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 General Edu Search

CLOSE


Korean J General Edu > Volume 14(6); 2020 > Article
대학생의 글쓰기에 나타난 <한글 맞춤법>의 오류 유형 분석

초록

이 논문에서는 대학생이 쓴 글 150편에 나타난 한글 맞춤법의 오류 유형과 빈도를 제시하고 오류 내용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57항] 단어 및 문법 요소 구별, [27~31항] 합성어 및 접두사가 붙은 말, [32~40항] 준말, [56항] 어미(-더라, -던, -든지), [10~12항] 두음 법칙, [19~26항] 접미사가 붙어서 된 말, [15~18항] 어간과 어미, [8, 9항] 모음, [53항] 어미(예사소리, 된소리), [51항] 부사(-이/히) 그리고 [6항] 구개음화, [5항] 된소리, [13항] 겹쳐 나는 소리 순으로 오류가 나타났다. 오류가 나타난 조항을 살펴보면서 현실 발음이 표기에 영향을 미침, 표기 규약과 현실 발음은 다른 차원의 문제임, 어근의 본뜻이 유지되면 원형을 밝혀 적어야 함, 어근의 본뜻이 유지되지 않으면 소리 나는 대로 적어야 함, 자신이 쓴 표기가 올바른지 확인하기 위해 사전을 찾아보는 학생이 드물기 때문에 오류 형태를 반복 사용하여 굳어지면 자가 수정이 쉽지 않음, 규정 자체의 제약과 까다로움도 오류의 원인이 될 수 있음, 가르칠 때 고빈도의 일상어 위주로 예를 들어야 함 등의 내용을 언급하였다. 또한, 오류 분석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을 언급하며 그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presented the types and frequencies of Korean orthographic errors in 150 papers written by university students and examined the content of those errors. As a result, the errors found were in the order of distinction of words and grammar elements [item 57], compound words and words with prefixes [items 27~31], abbreviations [items 32~40], endings (-deora, -deon, -deunji) [item 56], words with initial letter rules [items 10~12], words attached with affixes [items 19~26], stems and endings [items 15~18], vowels [items 8, 9], endings (basic sound, tensed sound [item 53], adverbs (-i/hi) [item 51] and palatalization [item 6], tensed sound [item 5], and sounds pronounced when similar phonemes overlap [item 13]. In examining the items with errors, we can see that the content including actual pronunciation affects writing, while the issue of writing convention is a matter of different dimensions from the actual pronunciation. Moreover, the original form must be identified and clearly written when the original meaning of the root is maintained, and a word should be written as it sounds when the original meaning of the root is not maintained. Furthermore, self-correction is difficult after repeated use of error types becomes habitual because few students search dictionaries to confirm the correctness of their writing. Certain restrictions and the strictness of various rules can also cause errors, and teaching examples must focus on high-frequency, everyday words. Finally, the possibility of the educational use of error analysis was mentioned to emphasize its importance.

1. 서론

본 연구는 대학생이 쓴 글 150편에 나타난 <한글 맞춤법>의 오류 유형과 빈도를 제시하고 오류 내용을 고찰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이를 통해 글쓰기 교양 교과목에서 어문 규정을 가르치기 위한 교육 내용을 선정하고 오류가 나타나는 주요 조항을 설명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현재 대학에서 공부하는 학생들은 글을 쓰기보다는 말을 하거나 스마트 기기를 통해 구어에 가깝게 소통하는 것에 익숙한 세대로, 대학 입학 전 엄정한 형식이 갖추어진 논리적인 글을 써본 경험이나 바른 문장 쓰기를 위한 학습 경험이 부족하다. 이에 많은 학생들이 글쓰기에 적잖은 부담을 느끼곤 한다.1) 그럼에도 전공 교과목과 교양 교과목에서 보고서, 감상문, 설명문, 논설문, 발표문 등을 작성하려면 글쓰기를 위한 기초 역량을 갖추어야 하고, 그 역량 안에는 형식적 측면의 어문 규정 지식도 포함된다. 글을 쓸 때 자신이 사용하는 문법 요소나 어휘 요소의 표기가 올바른지 의식적으로 사전을 찾아보거나 확인해 보는 학생이 드물기 때문에 잘못된 형식을 반복 사용하여 습관으로 굳어지면 바로잡기가 더욱 어렵다. 그러므로 한국어 쓰기 능력을 제고할 수 있는 교수 요목이 마련되어야 하며, 글쓰기 오류를 개선하고 글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어문 규정과 같은 기술적인 내용을 정확하게 학습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어문 규정 중에서 가장 많은 분량과 내용을 차지하면서 표기 규약 전반을 담고 있는 <한글 맞춤법>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그러나 글쓰기 관련 교과목에서 어문 규정만을 가르칠 수는 없으므로 한 학기 15주, 16주의 구성에서 75분씩 2회(1주) 또는 4회(2주)가량 어문 규정을 가르친다고 할 때, 이 시간은 <한글 맞춤법> 하나만을 가르치기에도 매우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반드시 가르쳐야 하는 내용을 선정하여 집중적으로 지도하는 선택과 집중 방식이 적절하다. 이와 관련하여 나은미(2008: 237)는 글쓰기 교육에서 어문 규정 등 문장 쓰기에 할애하는 시간이 너무 많다는 점을 부정적으로 보고 비판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짧은 시간 내에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2) 그렇다면 무엇을 가르칠지를 먼저 선정해야 하는데, 그 ‘무엇’을 선정하기 위해 학생들이 쓴 글에 나타나는 어문 규정의 오류 유형과 빈도를 고려할 수 있다. 즉, 어문 규정을 가르칠 때 학생들이 잦은 오류를 범하는 것 위주로 교육 내용을 구성하는 것이 효율적이며, 자주 발생하는 오류가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것이 우선이다. 이는 학생들이 글쓰기 과정에서 사용할 가능성이 높고 오류를 일으킬 가능성이 높은 규정을 교육 내용으로 선정하여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도하기 위함이다.
오류 분석이 중요한 이유는 학생들이 어떤 유형을 자주 틀리는지, 어떤 유형을 어려워하는지 확인하여 오류를 없애거나 빈도를 낮추는 데 교육적으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오류를 분석한 내용으로 어문 규정을 지도하기 위한 교육 내용 선정과 구성, 교육 순서, 교육 방안, 교육 활동, 교육 평가 등 교육 과정의 세부 요소를 설계하는 데 활용이 가능하다. 이 외에도 각 대학의 글쓰기 교재에서 다루고 있는 어문 규정의 범위, 항목, 내용, 용례 등이 제가끔 상이하므로 향후 개정판에서 교육 내용을 선정할 때 <한글 맞춤법>의 전반적인 오류 양상을 고찰한 본고의 내용이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그리고 글쓰기 과목을 담당하는 국어학 외 전공의 교수자들에게는 오류의 분석과 설명을 위한 길라잡이로 활용될 수 있다. 현용 <한글 맞춤법>은 2017년에 일부가 개정 고시되었으므로 바뀐 내용도 논의에 반영해야 한다.

2. 선행 연구 검토

교양교육 분야의 연구 가운데 대학생이 작성한 글에 나타난 오류 양상을 살펴본 연구로는 나은미(2008), 황금연(2010), 유혜령(2011), 정희모⋅유혜령(2012), 방영심⋅이혜용(2013), 이재현(2014), 정언학(2014), 김혜정⋅안태형⋅임지아(2016), 박은하(2017), 김수진(2018) 등이 있다. 학생들이 쓴 글에서 다양한 유형의 오류가 발견되는데, 이들 연구는 공통적으로 그 글을 분석한 뒤 오류를 유형별로 체계화하여 제시하고 지도 방안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러한 미시적인 연구 성과가 누적되어 학습자의 작문 오류라는 일단(一團)의 거시적인 연구 성과를 이루고, 이것을 정제하고 가공하여 교육 현장 및 교재 개발에 두루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각 연구의 주요 논의를 정리하면 <표 1>과 같다.
<표 1>
선행 연구의 주요 논의 내용
연구자 연도 주요 논의 내용
나은미 2008 어휘 선택, 호응 문제, 어문 규정, 기타 유형으로 나누어 문제점을 살펴보고 중점적인 지도 내용을 덧붙였다. 어문 규정과 관련해서는 띄어쓰기를 잘못한 경우, 표기를 잘못한 경우, 문장 부호를 잘못 사용한 경우, 외국어를 사용한 경우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황금연 2010 문장 오류를 문장 단위와 문장 간의 연결 관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문장 단위에서는 문장 성분의 불일치, 대등 구조의 문제, 성분의 생략, 조사의 문제, 부정확한 어휘의 사용 문제, 논리적이지 못한 문장, 동일 어휘⋅어구의 반복 문제, 구어적 표현 오류를 지적하였고, 문장 간의 연결에서는 동일 어휘 표현의 반복, 지시어의 문제, 접속어의 문제를 지적하였다.
유혜령 2011 문장 쓰기 지도가 문장 내적인 요소뿐만 아니라 문장 외적인 층위까지 포괄하여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이를 위해 학생들의 글을 분석하여 얻은 오류를 장르 차원, 텍스트 차원, 통사적 차원, 문자 표기 차원으로 나누고, 그 아래에 구체적인 오류 내용을 정리하였다.
정희모 유혜령 2012 표기 오류, 문장 층위의 오류, 텍스트 층위의 오류로 나누고 각각의 하위 범주에 대한 오류 빈도와 순위를 제시하였다. 그 결과 띄어쓰기 오류, 문장 성분의 누락, 어휘의 부적절한 사용, 복잡한 통사 구조의 오류, 의미의 중복, 문장 부호 오류, 조사 사용 오류, 부적절한 피동⋅사동 표현, 접속 표현의 오류, 복수 접미사 오류, 맥락에 맞지 않는 어휘 사용 순으로 나타났다.
방영심 이혜용 2013 띄어쓰기 오류, 문장 쓰기의 오류, 문체 사용의 문제, 맞춤법 오류, 기타 오류의 순서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각각에 속하는 여러 오류의 계열별 차이를 인문계, 이공계, 예체능계로 나누어 확인하고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재현 2014 문장 층위에서 나타나는 오류 가운데 주어와 서술어의 호응 문제, 접속사의 사용, 띄어쓰기, 문장의 길이, 어휘 사용의 정확성 여부 등 다섯 가지 유형의 오류를 살펴보고 이러한 형식적인 오류를 극복하기 위한 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정언학 2014 글을 분석하여 형식적 오류 유형을 구 차원, 문장 차원, 단락 차원, 글 차원의 층위로 나누어 예문과 함께 살펴보고 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김혜정 안태형 임지아 2016 어색한 문장의 사용 실태를 파악한 후 어색한 문장 사용 양상을 군더더기 문장, 피동형 문장, 직역투 문장, 모호한 의사표현 문장, 명사형⋅관형형 문장, 어색한 어휘 사용 문장, 구어체 문장으로 유형화하여 각각의 빈도를 살펴보고 점검 리스트를 만들었다.
박은하 2017 글쓰기에 구어적 표현이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는지 살펴보고 문장 성분 생략, 준말, 구어적 종결 어미 및 연결 어미, 접속 부사 및 부사어, 조사 생략, 직접 인용, 구어 문장, 음운적 오류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김수진 2018 글에서 띄어쓰기, 호응, 문장 성분 배치 및 생략, 피동⋅사동 표현, 구어체 표현 등의 오류를 확인하고 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정언학(2014: 116)에서 언급하였듯이 글쓰기에서의 여러 문제를 경험적으로 이미 알고 있는 교수자들에게는 이러한 논의가 이미 알려진 여러 사실의 집적에 불과하다고 볼 수도 있겠지만, 대학 글쓰기 교실의 현실을 고려할 때 고빈도 오류 유형에 대한 교육 자료의 수집과 정리의 필요성이 여전히 강하게 요구된다. 글쓰기 과목의 교수자가 학생들의 여러 오류 유형을 경험적으로 인지하고 있더라도 그것을 제한된 수업 시간에 정리된 자료로 제시하고 교육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오류 사례가 수집되고 정리되어 있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2018년 3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연구자가 수집한 대학생의 글 150편을 대상으로 <한글 맞춤법> 오류를 분석하여 제시함으로써 이 분야의 연구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가 학술적, 실용적으로 더욱 기여하려면 선행 연구의 문제점과 한계점을 보완하는 진전된 논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것이 바로 본 연구의 필요성이자 의의와 연결되기 때문이다. 선행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문제는 다음과 같다.
주로 학술지에 실리는 짧은 논문 안에서 글의 전체 오류를 여러 유형으로 나누어 광범하게 다루다 보니 어문 규정과 관련한 내용은 소략하며, 일부 유형만 논의에 포함할 뿐이다. 특히 <한글 맞춤법>의 경우에 오류와 관련이 있는 장과 절을 적시하지 않고 일부 개별 사례를 각 연구자가 분류한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오류 유형에 포함하여 설명이 이루어진다. 이에 <한글 맞춤법> 전반에 걸친 탐색과 논의가 어려우며 연구자별로 분류 항목도 상이하다. 몇몇 연구에서는 오류 유형과 빈도를 제시하지 않고 단순 나열하여 어떤 오류가 얼마나 나타나는지 구체적인 양상을 확인할 수 없다. 그리하여 오류에 대해 ‘많다’,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빈번하게 나타난다’, ‘자주 목격할 수 있다’ 등과 같은 주관적이고 불명확한 기술이 나타나기도 한다.3) 방영심⋅이혜용(2013: 84)에 따르면 나열식으로 오류 유형만 제시하는 것은 대학생들이 가장 어려움을 느끼는 항목이 어떤 것인지 그 실태를 알려주지 못한다는 약점이 있다. 이상의 내용을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는 <한글 맞춤법> 제3장 소리에 관한 것,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6장 그 밖의 것의 장과 절을 구체적으로 적시하면서 오류를 고찰해 나갈 것이다. 아울러 근본 원리를 기술하기 위한 국어학적 설명도 곁들인다.3)

