가 과연 제 성적에 크게 영향을 미칠 지가 궁금합니다.
여7 20 비대면 학기가 진행되고 있는데 장학금을 받는 정확한 기준이 무엇 인가요
남10 20 코로나-19 사태로 인해서 서울에서 한 번도 학교로 내려가 본 적이 없습니다. 전체적인 기숙사 환경이 어떠한지 알고 싶습니다.
여8 20 선배나 동기에게 머리로는 먼저 연락해야지 하지만 결코 쉽지 않습니다. 어떻게 하면 한 발짝 더 다가갈 수 있을까요?
여9 20 봉사활동을 어떻게 해야할지 모릅니다. 학교에서 연결해 주나요.
의견 남11 20 코로나로 인해 학교를 못가, 친구가 없는 상태에서 내년에 군대를 다녀온 후에도 친구를 만들기 힘들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여10 20 새로운 만남에서 먼저 다가가지 못하는 성격인데 특히 비대면 수업으로 인해 교수님이나 동기들과 친해지기가 더 어렵습니다.
남12 20 학교 축제, 동아리 활동 등 새로운 사람과의 만남이 없어서 아쉽습니다.
남13 21 전과, 편입, 복수전공 등 전공에 대한 적성여부가 온라인 수업만으로는 정보가 매우 부족합니다.
여11 20 동기들과의 온라인상의 만남은 불확실한 관계라서 친숙함이 떨어지고 속 깊은 대화가 불가능합니다.
여12 20 대학생활 1학년의 생활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코로나가 박탈했습니다.
여13 20 대학교 교정에서 친구들과 만나서 밥 먹고, 도서관 가는 소소한 일상을 하고 싶습니다. 이것이 얼마나 소중한지 몰랐습니다.
남14 20 대학에 오면 교환학생을 가고 싶었습니다. 그게 언제가 될지 모르겠습니다.
여14 21 신입생 초기부터 친구들을 사귀지 못해서 수업, 과제, 시험 등에 대해 도움을 주고, 받기가 힘듭니다.
여15 20 선배들 및 동기들과 많은 대화를 나누고 싶고, 동아리 참여도 하고 싶었는데 많이 아쉽습니다.
여16 20 인터넷, 에브리타임 등에서 대다수 대학에 대한 정보를 찾습니다. 네이버나, 친구에게 물어보기도 합니다. 아주 모르면 수업시간에 교수님한테 물어봅니다.
여17 20 대학에서 새로운 친구들을 만나 자연스럽게 얘기도 하고 커피숍에 가서 과제준비를 같이하고, 싶습니다.
남15 20 동아리 활동도 해보고, 봉사활동도 다녀 보고, MT도 가고 싶습니다.
자기 인식 문의 여18 20 집에만 머물다 보니 시간관리를 잘 못하는 것 같습니다. 낭비하는 시간들이 많은데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남16 21 미래에 무엇을 하면서 살아가야할지 아직 정확한 답이 나오지 않았습니다. 어떻게 하면 그런 것들을 찾아낼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남17 20 진로에 대해 아직 제대로 생각을 해 보지도 않았고, 계획을 세우지도 못 하였는데, 저의 진로에 대해 어떻게 진로를 정하고 그 진로에 대한 계획을 어떤 방식으로 세우면 좋을까요?
의견 여19 20 실습을 수업으로 대체한 강의를 들으며 한 학기 동안 이렇게 보내니 배운 게 없는 것 같았습니다.
남18 19 고3을 한 번 더한다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남19 20 불규칙한 생활습관으로 우울감이 더 크고 자존감도 떨어졌습니다.
남20 22 대학에 들어와서 내가 원하는 것을 찾을 자유를 박탈당한 것 같습니다. 내가 선택한 길을 경험하거나 그에 따라오는 책임감을 경험하지 못해 아쉽습니다.
남21 20 나만의 시간 관리가 어렵습니다. 공부를 하기로 마음먹어도 공부를 시작하기 전 예열단계가 깁니다. 딱히 고쳐야겠다는 생각은 안해 봤지만 혼자서는 그 문제를 발견하기가 어렵습니다.
여20 20 공공장소에서 사람들과의 접촉이 불편하고 걱정됩니다.
남22 20 코로나-19 때문에 밖에도 제대로 나가지 못하고 대학생활을 전혀 즐기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내 자신이 너무 무기력한 상황이다. 몸과 마음도 건강해지기 위해 다이어트를 위해 헬스 유튜브나 커뮤니티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여21 20 대학에 입학하나 이유 중에 선후배 등의 인간관계 형성인데 코로나 바이러스로 거리두기를 지켜야 하는 상황에서 인간관계를 유지하고 발전시키기가 어려워 우울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대학 비대면 프로그램과 비대면 동아리 활동에 참여하고자 합니다.

<표 3>

비대면 수업을 경험에서의 교수와 학생의 차이

속성 차원 비고
교수 학생
경험 대체적으로 부족 1년 미만 강의 시 마이크에서 떨어지면 안됩니다.
입장 전문가 학습자 강의자료를 잘 만들어야 합니다.
지식 높음 낮음 지식 전달에 콘텐츠의 영향이 매우 큽니다.
역할 가르치는 자 배우는 자 수업과 함께 학생들의 이해도를 높이는 교류활동을 개발해야 합니다.
역할의 내용 학문전달 학문습득 학생들의 이해도를 측정하기가 어렵기에 채팅이나 카톡 등을 활용하는 게 좋습니다.

<표 4>

비대면 수업을 경험한 대학신입생의 범주-하위범주-개념

패러다임요소 개념 하위범주 범주
인과적 조건 비대면 수업 1. 비대면 수업에서 동영상은 학습하기가 적절하다.
2. 비대면 수업에서 동영상은 녹화된 강의를 다시 볼 수 있어 복습에 도움이 된다.
3. 비대면 수업에서 실시간은 소리가 울리거나 안 들릴 때가 있고, 웹에서 조금 끊길 때가 있다.
4. 비대면 수업은 어느 장소에 관계없이 수업을 들을 수 있어서 좋다.
1. 비대면 수업에서 동영상이 실시간 수업보다 학습과 복습에 좋다.
2. 비대면 수업의 참여는 장소의 제한이 없다.
1. 동영상 강의학습적절
2. 실시간은 간혹 웹장애
대학생활적응 1. 선배나 동기랑 만날 기회가 없어 깊은 대화가 불가능하다.
2. 대학에 입학했지만 대학생활을 해보지 못했다.
1. 새로운 인간관계의 기회가 없다.
2. 대학의 다양한 생활을 경험하지 못했다.
1. 한정된 인간관계
2. 대학생활경험부족
자기인식 1. 비대면 수업으로 인해 대학생활을 못해서 전과, 편입, 복수전공을 할지에 대한 자기결정이 어렵다.
2. 전공에 대한 적성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워 미래에 대한 불안이 크다.
선택한 전공과 미래에 대한 확신을 갖기 어렵다. 1. 대학정보부족
2. 미래불안의 지속
맥락적 조건 비대면 수업 1. 비대면 수업은 개인차에 따라 집중이 잘 되기도 하고 안되기도 한다.
2. 비대면 수업은 수업내용에 중점을 둔다.
3. 비대면 수업에 임하는 공부방식이 맞는지 모르겠다.
4. 비대면 수업에 참여하기 위해 온라인 콘텐츠에 익숙해지는 것이 어려웠다.
1. 개인화되어 있는 공부방식에 확신이 없다.
2. 온라인 콘텐츠에 익숙해 지는 것이 어렵다.
1. 대학공부방식의 불확신
2. 비익숙한 온라인 콘텐츠
대학생활적응 1. 선배와 동기랑 만나서 과제에 대해 도움을 주고 받을 수 없다.
2. 봉사활동을 어떻게 해야할지 학교에서 연계시켜주는지 모르겠다.
1. 인간관계의 도움을 통한 대학생활 적응을 못한다.
2. 대학의 시스템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다.
1. 인간관계 부족
2. 대학정보 부족
자기인식 1. 처음 겪어보는 대학성적 평가라서 과제의 감정요인이 어디인지 모르겠다.
2. 공공장소에서 사람들과 접촉하는 것이 불안하다.
1. 대학 성적평가의 기준을 잘모르겠다.
2. 접촉에 대한 불안감이 크다.
1. 모호한 성적기준
2. 접촉불안
중심현상 비대면 수업 1. 비대면 수업은 과제 부담이 너무 크다.(교수님들의 성적평가에 대한 공정성 담보로 가중되었다.)
2. 비대면 수업 중 실시간은 웹 장애의 불편한 점이 많다.(연결장애, 소리 및 음량 불안)
1. 과제부담이 크다.
2. 해결하기 어려운 웹 장애가 빈번하다.
1. 과제부담가중