3. 연구 대상과 방법

본 연구는 2018년 3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교양 수업을 통해 대학생들에게서 생활문, 감상문, 논설문, 설명문, 자기소개서를 수집하여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분량은 A4 국배판 1~2장이며, 여백 및 글자 설정은 워드 프로그램 기본값을 적용하여 작성하도록 하였다. 연구 시작 전, 모든 과제는 카피킬러로 표절 검사를 실시하여 15% 이상의 표절률을 보이면 동일 문장과 의심 문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표절 또는 짜깁기한 것으로 판명된 8편을 자료에서 제외하였고,4) 문서 통계를 확인하여 200자 원고지 7매 미만으로 분량이 적은 3편 또한 자료에서 제외하였다. 그리하여 생활문 38편, 감상문 30편, 논설문 26편, 설명문 23편, 자기소개서 33편 총 150편의 과제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후 2020년 1월 한 달간 150편에 나타난 <한글 맞춤법> 오류를 확인하였고(1차 작업), 3월 한 달간 같은 글을 검토하였다(2차 작업). 모든 오류는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엑셀(Excel)을 이용해 기록하였다. 연구자의 경험에 비추어 보면 오류를 확인하고 분석하는 일 또한 사람이 하는 것이다 보니, 작업을 완료한 직후 당장은 문제가 없어 보여도 시간이 지나고 나서 분석한 내용을 다시 확인하였을 때 누락이나 오기가 발견되기도 한다. 그러한 실수를 방지하고자 일부러 시간 간격을 두고 한 번 더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연구자가 누락한 오류가 있는지 교차 점검하기 위해 (주)나라인포테크와 부산대학교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개발한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로 거듭 확인하였다(3차 작업). 이상의 연구 절차를 정리하면 <표 2>와 같다.
<표 2>
연구 절차
대학생이 쓴 글 161편 수집 표절 및 분량 확인 후에 글 150편 최종 선정 선정된 글을 대상으로 한글 맞춤법 오류 확인 같은 글을 다시 읽으며 한글 맞춤법 오류 재확인 맞춤법 검사기로 오류 누락 유무 재확인
2018. 3. - 2019. 12. 2019. 12. 2020. 1. 2020. 3. 2020. 4.
현행 <한글 맞춤법>의 제1장은 총칙, 제2장은 자모에 관한 설명이므로 논의에서 제외한다. 제5장은 띄어쓰기에 관한 설명으로, 띄어쓰기 조항은 제1절 조사, 제2절 의존 명사,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 및 열거하는 말 등, 제3절 보조 용언, 제4절 고유 명사 및 전문 용어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여기에 해당하지 않는 오류는 논의에서 제외하거나 기타 오류로 처리할 수밖에 없어 다양한 오류 환경을 정밀하게 기술할 수 없고, ‘관형사+의존명사’, ‘관형사형+의존명사’, ‘명사+의존명사’처럼 전혀 다른 환경과 동인을 가진 오류도 똑같은 의존명사 오류로 처리하게 된다는 약점이 있다. 그러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선행 요소와 후행 요소를 함께 살펴보는 방식, 즉 품사 간의 분포 양상을 살펴보는 정밀한 방식이 요구된다(김영일, 2019: 247-248). 또한, 띄어 써야 하는데 붙여 쓴 경우와 붙여 써야 하는데 띄어 쓴 경우를 나누어 살펴볼 수도 있다. 이상의 이유로 띄어쓰기는 별도의 지면에서 논의해야 한다고 판단하여 제외한다. 최종적으로 본고에서는 엄밀한 의미의 맞춤법, 다시 말해 철자법으로서 표기 규칙이자 표기 관습에 해당하는 3장, 4장, 6장을 논의하는 데 집중할 것이다.

4. 오류 결과와 분석

제3장은 소리에 관한 것으로 1절 된소리, 2절 구개음화, 3절 ‘ㄷ’ 소리 받침, 4절 모음, 5절 두음 법칙, 6절 겹쳐 나는 소리로 이루어져 있다. 제4장은 형태에 관한 것으로 1절 체언과 조사, 2절 어간과 어미, 3절 접미사가 붙어서 된 말, 4절 합성어 및 접두사가 붙은 말, 5절 준말로 이루어져 있다. 3장과 4장은 각각 ‘소리’와 ‘형태’라고 이름 붙인 것에서 알 수 있듯이 3장은 음운론의 소관이고 4장은 형태론의 소관이다. 제6장은 그 밖의 것인데, ‘그 밖의 것’으로 이름 붙인 데서 알 수 있듯이 제3장~제5장에 포함되지 않은 것들을 모아 놓았다. 이에 제3장~제5장과 달리 제6장은 절 없이 51항~57항만 제시된다. 본 연구에서는 51항~57항의 핵심어를 추출하여 <표 3>에서와 같이 51항은 부사(-이/히), 52항은 한자어 본음과 속음, 53항은 어미(예사소리, 된소리), 54항은 접미사(된소리), 55항은 단어 통일, 56항은 어미(-더라, -던, -든지), 57항은 단어 및 문법 요소 구별로 이름 붙인다.
<표 3>
한글 맞춤법 항목별 오류 횟수와 비율5)
주제. 내용 횟수(회) 비율(%)
3 소리에 관한 것 1 5 된소리 5 2.52
2 6 구개음화 6 3.03
3 7 ‘ㄷ’ 소리 받침 0 0
4 8, 9 모음 12 6.06
5 10~12 두음 법칙 18 9.09
6 13 겹쳐 나는 소리 1 0.50
4 형태에 관한 것 1 14 체언과 조사 0 0
2 15~18 어간과 어미 13 6.56
3 19~26 접미사가 붙어서 된 말 14 7.07
4 27~31 합성어 및 접두사가 붙은 말 30 15.15
5 32~40 준말 29 14.64
6 그 밖의 것 없음 51 부사(-이/히) 6 3.03
52 한자어 본음과 속음 0 0
53 어미(예사소리, 된소리) 7 3.53
54 접미사(된소리) 0 0
55 단어 통일 0 0
56 어미(-더라, -던, -든지) 25 12.62
57 단어 및 문법 요소 구별 32 16.16
합계 198 100

4.1 소리에 관한 것

제3장 소리에 관한 것의 오류 횟수는 두음 법칙(18회), 모음(12회), 구개음화(6회), 된소리(5회), 겹쳐 나는 소리(1회) 순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은 오류가 나타난 두음 법칙은 대부분 ‘양/량’, ‘율/률’과 관련된 것이고, 이 외에 ‘X+년도/연도’ 오류가 2회 있었다.6) ‘양/량’, ‘율/률’과 관련된 학생들의 실제 오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1) ㄱ. 편의점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는 간편식품은 나트륨량이 높아서 지속적인 섭취 시 고혈압, 심장병 등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 ㄴ. 중국의 산둥성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량의 추이를 살펴보면 왜 국내 미세먼지가 점점 더 심해지는 지를 알 수 있다.

  • ㄷ. 연구 결과로부터 방사선양과 암 사이의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 ㄹ. 강아지가 밥을 급하게 먹기 때문에 사료양을 줄이는 대신 하루에 4회를 급여하고 있습니다.

  • ㅁ. 매 초, 매 분마다 실시간으로 쏟아지는 전 세계의 온라인 데이터량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 ㅂ. 비용이 저렴한 곳만 찾는 경우에 수업양과 질 모두 만족스럽지 못해 결국 후회하는 학생들이 많다.

  • ㅅ. 훈련양 또는 훈련강도와 선수들의 경기력 사이 인과관계에 대해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었다.

  • ㅇ. 정부 정책으로 청년 구직을 적극 지원함에도 불구하고 20~30대의 청년 취업율은 오르지 않고 있다.

  • ㅈ. 치료 후에도 지속율이 낮기 때문에 몇 년 안에 재발하기도 한다.

  • ㅊ. 할인률에 따라서 구매자들은 최저 6만 원에서 최고 10만 원까지 할인을 받을 수 있다.

  • ㅋ. 국내에서는 영화 개봉 첫날에 사람들이 몰려 98% 객석율을 기록했다.

  • ㅌ. 인스타그램의 도달율 증가와 달리 페이스북의 도달율은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이다.

(1ㄱ~ㅅ)의 ‘양/량’은 복합어와 같은 구성에서 후행 요소로 사용될 때 선행 요소가 한자어인지 아닌지 어종을 따져야 한다. ‘량(量)’이 어두에 놓일 때는 항상 두음 법칙이 적용되어 ‘양’으로 표기한다. 그러나 비어두에 놓일 때, 즉 A+B 구조에서 ‘량’이 후행 요소인 B일 때는 선행 요소인 A의 어종에 따라서 두음 법칙이 적용된 ‘양’으로 표기하기도 하고 두음 법칙이 적용되지 않은 ‘량’으로 표기하기도 한다. A가 고유어, 외래어, 외국어일 때는 비한자어 A와 한자어 B의 이질성으로 인해 B의 ‘량’을 개별 단어로 취급하기 때문에 어두라는 조건이 충족되어 ‘나트륨+양’, ‘온실가스+양’, ‘데이터+양’처럼 두음 법칙을 적용한 ‘양’으로 표기한다. 그러나 A가 한자어일 때는 B에 놓인 1음절 한자어 ‘량’을 별개의 단어로 취급하지 않으므로 ‘방사선+량’, ‘사료+량’, ‘수업+량’, ‘훈련+량’을 단어+단어로 분석할 수 없어 ‘량’은 비어두 자리에 놓이게 된다. 그 결과 두음 법칙이 적용되지 않아 ‘방사선량’, ‘사료량’, ‘수업량’, ‘훈련량’처럼 ‘량’으로 표기한다.7)
이러한 오류 발생의 원인은 두 가지로 추측해 볼 수 있다. 첫째, 현재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들은 제도권 교육 내에서 선택 교과인 한문을 중⋅고등학교 때 이수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이에 따른 한자 지식의 부족으로 ‘방사선’, ‘사료’, ‘훈련’과 같은 형식이 한자인지 아닌지를 즉각 판단하기 어려울 수 있다. 둘째, 학생 개인의 글쓰기 습관을 통해 오류 사용이 고착화되었을 수 있다. 특정 오류 형태를 오랜 기간 사용해 온 경우에 아무런 의심 없이 사용하며 문제를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 자신이 사용하는 표현에 대해 사전이나 인터넷으로 가부를 확인하는 학생이 거의 없기 때문에 반복 사용에 의해 굳어진 오류 형태는 글을 쓸 때 무의식적으로 튀어나와 자가 수정이 쉽지 않다.
(1ㅇ~ㅌ)의 ‘율/률’은 제11항 붙임1의 단서 조항에 모음이나 ‘ㄴ’ 받침 뒤에 이어지는 ‘렬, 률’은 ‘열, 율’로 적는다고 명시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취업율’, ‘지속율’, ‘할인률’, ‘객석율’, ‘도달율’ 중 ‘할인률’은 ‘ㄴ’ 받침에 ‘률’이 후행하므로 ‘할인율’로 표기하고, 나머지는 그 외의 자음에 ‘률’이 후행하므로 ‘취업률’, ‘지속률’, ‘객석률’, ‘도달률’로 표기한다. 이처럼 간단한 암기를 통한 일관된 적용이 가능하나, 근본적으로 이 규정이 학생들에게 난해한 이유는 현실 발음과 표기가 달라 일관성이 없다는 데 있다. 예컨대, ‘취업률’의 ‘률’과 ‘할인율’의 ‘율’ 모두 [뉼]로 동일하게 발음되지만 표기를 달리하여 각각 ‘률’과 ‘율’로 적는다. 자연스러운 발음과 표기가 일치하지 않으므로 해당 조항을 암기하고 있어야만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바꿔 말하면, 어떤 학생의 글에서 이러한 오류가 반복되어 나타나는 경우 그 학생은 붙임1의 조항을 정확히 알지 못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12회의 오류가 나타난 모음 조항을 살펴보기로 한다. 모음의 표기 규약을 담고 있는 제8항과 제9항은 이중모음이 단모음으로 발음되더라도 표기는 이중모음으로 해야 한다는 내용이므로 형태주의 원리를 보여준다. 이처럼 발음에 이끌려 이중모음을 단모음으로 표기하는 오류는 발음이 표기에 영향을 미친 결과이다. 본고에서는 단모음을 이중모음으로 표기하는 오류도 논의에 포함하며, 다음과 같은 오류가 여기에 해당한다.
  • (2) ㄱ. 성할당제를 표방하지만 오히려 역차별과 공정성 문제를 안고 있는 법안이 눈에 띤다.

  • ㄴ. 세종학당은 한국어와 한국문화의 세계화라는 중요한 임무를 띄고 있다.

  • ㄷ. 가게부를 매일매일 작성하면 모든 지출을 꼼꼼하게 살펴보고 관리할 수 있어 불필요한 소비가 줄어든다.

  • ㄹ. 전국의 고속도로 휴계소마다 해당 지역 특산물을 활용한 이색 음식을 판매한다.

  • ㅁ. 유럽에서 6개월 동안 살아보니 한국과 달리 인사치례가 중요하지 않았다.

  • ㅂ. 겨례말큰사전은 남한과 북한의 언어를 집대성하기 위해 남북한이 공동으로 만들고 있는 사전이다.

  • ㅅ. 국민청원 계시판에는 오늘도 많은 사람들이 찾아와서 억울함과 부당함을 호소한다.

  • ㅇ. 가성비를 중요하게 여기는 사람들은 오히려 단품보다 뷔폐를 더 선호한다.

  • ㅈ. 문단모양에서 줄 나눔 기준을 설정함으로써 영어 띄워쓰기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2ㄱ~ㅈ)은 각각 ‘띈다(←띤다)’, ‘띠고 있다(←띄고 있다)’, ‘가계부(←가게부)’, ‘휴게소(←휴계소)’, ‘인사치레(←인사치례)’, ‘겨레말(←겨례말)’, ‘게시판(←계시판)’, ‘뷔페(←뷔폐)’, ‘띄어쓰기(←띄워쓰기)’로 표기해야 한다. (2ㄱ, ㄴ)과 같이 ‘띄다’를 ‘띠다’로 쓰거나 ‘띠다’를 ‘띄다’로 쓴 오류가 5회 있었다. ‘뜨이다’의 준말인 ‘띄다’는 사전 용례에서 알 수 있듯이 동사 앞에 항상 ‘귀’, ‘눈’의 감각 기관이 위치하여 ‘귀가 띄-’, ‘눈에 띄-’의 구성으로 사용되며, 그 외에는 모두 ‘띠다’로 쓴다고 일반화할 수 있다. 특기할 만한 점은 (2ㄷ~ㅇ) 모두 ‘ㅖ’와 ‘ㅔ’의 오류라는 것이다. 자음을 가지고 있는 음절의 ‘ㅖ’는 ‘ㅔ’로도 발음되므로 현실 발음이 단어 표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2ㅈ)은 ‘띄우다’라는 타동사가 존재하므로 여기에 이끌려 ‘띄워쓰기’ 같은 오류를 생성한 것으로 보인다. (2ㄷ~ㅈ)은 엄밀히 말해 ‘계, 례, 몌, 폐, 혜’의 ‘ㅖ’가 ‘ㅔ’로 발음되더라도 ‘예’로 표기하고, ‘의’나 자음을 첫소리로 가지고 있는 음절의 ‘ㅢ’가 ‘ㅣ’로 발음되더라도 ‘의’로 표기하는 규정과 관련이 없다고 할 수도 있다. 그럼에도 오류의 동인과 형태적 유사성을 고려하여 교육의 수월성과 편이성 측면에서 모음 규정에 포함하여 다루었다.
다음으로 6회의 오류가 나타난 구개음화 조항을 살펴보기로 한다. 규정에서는 받침 ‘ㄷ, ㅌ’ 뒤에 종속적 관계를 가진 ‘-이’나 ‘-히’가 올 때라고 조건 환경을 설명한다. 이때 종속적 관계란 선행 요소와 후행 요소의 문법적 지위가 대등하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받침 ‘ㄷ, ㅌ’ 뒤에 놓이는 요소가 접사, 조사 같은 문법 형태소임을 의미한다. 즉, 구개음화는 어휘 형태소와 문법 형태소의 경계에서 발생하며 규정에서는 이것을 종속적 관계로 설명한 것이다.8) 학생들에게서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견되었다.
  • (3) ㄱ. 내가 군대에 부정적인 생각을 갖는 이유 중 하나는 20대 초반에 거의 2년에 가까운 청춘의 황금기를 구지 낭비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지금 생각해 보면 구지 재검을 고집하면서까지 군대에 갈 필요가 있었나 싶다.

  • ㄴ. 군대에서 아프니까 청춘이다를 선물로 받고는 내가 이걸 구지 읽어야 되나 생각했다.

  • ㄷ. 친구로 지내자는 그 말을 고지곧대로 믿는 바보는 없을 것이다.

  • ㄹ. 인내하며 어두운 터널을 지나면 어느새 구름이 거쳐 있는 맑은 하늘을 보게 될 것이다.

(3ㄱ, ㄴ)은 같은 학생에게서 반복된 오류로, 개인의 오류를 전체로 일반화하기는 어려우나 인터넷 게시판에서도 ‘구지’라는 형태를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3ㄷ)은 ‘곧이곧대로(←고지곧대로)’, (3ㄹ)은 ‘걷혀(←거쳐)’로 표기해야 한다. 치조음 ‘ㄷ, ㅌ’은 경구개 앞의 윗잇몸에서 기류가 장애를 받아 발음되는데, 모음 ‘ㅣ’와 만나면 모음 ‘ㅣ’의 조음 위치로 동화되어 경구개음 ‘ㅈ, ㅊ’으로 발음된다. 따라서 구개음화는 경구개음화이며, 같은 조음 위치의 음운을 연속해서 발음하는 것이 힘이 덜 들기 때문에 발음의 편이를 위한 노력 경제 현상으로 볼 수 있다. 단어 표기는 본래의 기본형을 밝혀 적어야 하므로 구개음화도 형태주의 표기를 보여주며, 발음이 표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단어 ‘굳-’, ‘곧-’, ‘걷-’의 기본형을 염두에 둔다면 문법 형태소가 결합한 ‘굳-이’, ‘곧-이’, ‘걷-히’를 사용할 수 있으며 ‘구-지’, ‘고-지’, ‘거-치’ 등은 존재하지 않는다. 만약 발음대로 ‘구지’, ‘고지’, ‘거치’와 같이 표기하는 경우에는 글을 읽을 때 ‘굳-’, ‘곧-’, ‘걷-’을 복원하는 데 시간이 더 걸리고 의미 파악이 즉각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어 가독성이 떨어진다.
다음으로 5회의 오류가 나타난 된소리 조항을 살펴보기로 한다.
  • (4) ㄱ. 1학년 1학기부터 수업에 빠지기 일수였고 부끄럽게도 학사경고라는 성적표를 받았다.

  • ㄴ. 취리히로 가는 기차 안에서 앞뒤 좌석을 다 차지하고 큰 소리로 떠드는 두 명의 한국인 여행객 때문에 눈쌀이 찌푸려졌다.

  • ㄷ. 지금 와서 생각해 보면 유치하게 그런 고백을 했던 것이 참으로 쑥쓰럽고 민망하다.

  • ㄹ. 사람이 죽으면 그제서야 난리법썩 요란을 떨지만 그것도 잠시뿐, 건설현장에서는 많은 가장들이 오늘도 목숨을 담보로 일을 한다.

  • ㅁ. 볼품 없이 납짝하게 생긴 빵이었는데 아무것도 들어 있지 않았지만 씹을수록 깊은 단맛이 났다.

(4ㄱ~ㅁ)은 ‘일쑤(←일수)’, ‘눈살(←눈쌀)’, ‘쑥스럽고(←쑥쓰럽고)’, ‘난리법석(←난리법썩)’, ‘납작하게(←납짝하게)’로 표기해야 한다. 규정에 따르면 한 단어 안에서 뚜렷한 까닭 없이 나는 된소리는 다음 음절의 첫소리를 된소리로 적는다. 규정집에 있는 용례를 보면 이때의 ‘한 단어’는 단일어를 의미한다. 즉, 단일어 안의 두 모음 사이에서 나는 된소리, 받침 ‘ㄴ, ㄹ, ㅁ, ㅇ’ 뒤에서 나는 된소리는 본래 된소리로 발음되는 조건 환경이 아니며 [일수]와 [일쑤]처럼 같은 조건 환경에서도 된소리 외의 소리로도 발음된다. 그러므로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한다. (4ㄱ) ‘일쑤’가 여기에 해당한다. 이와 달리 받침 ‘ㄱ, ㅂ’ 뒤에서 나는 된소리는 본래 된소리로 발음되는 규칙적인 조건 환경이므로 발음이 예측 가능하다는 점에서 형태를 밝혀 적는 것이 이점이 있다. (4ㄷ~ㅁ) ‘쑥스럽다’, ‘난리법석’, ‘납작’이 여기에 해당한다. (4ㄴ)의 ‘눈살’은 ‘눈’과 ‘살’의 합성어로 볼 수 있어 규정의 ‘한 단어’에 들지 않는다. 같은 예로 ‘눈곱’이 있다.