2. 온라인 웹 장애
대학생활적응 대학생활에서 경험할 수 있는 동아리 활동 및 MT 경험을 박탈당했다. 대학생활에서 못해본 활동들이 너무 많다. 대학생활 경험박탈
자기인식 1. 시간 활용을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다.
2. 외출자제로 인해 집에만 있으니 우울하다(나태함, 무력감).
집안에서의 반복적 시간활용으로 우울감이 커졌다. 1. 비효울적 시간활용
2. 우울감 증가
중재적 조건 비대면 수업 1. 교수자로부터 이메일, 휴대폰, 메시지 등을 이용한 학습지원을 받았다.
2. 개별적 질문에 대해 교자자와의 상호소통이 실시간 수업의 채팅창에서 적절히 진행되었다.
1. 온라인 매체를 통한 교수자의 학습지원을 받았다.
2. 개별적 질문을 실시간으로 해결할 수 있었다.
1. 교수자의 온라인 학습지원
2. 교수자의 실시간 답변
대학생활적응 인터넷, 카톡 및 에브리타임을 활용하여 대학생활의 궁금증을 해결했다. 인터넷 매체를 통해 대학생활의 궁금증을 해결했다. 매체를 통한 궁금증 해소
자기인식 미래 및 진로에 대한 고민 때문에 걱정이 많고 불안하고 우울하다. 미래 불확신으로 인한 코로나 블루를 여전히 겪고 있다. 1. 미래불확신
2. 우울감
작용/상호 작용 전략 비대면 수업 1. 비대면 수업의 참여는 번거로운 장소이동이 없어 접근성이 편리하다.
2. 비대면 수업에선 얼굴공개 및 타학생의 주목에 대한 부담이 적어 교수에게 자유롭게 질문할 수 있다.
1. 수업 참여의 접근성이 편리하다.
2. 부담을 덜 받고 교수님에게 자유롭게 질문한다.
1. 쉬운 접근성
2. 자유로운 질문
대학생활적응 대학생활에 적응할 수 있는 경험 및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된 상황이 아니다. 대학생활에 적응할 수 있는 상호작용을 할수 없다. 非상호 작용
자기인식 1. 미래가 불안하고 진로에 대한 계획을 세우기 어렵다.
2. 대학생활을 경험하지 못하여 우울감이 지속적이다.
1. 미래가 불안하다.
2. 우울감이 지속정이다.
1. 불안한 미래
2. 우울감 지속
결과 비대면 수업 1. 비대면 수업의 결과는 오프라인 결과에 비해 공정성을 담보하기 어려워 절대평가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2. 비대면 수업을 통해 배운 지식은 오프라인적 발표 및 실습의 부재로 잘 습득했는지 확인하기 어렵다.
1. 비대면 수업의 결과는 절대평가로 인해 점수가 잘나온다.
2. 비대면 수업에서 지식을 정확하게 습득했는지 확인하기 어렵다.
1. 절대평가
2. 학습에 대한 불확신
대학생활적응 신입생만이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대학생활의 정보와 경험을 얻기 어려워 대학생활에 적응하기 힘들다. 대학생활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박탈당했다. 신입생 생활박탈
자기인식 미래불안과 현 상황에 대한 우울감을 해소할 수 있는 방법을 찾지 못했다. 불안감과 우울증에 대한 해소방법이 없다. 불안감, 우울감

[그림 1]

대학신입생 비대면 수업 경험의 패러다임 모델

[그림 2]

코로나-19로 인한 대학 신입생 비대면 수업 경험의 상황모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