4.2 형태에 관한 것

제4장 형태에 관한 것의 오류 횟수는 합성어 및 접두사가 붙은 말(30회), 준말(29회), 접미사가 붙어서 된 말(14회), 어간과 어미(13회) 순으로 나타났고, 제1절 체언과 조사에서는 각각의 원형을 바르게 적어 오류가 나타나지 않았다.9) 체언과 조사를 구별하지 않고 ‘꼬츨’, ‘꼰만’이라고 발음대로 표기하면 ‘꼬’와 ‘꼰’으로부터 같은 단어 ‘꽃’을 인식해야 하므로 문장의 의미를 해득하는 데 불편함이 생긴다. 실질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꽃’은 문법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조사와 결합할 때 ‘꽃’이라는 형태를 고정해서 적어야 [꼬치], [꼳또], [꼰만]으로 발음이 달라지더라도 ‘꽃’이라는 공통된 한 단어를 빠르고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30회로 가장 많은 오류가 나타난 ‘합성어 및 접두사가 붙은 말’ 안에는 <한글 맞춤법>의 아킬레스건으로 꼽히는 사이시옷 규정이 있다. 실제로 학생들의 글에서 사이시옷을 적거나 적지 않아서 생기는 다음과 같은 오류가 관찰되었다.
  • (5) ㄱ. 과자값은 점점 오르는데 중량은 점점 줄어든다.

  • ㄴ. 여름 무는 쓴맛이 강해 무국을 끓이면 개운하고 시원한 맛이 덜하다.

  • ㄷ. 외도와 해금강을 보기 위해 배를 탔는데 이동하는 중에 배멀미가 났다.

  • ㄹ. 풀체인지 때마다 차값을 쓸쩍 올리고는 ‘사실상 인하’라고 둘러댄다.

  • ㅁ. 어제밤부터 오늘 새벽까지 강원도 홍천에는 별똥별이 쏟아져 내렸다.

  • ㅂ. 고양이, 삵, 치타, 표범, 호랑이 모두 고양이과에 속하는 동물이다.

  • ㅅ. 한국어로 자주 사용하는 관용어는 동사가 없어도 “웬 김치국이야.”처럼 표현이 가능하다.

  • ㅇ. 주인 할머니는 손님들에게 공기밥을 가득 주시면서도 돈을 받지 않으셨다.

  • ㅈ. 외국인들이 한국어를 배울 때 어려워하는 것 중 하나가 바로 존대말이다.

  • ㅊ. 담배 생각이 날 때마다 담배값에 해당하는 돈을 저금통에 넣고, 대신 진한 커피를 마신다.

  • ㅋ. 그러니 사람은 나이값을 해야 어느 곳에서든지 무시당하지 않는다.

  • ㅌ. 실패 없는 도서 구입을 위해서는 목차와 머릿말을 살펴보는 것이 도움이 된다.

  • ㅍ. 환영행사 후에 뒷풀이가 늦게 끝나는 바람에 막차를 놓치고 말았다.

  • ㅎ. 은행 금리의 영향으로 인해 서울에서 전셋집을 구하기가 쉽지 않다.

(5ㄱ~ㅋ)은 선행 요소의 받침으로 사이시옷을 적지 않아서 생긴 오류이고 (5ㅌ~ㅎ)은 사이시옷을 적어서 생긴 오류이다. (5ㄱ~ㅎ)은 ‘과잣값(←과자값)’, ‘뭇국(←무국)’, 뱃멀미(←배멀미)’, ‘찻값(←차값)’,10) ‘어젯밤(←어제밤)’, ‘고양잇과(←고양이과)’, ‘김칫국(←김치국)’, ‘공깃밥(←공기밥)’, ‘존댓말(←존대말)’, ‘담뱃값(←담배값)’, ‘나잇값(←나이값)’, ‘머리말(←머릿말)’, ‘뒤풀이(←뒷풀이)’,11) ‘전세집(←전셋집)’으로 표기해야 한다. 이러한 오류의 원인 중 하나는 규정과 언중 사이의 괴리라고 할 수 있다. ‘과잣값’, ‘찻값’, ‘공깃밥’, ‘나잇값’ 등만 보더라도 한국어 모어 화자에게 매우 생소한 형태로 인식되며, 사이시옷이 없는 형태가 오히려 눈에 익고 훨씬 더 자연스럽게 여겨진다.
규정 자체의 제약과 까다로움도 오류의 원인 중 하나이다. 사이시옷 규정은 합성어에 적용되며 합성어 ‘A+B’에서 ‘A’가 모음으로 끝나야 한다. 동시에 ‘A+B’에서 하나가 반드시 고유어여야 한다. 사이시옷을 적어야 하는 기준은 다음과 같다. 첫째,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날 때 사이시옷을 적는다. 둘째, 뒷말의 첫소리 ‘ㄴ, ㅁ’ 앞에서 ‘ㄴ’ 소리가 날 때 사이시옷을 적는다. 셋째,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 ㄴ’ 소리가 날 때 사이시옷을 적는다. 이 규정을 정리하면, 고유어가 하나 이상 결합한 합성명사 ‘A+B’의 구조에서 ‘A’가 모음으로 끝나면서 ‘B’의 첫소리가 예사소리에서 된소리로 발음되거나 ‘A’와 ‘B’ 사이에 [ㄴ] 또는 [ㄴㄴ]이 첨가될 때 ‘A’의 받침에 사이시옷을 적는다.
흥미로운 점은 본 연구에서 수집한 학생들의 글을 살펴본 결과, 첫째 기준에 해당하는 오류가 다른 기준의 오류에 비해 월등히 많이 나타났다는 것이다. 따라서 수업을 진행할 때 첫째 기준에 좀 더 많은 분량을 할애하되 첫째, 둘째, 셋째 기준을 차례로 설명하면서 고빈도의 일상어 위주로 예를 제시해야 한다.12) 특히 사이시옷을 적는 것이 어색하지만 사이시옷을 반드시 적어야 하는 단어의 유형을 제시하고 단어의 구조를 설명하면 도움이 된다.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6) ㄱ. X+값: 나잇값, 담뱃값, 전셋값, 절댓값, 최댓값, 최솟값, 죗값, 찻값

  • ㄴ. X+과: 고양잇과, 멸칫과, 개밋과, 꽁칫과, 꽃겟과, 날칫과, 넙칫과, 갯과

  • ㄷ. X+국: 만둣국, 순댓국, 선짓국, 북엇국, 배춧국, 김칫국, 조갯국, 뭇국

  • ㄹ. X+길: 고갯길, 귀갓길, 기찻길, 등굣길, 하굣길, 혼삿길, 찻길, 뱃길

  • ㅁ. X+빛: 우윳빛, 장밋빛, 구릿빛, 보랏빛, 연둣빛, 자줏빛, 핏빛, 햇빛

  • ㅂ. X+집: 맥줏집, 국숫집, 소줏집, 부잣집, 고깃집, 건넛집, 독챗집, 횟집

사이시옷 규정의 문제는 다섯 가지로 다음과 같다. 첫째, 표준 발음을 잘 몰라 사이시옷을 적을지 말지 판단이 어렵다. 일례로 ‘김치값’은 사전에 등재되지는 않았지만 같은 구조인 김장값, 양념값, 물값, 밥값, 약값 등이 사전에 등재되어 있어 ‘김치 값’이 아닌 ‘김치값’으로 사용해도 틀리다고 할 수만은 없을 것이다. 그러나 정작 문제는 ‘김치값’의 표준 발음을 몰라 ‘김칫값’으로 적어야 할지 ‘김치값’으로 적어야 할지 알 수 없다는 데 있다. ‘값’을 [갑]이라고 발음하는 사람을 기준으로 한다면 ‘김치값’이라고 적어야 할 것이고, ‘값’을 [깝]이라고 발음하는 사람을 기준으로 한다면 ‘김칫값’이라고 다르게 적어야 할 것이다. 둘째, 고민하는 대상이 합성어인지 아닌지 판단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일례로 ‘윗부분’이 합성어라면 ‘윗부분’으로 적을 수 있으나, 단어가 아닌 구라면 ‘위 부분’으로 적어야 한다. ‘거리에 있는 집’은 ‘거리(의) 집’으로 띄어쓰기해야 할 듯하지만 사이시옷이 표기된 ‘거릿집’이 합성어로 사전에 등재되어 있다. 셋째, 어떤 대상이 한자어인지 아닌지 판단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일례로 ‘전세방’, ‘아랫방’, ‘전셋집’이 그러한데, 전세방은 ‘전세(傳貰)’와 ‘방(房)’의 합성어로 한자어+한자어이기 때문에 사이시옷을 적지 않는다. 반면에 ‘아랫방’은 ‘아래’가 고유어이고 ‘방(房)’은 한자어이기 때문에 사이시옷을 적고, ‘전셋집’은 ‘전세(傳貰)’가 한자어이고 ‘집’은 고유어이기 때문에 사이시옷을 적는다. 넷째, 순환론적 설명이 나타난다. 왜 된소리로 발음되는지 물으면 사이시옷이 있기 때문이라고 대답하고, 왜 사이시옷이 있는지 물으면 된소리로 발음되기 때문이라고 대답하기 때문이다. 다섯째, 어종에 따라 규정이 적용되어 한자어+한자어 구조의 합성어는 사이시옷을 적지 않는다. 그러나 2음절 한자어 6개는 예외적으로 사이시옷을 적어야 한다.
결국, 사이시옷이 있거나 없는 두 형태 모두를 복수 표준어로 인정하거나 한자어 여부에 관계없이 규정을 일관되게 적용하도록 개정하는 등의 처리가 합당할 것이다.13) 다만, 규정이란 본래 보수성을 띠는 데다가 사이시옷 규정의 변화에 따른 파급을 고려하면 선뜻 결정하기가 쉽지 않을 수 있다. 최형용(2017)에 따르면 사이시옷은 한자어+고유어의 경우 정확도가 현저히 낮고, 음절 수가 증가할 경우 정확도가 떨어지는 경향을 보이며, 전문 용어에서 정확도가 현저히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음으로 29회의 오류가 나타난 준말을 살펴보기로 한다. 준말에 대한 규정은 32항부터 40항까지이며, 음운의 축약이나 탈락으로 인한 음절 수 감소라는 공통된 특징을 띤다. 이 중 33항은 체언과 조사를 줄여 쓰는 규정으로 주로 구어, 비의례적 상황, 비격식체 등에 사용된다.14) 가장 많은 오류는 제35항 붙임2, 제40항 붙임2와 관련된 내용이었으며, 그 외의 다른 오류도 함께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7) ㄱ. 얼만큼 시간이 걸리는지, 어느 부분에 집중해야 하는지 정확히 알고 실행에 옮깁니다.

  • ㄴ. 사겼다가 헤어졌다를 여러 번 반복하니 사소한 다툼에도 헤어지자는 말이 쉽게 나왔다.

  • ㄷ. 미련을 갖으니까 결국 매번 고통스럽고 힘든 것은 상대가 아닌 나였다.

  • ㄹ. 한발 내딛었다고 생각했지만, 더욱더 견고한 벽이 나를 기다리고 있었다.

  • ㅁ. 조원들 간에 의견 차이가 심해 설계과정을 놓고 어떻할지 몰라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 ㅂ. 너무 화가 나서 그 얘기를 남에게 함부로 말하면 어떻하냐고 따졌지만 답이 없었다.

  • ㅅ. 특성화고를 졸업하고 대학에 입학하니 전공 과목을 따라가기가 녹록치 않았다.

  • ㅇ. 봉사 일에 익숙치가 않아서 처음에는 뭘 해야할지 모른 채 허둥지둥댔다.

  • ㅈ. 현장 업무에 익숙치 않기에 입사 후 1년은 공정 방식 이해 및 업무 파악에 집중하겠습니다.

  • ㅊ. 어떤 일도 서슴치 않는 적극적이고 전투적인 캐릭터이다.

  • ㅋ. 인터넷 연결이 갑자기 되서 정시에 과제를 올리지 못했다.

  • ㅌ. 일이 고되서가 아니라 사람들의 무시와 하대 때문에 상처를 많이 받았다.

  • ㅍ.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이들이 매우 많음을 알게 됬습니다.

  • ㅎ. 부모님께서는 항상 배려하고 나누는 사람이 먼저 라고 말씀하셨습니다.

(7ㄱ~ㅎ)은 ‘얼마큼(←얼만큼)’, ‘사귀었다가(←사겼다가)’, ‘가지니까(←갖으니까)’, ‘내디뎠다고(←내딛었다고)’, ‘어떡할지/어떻게 할지(←어떻할지)’, 어떡하냐고/어떻게 하냐고(←어떻하냐고)’, ‘녹록지(←녹록치)’, ‘익숙지(←익숙치)’, ‘서슴지(←서슴치)’, ‘안 되어서/안 돼서(←안 돼서)’, ‘고되어서/고돼서(←고되서)’, ‘됐습니다/되었습니다(←됬습니다)’, ‘되라고(←돼라고)’로 표기한다.
(7ㄱ)의 ‘얼만큼’은 명사 ‘얼마’와 조사 ‘만큼’의 결합인 ‘얼마만큼’의 준말이므로 33항의 오류로 다루고자 한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얼마큼’의 내부 구조를 ‘얼-마큼’으로 분석하고 있다. 그러나 ‘얼마만큼’에서 어떤 과정을 거쳐 ‘얼마큼’이 되었는지는 설명하기 어렵다. 다른 준말과 비교하여 첫째, ‘얼마’에서 ‘마’의 ‘ㅏ’가 탈락하는 경우, 둘째, 실질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얼마’는 그대로 있고 동음 중첩으로 인해 후행 음절 ‘만’의 ‘ㅏ’가 탈락한 뒤 남아 있는 받침 ‘ㄴ’을 선행 음절의 받침으로 적는 경우, 셋째, ‘만큼’에서 ‘만’의 ‘마’가 탈락하는 경우를 모두 상정해 보더라도 결과는 ‘얼만큼’이 된다. 언중의 직관도 ‘얼만큼’에 기울어 있다.15) 마지막으로 실사인 명사 ‘얼마’의 일부 성분이 탈락하는 것보다 허사인 조사 ‘만큼’의 일부 성분이 탈락하는 것이 좀 더 자연스럽다고 생각해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만’이 완전히 탈락하면 ‘얼마큼’이 된다. 그렇다 하더라도 어째서 조사의 한 음절이 통째로 탈락할 수 있는지는 설명되지 않으며, ‘얼마’에서 ‘얼’이 되는 과정도 공시 문법 안에서는 설명이 어렵다. 더욱이 사전처럼 ‘얼-마큼’이라고 분석하면 ‘마큼’의 문법적 지위는 무엇인지도 명쾌하게 답할 수 없다. 결국, 본말 ‘얼마만큼’과 준말 ‘얼마큼’의 관계는 33항에 있는 다른 용례의 본말과 준말의 관계를 참고하더라도 잘 설명이 되지 않는다.
(7ㄴ)의 ‘사겼다’ 외에도 동일한 유형의 오류인 ‘바꼈다’가 글에서 발견되었다. 이 유형은 규정에는 없으나 ‘ㅟ’와 ‘ㅓ’가 축약되는 환경에서 현실 발음에 이끌려 ‘ㅕ’로 잘못 표기하는 오류이므로 조건과 동기 면에서 준말 규정 34항~38항과 맥을 같이한다. 그러므로 준말 규정 내에서 함께 다루는 것이 합리적이다. 중세 국어와 달리 현대 국어에는 ‘ㅟ’와 ‘ㅓ’가 합쳐진 ‘ᅟᅾ’라는 모음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ㅟ’와 ‘ㅓ’를 줄여 쓸 방도가 없다. ‘사귀었다’, ‘바뀌었다’에서 연속되는 모음 ‘ㅟ’와 ‘ㅓ’를 한 음절로 발음하는 것이 자연스럽지만 표기는 ‘ㅟ’와 ‘ㅓ’ 두 음절로 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는 표기 규약과 현실 발음이 다른 차원의 문제임을 보여준다.
(7ㄷ, ㄹ)은 준말의 활용으로 인한 오류이다. 본말 ‘가지다’는 ‘-(으)니까’와 결합하여 ‘가지니까’가 허용되는 것과 달리 준말 ‘갖다’는 ‘-(으)니까’와 결합하여 ‘갖으니까’가 허용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본말 ‘내디디다’는 ‘내디디-었-다→내디뎠다’가 허용되는 것과 달리 준말 ‘내딛다’는 ‘내딛-었-다→내딛었다’가 허용되지 않는다. 어떤 준말들은 모음 어미가 연결되는 활용형이 인정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하여 <표준어 규정> 제16항은 ‘머무르다-머물다’, ‘서두르다-서둘다’, ‘서투르다-서툴다’에서 모음 어미가 연결될 때 준말의 활용형을 인정하지 않는다고 명시하고 있다. 비록 모든 준말에 다 적용되는 것은 아니기에 완전히 일반화하기는 어렵지만, 준말의 활용 오류가 자주 나타나는 (7ㄷ, ㄹ)과 같은 형태에 대해서만큼은 모음 어미가 연결될 수 없음을 설명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7ㅁ, ㅂ)은 인터넷 게시판에서도 발견되는 오류 중 하나로, 학생들의 글에서는 5회의 오류가 발견되었다. 오류 표현인 ‘어떻할지’는 ‘어떡할지’ 또는 ‘어떻게 할지’로 써야 하고 ‘어떻하냐고’도 ‘어떡하냐고’ 또는 ‘어떻게 하냐고’로 써야 한다. ‘어떻해’도 ‘어떡해’ 또는 ‘어떻게 해’로 써야 한다. 여기에서 ‘어떻게’는 부사이므로 동사 서술어 앞에 놓인다. 제40항 붙임1에서 ‘ㅎ’이 어간의 끝소리로 굳어진 것은 받침으로 적는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에 본말 ‘어떠하다/어떠하고/어떠하지/어떠하든지’를 준말 ‘어떻다/어떻고/어떻지/어떻든지’로 적는 것이다. 그런데 ‘어떡하다/어떡하고/어떡하지/어떡하든지’는 본말에서 활용한 형태라는 점을 주의해야 한다. ‘어떠하게 하다/어떠하게 하고/어떠하게 하지/어떠하게 하든지’가 줄어서 된 것이기 때문이다. 헷갈리지 않도록 이들의 관계를 정리하면 <표 4>와 같다.
<표 4>
본말 ‘어떠하다’와 준말 ‘어떻다’의 관계
본말 준말 본말 준말
어떠하다 어떻다 어떠하게 하다 어떻게 하다 = 어떡하다
어떠하고 어떻고 어떠하게 하고 어떻게 하고 = 어떡하고
어떠하지 어떻지 어떠하게 하지 어떻게 하지 = 어떡하지
어떠하든지 어떻든지 어떠하게 하든지 어떻게 하든지 = 어떡하든지
<표 4>에서 본말 ‘어떠하-’는 준말 ‘어떻-’이 되고, 본말 ‘어떠하게’는 준말 ‘어떻게’가 된다. 이제 ‘어떻해’가 오류인 이유도 명확하게 설명할 수 있다. 준말 ‘어떻-’은 본말 ‘어떠하-’이고 제34항 붙임2에서 준말 ‘해’는 본말 ‘하여’이기 때문에 ‘어떻해’를 풀어 쓰면 ‘어떠하하여’가 되고 만다.
(7ㅅ~ㅊ)은 제40항 붙임2에 해당하는 규정으로, ‘-지 않-’으로 적느냐 ‘-치 않-’으로 적느냐는 본말인 ‘-하지 않-’에서 ‘하’가 통째로 줄어드느냐 ‘하’의 ‘ㅏ’만 줄어드느냐 하는 것과 관련된다. ‘하’ 앞의 음절이 유성음, 즉 모음으로 끝나거나 받침이 ‘ㄴ, ㄹ, ㅁ, ㅇ’일 때는 ‘ㅏ’만 줄어들어 ‘ㅎ’과 ‘-지’가 만나 ‘-치’가 되고, 그 외에는 ‘하’가 통째로 줄어들어 ‘-지’가 된다. 여기에 해당하는 용례를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겠다. ‘녹록하다’는 ‘하’ 앞의 음절 ‘록’의 받침이 ‘ㄱ’이기 때문에 ‘하’가 통째로 줄어들어 ‘녹록지 않다’가 된다. ‘익숙하다’도 ‘하’ 앞의 음절 ‘숙’의 받침이 ‘ㄱ’이기 때문에 ‘하’가 통째로 줄어들어 ‘익숙지 않다’가 된다. ‘서슴다’는 본래 ‘하’가 없으므로 ‘-지 않-’이 결합하여 ‘서슴지 않다’가 된다. 이 외에도 ‘심상치 않다’가 있었는데, ‘심상하다’는 ‘하’ 앞의 음절 ‘상’의 받침이 ‘ㅇ’이기 때문에 ‘하’의 ‘ㅏ’만 줄어들어 ‘심상ㅎ-지 않-’이 되고 ‘ㅎ’과 ‘-지’가 결합하여 ‘심상치 않다’가 된다. 그리고 이렇게 줄어든 형태는 ‘녹록잖다’, ‘익숙잖다’, ‘서슴잖다’, ‘심상찮다’로도 쓸 수 있다. 이상의 내용을 정리하면 <표 5>와 같다.
<표 5>
‘-치 않-’과 ‘-지 않-’의 비교
조건과 결과 본말 부정 표지 준말(-지/치 않-) 준말(-잖/찮-)
‘하’ 앞의 음절이 모음 또는 받침 ‘ㄴ, ㄹ, ㅁ, ㅇ’일 때 ‘하’의 ‘ㅏ’만 줄어듦 심상하다 -지 않- 심상치 않다 = 심상찮다
우연하다 우연치 않다 = 우연찮다
변변하다 변변치 않다 = 변변찮다
그 외에는 ‘하’가 통째로 줄어듦 익숙하다 익숙지 않다 = 익숙잖다
녹록하다 녹록지 않다 = 녹록잖다
넉넉하다 넉넉지 않다 = 넉넉잖다
생각하다 생각지 않다 = 생각잖다
섭섭하다 섭섭지 않다 = 섭섭잖다
서슴다 서슴지 않다 = 서슴잖다
(7ㅋ~ㅎ)은 제35항 붙임2의 ‘되’와 ‘돼(=되어)’를 올바르게 적기 위한 규정과 관련이 있다. 학생들에게서 나타나는 흔한 오류 중 하나가 ‘돼/되어’를 써야 하는 자리에 ‘되’를 쓰는 것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인터넷에 있는 맞춤법 관련 글이나 맞춤법 서적에서 ‘하-’가 어울리면 ‘되-’를 쓰고, ‘해’가 어울리면 ‘돼’를 쓰는 방법이 소개되고 있다. 이는 ‘하-’와 ‘되-’가 동일하게 어간이고 ‘해’와 ‘돼’가 동일하게 어간과 어미가 결합한 서술어이므로 분포(distribution)가 같다는 점을 이용한 방법이다. (7ㅋ) ‘안 되서’의 ‘되-’ 대신에 ‘하-’를 넣어 보면 ‘안 하서’가 되므로 ‘되-’로 쓸 수 없고 ‘돼’로 써야 한다. 이 방법을 (7ㅌ) ‘고되서’에 적용해 보면 ‘고하서’ 또는 ‘고해서’가 되는데, ‘-하서’는 존재하지 않고 ‘-해서’만 존재하므로 ‘고돼서(=고되어서)’로 써야 한다.
한국어는 용언이 활용할 때 반드시 어간 뒤에 어미가 있어야 한다. 어간만 있다면 “*제니가 밥을 먹.”, “*나는 너무 심심하.”와 같은 비문이 된다. 또한, 어간 뒤에 어미 없이 조사가 바로 붙어도 “*제니가 밥을 먹요.”, “*나는 너무 심심하요.”와 같은 비문이 된다. 그러므로 한국어 문장에서 서술어는 반드시 어간 뒤에 어미가 있어야 한다.16) 이러한 기본 원리를 바탕으로 ‘되요’와 ‘돼요’를 비교해 보면 ‘되-어간+-요조사’, ‘돼(되-어간+-어-어미)+-요조사’처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요’가 붙는 경우에 항상 ‘돼요(되어요)’로 써야 하며 ‘봬요(뵈어요)’도 마찬가지이다.
다음으로 14회의 오류가 나타난 접미사가 붙어서 된 말을 살펴보기로 한다. 제4장 형태에 관한 것의 내용을 살펴보면 복합어에서 본뜻이 유지되면 원형을 밝혀 적고, 본뜻이 유지되지 않으면 원형을 밝혀 적지 않는다는 중요한 원리를 확인할 수 있다. 어원이 분명하지 않은 것도 결국에는 본뜻이 유지되지 않는 것이므로 여기에 포함된다. 이러한 내용을 국어학적으로는 어휘화(lexicalization)로 볼 수 있다. 파생어가 어근과 독자적인 변화를 겪어 어근과 파생어 사이의 관계가 파생 관계로 분명하게 드러나지 않아 공시적으로 분석이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이 원리가 잘 드러나 있는 조항이 바로 제2절 어간과 어미의 제15항과 제3절 접미사가 붙어서 된 말의 제19항, 제20항, 제21항, 제22항, 제23항이다.
  • (8) ㄱ. 평생 모은 수백 억을 기부하여 빈털털이가 됐지만 이보다 더 행복할 수 없다는 말에 저절로 고개가 숙여졌다.

  • ㄴ. 오뚜기처럼 다시 일어난 저는 작은 것에도 감사하고 긍정하며, 나눔을 실천할 수 있는 사람으로 바뀔 수 있었습니다.

  • ㄷ. 매일 야식을 먹었고 2달 후에 역대급 몸무게와 함께 얼굴까지 넙적해졌다.

  • ㄹ. 편지를 붙일 일도 보낼 사람도 없어진 지금, 나는 옛날이 많이 그립다.

  • ㅁ. 게다가 하늘은 먹구름으로 완전히 덮혀 있어, 금방이라도 소나기가 내릴 것 같았다.

  • ㅂ. 번번히 신세를 지다 보니 어느새 마음의 빚이 눈덩이처럼 불어났다.

  • ㅅ. 곰곰히 생각해 보니 크게 손해는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 ㅇ. 깨끗히 사용하겠지 믿고 내어주었는데, 돌아와서 보니 온 집안에 벌레와 개미가 바글바글했다.

  • ㅈ. 할아버지는 항상 손자를 끔찍히 아끼는 분이셨다.

  • ㅊ. 가게를 방문하는 모든 고객의 성함, 요구 조건, 주문 내용, 선호 패션을 틈틈히 숙지하고 문서화했습니다.

(8ㄱ~ㅊ)은 ‘빈털터리(←’빈털털이)’, ‘오뚝이(←오뚜기)’, ‘넓적해졌다(←넙적해졌다)’, ‘부칠(←붙일)’, ‘덮여(←덮혀)’, ‘번번이(←번번히)’, ‘곰곰이(←곰곰히)’, ‘끔찍이(←끔찍히)’, ‘틈틈이(←틈틈히)’로 표기한다. 부사 ‘X+이/히’ 문제를 다루고 있는 제25항 규정과 제51항 규정은 묶어서 가르칠 수 있으며, 제54항도 접미사가 결합한 파생어에서 접미사를 된소리로 적는 규정이므로 제3절과 묶어서 가르칠 수 있다.
(8ㄱ)의 ‘빈털털이’는 ‘[빈[털털-이]]’ 또는 ‘[빈-털털[-이]]’ 정도로 내부 구조를 분석하여 가진 것이 아무것도 없는 사람을 지칭한다고 생각할 수 있으나 ‘털털이’와 ‘털터리’는 별개의 단어로 (8ㄱ)에 맞는 표기는 ‘털터리’와 같은 뜻을 지닌 ‘빈털터리’이다. ‘털털’에 ‘-이’가 결합하였다면 제19항의 원칙에 따라 원형을 밝혀 적는 것이 옳지만 ‘-이’가 결합하여 명사가 되었더라도 어근이 본래의 의미와 멀어졌다면 원형을 밝히지 않고 소리 나는 대로 적는다는 규정이 적용된다. ‘털털’의 본래 의미가 유지되지 않고 다른 의미를 나타내므로 ‘털털이’가 아니라 ‘털터리’로 적는 것이다. 여기에 ‘빈’이 결합한 것이 바로 ‘빈털터리’이다. ‘빈집털이’의 ‘털이’와 음운적, 형태적 유사성이 있어 그 영향을 받아 ‘빈털털이’라고 썼을 수도 있다.
(8ㄴ)의 ‘오뚜기’는 ‘오뚝’에 ‘-이’가 결합하여 명사가 된 것이므로 제23항 ‘-하다’나 ‘-거리다’가 붙는 어근에 ‘-이’가 붙어서 명사가 된 것은 원형을 밝혀 적는다는 규정에 따라 ‘오뚝이’로 표기한다. 해당 규정과 관련한 표기 오류는 ‘오뚜기’가 유일하여 오류의 원인을 기업 이름과 관련지어 추측할 수 있다.
(8ㄷ)의 ‘넙적해졌다’는 제21항에 따라 어근 ‘넙적’ 뒤에 자음으로 시작되는 접미사 ‘-하-’가 결합한 것이기 때문에 어근의 원형을 밝혀 적는다. 학생들의 글에서 발견된 ‘넓적하다’, ‘넓죽하다’를 ‘넙적하다’, ‘넙죽하다’로 쓴 오류는 ‘넙적하다1’, ‘납작하다’, ‘널찍하다’, ‘널따랗다’, ‘넙데데하다’ 등과 관련이 있다고 여겨진다. 이들 단어 모두 형태적으로 유사성을 띠는 데다가 특히 ‘널찍하다’, ‘널따랗다’, ‘넙데데하다’는 ‘넓-’과도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다섯 단어 모두 원형을 밝히지 않고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한다. 이는 제21항의 단서 조항인 겹받침의 끝소리가 드러나지 않는 것은 소리 나는 대로 적는다는 규정에 따른 것이다.17)
(8ㄹ)의 ‘(편지를) 붙일’은 제22항의 단서 조항에 따라 본뜻에서 멀어진 것이기 때문에 원형을 밝혀 적지 않고 ‘(편지를) 부칠’이라고 소리 나는 대로 적는다. ‘붙이-’는 한 면과 한 면이 맞닿아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는 의미이고 ‘부치-’는 일정한 수단이나 방법을 써서 상대에게로 보낸다는 의미이므로 둘을 구별하여 적을 필요가 있다. 본래 ‘붙-’에서 파생된 단어이더라도 파생어 형성 후에 의미 변화를 겪어 본래의 어근 ‘붙-’과의 관련성을 잃었기 때문에 형태를 밝혀 적을 필요가 없는 것이다. ‘붙이다’와 ‘부치다’는 제57항에 다시 등장한다.
(8ㅁ)은 항상 [더펴]로 발음되어 ‘덮혀’로 표기하기 때문에 생기는 오류이다. 피동사를 만들 때 능동사의 어근 받침이 ‘ㄱ, ㄷ, ㅂ, ㅈ, ㄵ, ㄺ, ㄼ’이면 ‘-히-’가 결합하고 ‘ㄲ, ㅎ, ㅍ, ㅌ, ㄾ’이면 ‘-이-’가 결합한다(김홍석, 2008). 동사 ‘덮-’은 항상 ‘-이-’만 결합하므로 발음과 상관없이 ‘덮이-’가 올바른 표기라는 점만 생각하면 틀리지 않는다. 따라서 ‘덮여 있다’가 맞고 ‘눈 덮인’이 맞다.
(8ㅂ~ㅊ)은 사이시옷 규정과 더불어 합리적이지 않다고 여겨지는 ‘이/히’로 끝나는 부사 규정과 관련이 있다. 제51항과 결부하여 말하면 부사의 끝음절 발음이 [이]로만 나는지, [히]로만 나는지, [이]나 [히]로 나는지가 중요하고, 이러한 발음의 차이가 표기에 반영되므로 학생들에게는 혼란스러운 규정에 속한다. 사람마다 실제 발음에 차이가 있을 뿐만 아니라 명확하게 구별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이’나 ‘히’로 표기하기 위한 조건도 완전하지 않을뿐더러 국어학 전공이 아닌 학생들에게 복잡한 조건을 암기하도록 하는 것이 교육적으로 무용하다고 여겨진다.18) 그러므로 학생들에게서 나타나는 오류를 바로잡을 수 있는 최소한의 설명으로 ‘하다’가 결합할 수 있으면 ‘-히’를 쓰되 ①한 단어나 음절이 반복될 때, ②‘하다’가 결합할 수 없을 때, ③‘하다’가 결합할 수 있지만 받침이 ‘ㅅ’ 또는 ‘ㄱ’일 때 ‘-이’를 쓴다는 조건을 제시한다면 적어도 위의 오류는 피해갈 수 있다. 최선의 방법은 오류가 많이 나타나는 부사를 그 부사가 사용된 문장과 함께 반복해서 보여주는 것이며, 학생들이 사전에서 형태를 직접 확인하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13회의 오류가 나타난 어간과 어미를 살펴보기로 한다. 어간과 어미의 기본 내용은 체언과 조사와 마찬가지로 용언의 어간과 어미를 구별하여 적는다는 데 있다. 두 개의 용언이 결합하여 합성어가 될 때 앞의 용언이 본뜻에서 멀어지면 형태를 밝혀 적지 않고 소리대로 것도 다른 조항과 동일하다. 이 외에도 ‘-오/요/이요’, 모음 조화, 불규칙 활용의 표기 문제를 다룬다.
  • (9) ㄱ. 자신의 불법이 사실로 들어났어도 제대로 사과하는 정치인을 나는 한 번도 보지 못했다.

  • ㄴ. 전세계의 내노라하는 일류 해커들이 모여서 실력을 겨루는 대회이다.

  • ㄷ. 무조건 ‘예!’라고 말할 것이 아니라 소신을 가지고 ‘아니오!’라고 말할 수 있는 용기가 필요하다.

  • ㄹ. 용문산 등반 중에 산이 너무 가파라서 도중에 다리가 풀리고 말았다.

  • ㅁ. 노력과 끈기로 만들어낸 정직한 결과였기에 자랑스런 마음과 뿌듯함이 컸습니다.

  • ㅂ. 365일 변함없이 나를 반겨주는 사랑스런 강아지 덕분에 마음의 위로를 얻을 수 있었다.

  • ㅅ. 과연 의학, 약학, 생명공학 기술의 발전을 한층 더 앞당길런지 지금으로서는 알 수 없다.

  • ㅇ. 합격할 수 있을런지 모르지만 나중에 미련을 갖거나 후회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고 싶다.

  • ㅈ. 믿었던 사람들에게 배신당한 그분들의 마음이 어떨런지 감히 상상조차 하기 어렵다.

(9ㄱ~ㅈ)은 ‘드러났어도(←들어났어도)’, ‘내로라하는(←내노라하는)’, ‘아니요(←아니오)’, ‘가팔라서(←가파라서)’, ‘자랑스러운(←자랑스런)’, ‘사랑스러운(←사랑스런)’, ‘앞당길는지(←앞당길런지)’, ‘있을는지(←있을런지)’, ‘어떨는지(←어떨런지)’로 표기한다. (9ㄱ)의 바른 표기인 ‘드러나다’는 ‘들다’와 ‘나다’가 결합한 합성어이다. 그러나 앞 단어의 본뜻이 ‘들-’의 본뜻에서 멀어졌기 때문에 제15항 붙임1의 내용에 따라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하여 ‘드러나다’가 된다. (9ㄴ)은 ‘내로라하는’으로 써야 하며 ‘내로라’는 중세국어의 ‘나-이-오-다’에서 온 것으로, 계사 ‘-이-’ 뒤에서 선어말 어미 ‘-오-’가 ‘-로-’로 바뀌고 선어말 어미 ‘-오-’ 뒤에서 어미 ‘-다’가 ‘-라’로 바뀌는 현상과 관련이 있다. 즉, ‘나-이-오-다→나-이-로-라→내로라’의 과정을 거친다(임동훈, 1998). 현대 국어에도 계사 ‘-이-’ 뒤에서 ‘-도다’가 ‘-로다’로, ‘-다고’가 ‘-라고’로, ‘-다면’이 ‘-라면’ 등으로 바뀌는 현상이 남아 있다.
(9ㄷ)의 감탄사 ‘아니’ 뒤에 결합한 ‘-요’는 해요체의 청자 존대를 실현하는 보조사이다. 보조사는 분포가 넓어 감탄사에 후행할 수 있다. 이는 ‘예(네)’와 짝을 이루는 단어가 ‘아니요’임을 기억하면 틀리지 않는다. (9ㄹ)의 기본형 ‘가파르다’는 ‘르’ 불규칙 용언이다.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를 만나면 제18항의 규정에 따라 기본형 ‘가파르-’에서 어간의 끝음절 ‘르’의 모음 ‘ㅡ’가 탈락하고 남은 ‘ㄹ’은 앞 음절의 받침으로 이동하며 어미 ‘-아/어’는 ‘-라/러’로 바뀐다. 따라서 ‘가파르-어서→가파ㄹ-라서’가 되는 것이다. 또는 ‘가파르-’의 ‘르’가 ‘-아/어’ 앞에서 ‘ㄹㄹ’로 바뀐다고 설명하기도 한다. (9ㅁ, ㅂ)의 기본형 ‘자랑스럽다’, ‘사랑스럽다’는 ‘ㅂ’ 불규칙 용언이다. 앞서와 마찬가지로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를 만나면 제18항의 규정에 따라 기본형 ‘자랑스럽-’, ‘사랑스럽-’에서 어간의 끝음절 ‘럽-’의 받침 ‘ㅂ’이 ‘ㅜ’로 바뀐다. 따라서 ‘자랑스럽-(으)ㄴ→자랑스러우-(으)ㄴ’, ‘사랑스럽-(으)ㄴ→사랑스러우-(으)ㄴ’이 되는 것이다.
(9ㅅ~ㅈ)은 총 6회의 오류가 나타났는데, ‘-는지’를 발음 나는 대로 ‘-런지’라고 씀으로써 어간과 어미를 구별해서 적어야 하는 15항의 규정을 위반한 오류이다. 어간 ‘앞당기-’, ‘있-’, ‘어떻-’ 뒤에 어미 ‘-ㄹ는지’가 결합하면 ‘앞당길는지’, ‘있을는지’, ‘어떨는지’에 있는 자음의 연쇄 ‘ㄹㄴ’이 ‘ㄹㄹ’로 발음되어 [른지] 또는 [런지]로 현실 발음이 나타난다. 여기에 이끌려 표기도 ‘-런지’로 하지만, 한국어에 ‘-런지’는 없고 오직 ‘-는지’만이 있을 뿐이다.

4.3 그 밖의 것

제6장은 그 밖의 것으로, 오류 횟수는 57항(32회), 56항(25회), 53항(7회), 51항(6회) 순으로 나타났고 52항, 54항, 55항에서는 오류가 나타나지 않았다. 51항은 앞서 25항에서 언급하였기에 제외하고 나머지 조항을 살펴보기로 한다.
3장, 4장, 6장을 통틀어 가장 많은 오류가 나타난 항목은 단어 및 문법 요소 구별로 이름 붙인 57항이다. 학생들의 글에서 ‘늘이다/늘리다’, ‘맞히다/마치다’, ‘반드시/반듯이’, ‘-(으)로서/(으)로써’, ‘-(으)므로/(으)ㅁ으로(써)’의 오류가 고르게 확인되었는데, 제시된 두 형태의 의미가 다르기 때문에 그 차이를 구분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다.
  • (10) ㄱ. 학생 수급이 어려운 대학에서는 유학생 수를 늘여서 정원 미달 문제를 해결하려고 한다.

  • ㄴ. 세계 최하위의 출산율을 기록 중인 우리나라는 출산율을 늘이기 위한 정책이 필수이다.

  • ㄷ. 거의 모든 학생들이 틀렸고 나만 정답을 맞췄다고 생각했지만 대단한 착각이었다.

  • ㄹ. 집으로 오자마자 인터넷 강의 사이트를 통해 가채점한 결과, 수학은 반도 맞추지 못했다.

  • ㅁ. 교환학생 갈 때 반듯이 챙겨야 하는 물건으로 주변에서는 밥솥을 강력 추천했었다.

  • ㅂ. 이루고자 하는 뜻이 분명하게 서 있는 사람은 언젠가는 반듯이 성공한다고 믿는다.

  • ㅅ. 통계는 연구를 위한 도구로써 사용되었다.

  • ㅇ. 언어는 그 자체가 의사소통의 도구로써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 ㅈ. 임파워먼트는 기업 경영의 효율적인 수단으로써 조직의 경영 기법 중 하나이다.

  • ㅊ. 연구방법으로써 양적 연구방법과 질적 연구방법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 ㅋ. 영혼을 살인하는 범죄이기 때문에 사형과 같은 판결로서 처벌해야 한다.

  • ㅌ. 2년 동안 최선을 다해 공부하고 있음으로 공무원 시험에 꼭 합격할 것이다.

  • ㅍ. 어려운 순간순간 하나님을 신뢰하고 의지하므로 환란을 극복하고 신앙을 지켜가고자 한다.

  • ㅎ. 꾸준하고 성실하게 공부하므로 물심양면 지원해주신 부모님의 은혜에 보답할 것이다.

(10ㄱ, ㄴ)은 ‘늘이다/늘리다’의 문제로 총 5회의 오류가 나타났다. 두 단어는 발음과 형태가 유사하기 때문에 혼동하기 쉬우나 의미는 완전히 다르다. ‘늘이다’는 본래보다 길이를 더 길게 한다는 의미이고, ‘늘리다’는 본래보다 넓이, 부피, 비율, 숫자, 분량, 시간 등의 정도를 더 크게(확대) 한다는 의미이다. 이 차이를 알고 문장을 보면 (10ㄱ)의 ‘유학생 수’는 ‘늘려서’로 표기해야 하고 (9ㄴ)의 ‘출산율’도 ‘늘려서’로 표기해야 한다.
(10ㄷ, ㄹ)은 ‘맞히다/맞추다’의 문제로 총 4회의 오류가 나타났는데, 모두 ‘맞히다’라고 써야 하는 상황에서 ‘맞추다’라고 쓴 오류였다. 두 단어 또한 발음과 형태가 유사하기 때문에 혼동하기 쉬우나 의미는 완전히 다르다. ‘맞히다’는 정답을 쓰는 것, 정답을 고르는 것이라 생각하면 된다. 그 외의 것은 모두 ‘맞추다’로 쓴다. 57항에 ‘마치다’와 ‘맞히다’를 실어 놓았으나, 학생들의 글에서 나타난 모든 오류는 ‘맞추다’와 ‘맞히다’를 구별해야 하는 경우였다.
(10ㅁ, ㅂ)은 ‘반드시/반듯이’의 문제로 총 3회의 오류가 나타났다. 단어의 발음이 [반드시]로 동일하나 그 의미는 완전히 다르다. 또한, ‘반드시’는 단일어이고 ‘반듯이’는 ‘반듯’에 ‘-이’가 결합한 파생어이다. 그러므로 형태를 밝혀 적은 ‘반듯이’에는 어근 ‘반듯’의 비뚤어지거나 기울거나 굽지 않고 바르다는 본래의 의미가 존재한다. (10ㅁ, ㅂ)은 ‘반듯이’를 ‘반드시’로 표기해야 하는데, ‘반드시’는 ‘꼭’이라는 의미이므로 각각 ‘꼭’ 챙겨야 하고, ‘꼭’ 성공한다고 믿는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10ㅅ~ㅋ)의 ‘-(으)로서/(으)로써’는 이미 많은 학생들이 구별 방법을 잘 알고 있지만, 선행 명사나 문장의 의미에 따라서 ‘-(으)로서’를 써야 할지 ‘-(으)로써’를 써야 할지 혼동되는 경우가 있다. (10ㅅ~ㅊ)에 사용된 ‘도구’, ‘수단’, ‘방법’ 같은 명사가 특히 그러하다. 학생들은 재료, 수단, 도구, 방법일 때 ‘-(으)로써’를 쓴다고 배우기 때문에 ‘도구’라는 명사 뒤에 ‘-(으)로써’를 쓰게 된다. 그러나 ‘통계’를 지칭하는 (10ㅅ)의 ‘도구’는 연구를 위한 조건(요소)에 해당하며, (10ㅇ)의 ‘도구’도 의사소통을 하기 위한 조건(요소)이라는 점에서 자격의 의미를 띤다. ‘임파워먼트’를 지칭하는 (10ㅈ)의 ‘수단’도 기업 경영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조건(요소)이라는 점에서 자격의 의미를 띤다. ‘조직의 경영 기법’이라는 점에서도 자격으로 볼 수 있다. (10ㅊ)도 ‘방법’ 때문에 ‘-(으)로써’를 선택한 것으로 생각되나 ‘-(으)로서’를 써야 한다. 문장에서 양적 연구방법과 질적 연구방법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론적 조건(요소)으로 기능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헷갈리는 경우에는 임시방편이지만 ‘~의 자격으로’ 정도를 넣어서 말이 되면 ‘-로서’를 쓸 수 있다. 일부만 예로 들면, (10ㅅ, ㅇ)에서 통계는 연구를 위한 도구의 자격으로 사용된 것이고 언어는 의사소통을 위한 도구의 자격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즉, ‘도구’도 자격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배제해서는 안 된다. (10ㅋ)의 ‘판결’은 처벌하기 위한 수단이나 방법이기 때문에 ‘판결로써’로 표기해야 한다. 쉽게 구별할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으로 ‘~을 가지고’, ‘~을 활용(사용)해서’의 의미일 때는 재료, 수단, 도구, 방법을 나타내는 ‘-(으)로써’를 쓸 수 있다.
(10ㅌ~ㅎ)의 ‘-(으)므로/(으)ㅁ으로(써)’는 총 6회의 오류가 나타났다. ‘-(으)므로’는 까닭이나 근거를 나타내는 어미이므로 같은 의미를 나타내는 ‘-니까’ 또는 ‘-기 때문에’로 바꾸거나 두 문장으로 쪼개어 ‘…다. 그러므로…’로 바꾸었을 때 말이 되면 ‘-(으)므로’를 쓸 수 있다. 일례로 “돈이 없으므로 밥을 못 먹는다.”는 “돈이 없으니까/없기 때문에 밥을 못 먹는다.” 또는 “돈이 없다. 그러므로 밥을 못 먹는다.”와 같이 바꾸어 쓸 수 있어 ‘없으므로’가 맞다. 따라서 (10ㅌ)은 ‘공부하고 있으므로’라고 표기해야 ‘2년 동안 최선을 다해 공부하고 있으므로’가 ‘공무원 시험에 꼭 합격할 것이다’의 까닭이나 근거가 된다. (10ㅍ, ㅎ)은 ‘의지함으로(써)’, ‘공부함으로(써)’로 표기해야 한다. ‘-(으)ㅁ으로’는 수단과 방법의 의미이므로 뒤에 ‘-써’가 나타난다. ‘~하는 것으로써’, ‘~하는 것을 통해서’로 바꾸었을 때 말이 되면 ‘-(으)ㅁ으로(써)’를 쓸 수 있다. 이 내용을 (10ㅍ, ㅎ)에 적용해 보면 ‘어려운 순간순간 하나님을 신뢰하고 의지하는 것으로써/것을 통해서…’, ‘성실하고 꾸준히 공부하는 것으로써/것을 통해서…’의 의미이므로 ‘-(으)ㅁ으로(써)’가 맞다.
다음으로 25회의 오류가 나타난 56항을 살펴보기로 한다. 56항의 내용은 ‘-더라’, ‘-던’, ‘-든지’를 바르게 적기 위한 규정으로 선어말 어미 ‘-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일부 문장을 중심으로 확인해 보겠다.
  • (11) ㄱ. 결과를 빨리 알아야 신청하던 말던 하는데 기다리라고만 하니 답답하고 짜증이 났다.

  • ㄴ. 스크린이 있어야 영화라도 보던지 할텐데 저가항공이라 좌석에 아무것도 없었다.

  • ㄷ. 졸업 후에는 취업을 하던지 대학원에 가던지 선택을 해야 한다.

  • ㄹ. 자취방이나 기숙사를 얻던지 통학을 하던지 결정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 ㅁ. 어떤 모임에서던지 혼자 분위기를 깨는 사람이 꼭 있다.

  • ㅂ. 뭘 하던지 행복하기만을 바랄 뿐이다.

  • ㅅ. 학연이던 뭐던 학벌을 높이는 쪽으로 가야 성공할 확률이 높을 것이다.

  • ㅇ. 동향이나 정보를 정확히 알고 있어야 비교하던 말던 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 ㅈ. 학교 네임밸류를 보고 가던 지도해 줄 교수님을 찾던 둘 중 하나는 준비되어야 한다.

(11ㄱ~ㅈ)은 모두 ‘-든’을 써야 할 자리에 ‘-던’을 쓴 오류이다. ‘신청하든 말든’, ‘영화라도 보든지’, ‘취업을 하든지 대학원에 가든지’, ‘기숙사를 얻든지 통학을 하든지’, ‘어떤 모임에서든지’, ‘뭘 하든지’, ‘학연이든 뭐든’, ‘비교하든 말든’, ‘학교 네임 밸류를 보고 가든 지도해 줄 교수님을 찾든’으로 표기해야 한다. ‘A’와 ‘B’ 중에 선택한다는 의미이거나 무엇이든 가리지 않는다는 의미일 때는 ‘-든지’를 쓰고, 과거의 경험을 나타낼 때는 ‘-던지’를 쓴다는 점만 정확히 알고 있으면 틀리지 않는다. 즉, ‘-든지’는 선택, ‘-던지’는 과거라고 일반화할 수 있다. 선어말 어미 ‘-더-’는 화자가 과거에 직접 경험한 것을 나타내므로 ‘-더-’가 개재된 어미는 항상 과거와 관련을 맺는다.19)
다음으로 7회의 오류가 나타난 53항을 살펴보기로 한다. 이 규정에 따르면 된소리로 발음되는 어미 15개는 예사소리로 표기하고, 의문을 나타내는 어미 5개는 된소리로 표기한다. 아래에 있는 다섯 문장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 (12) ㄱ. 무료로 나눔을 할꺼라고만 썼는데 운영자에 의해 글이 삭제되었다.

  • ㄴ. 이렇게 쉽게 나올 줄 알았으면 미리 준비할껄 하는 생각에 후회가 많이 되었다.

  • ㄷ. 막학기를 남기고 인턴을 준비하면서 미리 준비해둘껄 후회했던 것들은 다음과 같다.

  • ㄹ. 내가 생각했던 대로 진행했더라면 결과가 더 좋았을껄 하고 이기적인 생각이 들었다.

  • ㅁ. 생일 전날 엄마에게 “아침은 제가 할께요.” 큰소리치고는 늦잠을 잤다.

(12ㄱ~ㅁ)에서 밑줄 친 부분의 어미는 예사소리로 표기해야 하는데 된소리로 표기한 오류이다. 따라서 ‘할 거라고만’, ‘준비할걸’, ‘준비해 둘걸’, ‘좋았을걸’, ‘할게요’로 표기해야 한다. 한국어에서 어미를 된소리로 표기해야 하는 것은 5개뿐이지만, 이 중 ‘-(으)ㄹ꼬?’, ‘-(으)리까?’, ‘-(으)ㄹ쏘냐?’는 사극에서나 사용할 법한 고어적인 표현으로 문어에서도 구어에서도 사용 빈도가 극히 낮다. 그러므로 한국어에서 의문문을 나타내는 어미 ‘-(으)ㄹ까?’, ‘-(스)ㅂ니까?’만 된소리로 표기하고 나머지 모든 어미는 예사소리로 표기한다고 일반화하여 가르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께요’, ‘-껄’, ‘-꺼야’, ‘-꺼라고’ 등의 표기가 오류라는 사실이 자연스럽게 확인된다.

5. 결론

한 편의 글은 여러 개의 문장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용되는 어문 규정 오류가 반복해서 나타나면 내용의 객관성과 신뢰도가 떨어지고 글쓴이가 꼼꼼하지 않거나 성의가 부족하다는 부정적인 인상을 주기 쉽다. 또한, 글쓴이가 의도한 대로 의미가 전달되지 않고 다른 해석을 유발함으로써 오해와 오독 같은 소통의 문제가 생기기도 한다. 오류가 많은 글을 읽을 때면 무슨 말인지 이해하기 어려워 거듭 읽게 되기도 하고 심지어 몇 줄 읽는 것조차 매우 고역으로 느껴지기도 한다. 격식을 갖추어야 하는 공적인 상황에서 사용하는 글은 높은 정확성과 엄격성이 요구되는데, 크고 작은 오류로 인해 중요한 일을 그르치거나 법적 분쟁에 휘말릴 위험도 존재한다. 그러므로 사회 구성원 간에 서로 약속된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어문 규정을 준수하는 것이 바르고 정확한 문장을 쓰기 위한 본바탕이 된다.
이러한 배경을 두고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이 쓴 글 150편에 나타난 <한글 맞춤법> 관련 오류를 분석하고 설명하였다. 철자법으로서 표기 규칙이자 표기 관습에 해당하는 3장, 4장, 6장을 중심으로 논의하였으며, 이를 통해 글쓰기 교양 교과목에서 어문 규정을 가르치기 위한 교육 내용을 선정하고 오류가 나타나는 주요 조항을 설명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오류 유형과 빈도를 내용 중심으로 제시하면 [그림 1]과 같다.
[그림 1]
한글 맞춤법 오류 유형과 빈도 결과
kjge-2020-14-6-189-gf1.jpg
오류가 많이 나타난 조항부터 나열하면 [57항] 단어 및 문법 요소 구별, [27~31항] 합성어 및 접두사가 붙은 말, [32~40항] 준말, [56항] 어미(-더라, -던, -든지), [10~12항] 두음 법칙, [19~26항] 접미사가 붙어서 된 말, [15~18항] 어간과 어미, [8, 9항] 모음, [53항] 어미(예사소리, 된소리), [51항] 부사(-이/히) 그리고 [6항] 구개음화, [5항] 된소리, [13항] 겹쳐 나는 소리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오류를 살펴보면서 현실 발음이 표기에 영향을 미침, 표기 규약과 현실 발음은 다른 차원의 문제임, 어근의 본뜻이 유지되면 원형을 밝혀 적어야 함, 어근의 본뜻이 유지되지 않으면 소리 나는 대로 적어야 함, 자신이 쓴 표기가 올바른지 확인하기 위해 사전을 찾아보는 학생이 드물기 때문에 오류 형태를 반복 사용하여 굳어지면 자가 수정이 쉽지 않음, 규정 자체의 제약과 까다로움도 오류의 원인이 될 수 있음, 가르칠 때 고빈도의 일상어 위주로 예를 들어야 함 등의 내용을 함께 언급하였다.
본문에서 다루지 않았지만 아래의 사용 오류를 학생들의 글에서 발견할 수 있었다. 이 역시 수업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하며, 내용의 특성상 ‘단어 및 문법 요소 구별’과 묶어서 가르칠 수 있다.
곤욕/곤혹, 알은체하다/알은척하다/아는 체하다/아는 척하다, 임대/임차, 왠지/*웬지 *왠/웬, 과반/과반수/반수/*과반수 이상, 게재/개재/계제, 옥에 티/*옥의 티, 안/않, 자문하다/*자문을 구하다, 배상/보상, 반증/방증, 결재/결제, 심문/신문, 작열/작렬, 경신/갱신, 키다/켜다, 넘어/너머, 난도/난이도, 새다/새우다, 피다/피우다, 달리다/딸리다, 놀라다/놀래다/*놀래키다, 사사하다/*사사받다, 애끊다/애끓다, 비껴가다/비켜 가다/*빗겨 가다, 당기다/땅기다/댕기다/*땡기다, 부문/부분, 주관/주최, 협찬/후원, 느리다/늦다, 빠르다/이르다, 메다/매다, 부의금/부조금, 천장/*천정(天井), *천장부지/천정부지, *주구장창/주야장천, 분리배출/분리수거
규정에서의 표기 문제는 규범적, 논리적 지식에 해당하는 것으로 대부분이 문법의 원리와 규칙에 기초하고 있어 한 번의 명시적 교수와 정확한 이해를 통해 학생들의 오류를 바로잡을 수 있고, 학생들이 이해한 내용은 글쓰기에 즉각 활용할 수 있는 실용적이고 유의미한 지식이 된다. 학생들 또한 맞춤법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스스로가 인식하고 있는데, 그 지식이 곧 올바른 문장 쓰기에 작용하는 전제 조건이다. 사회를 유지하기 위한 법이 있고 사람 사이에 지켜야 할 예의가 있듯이 글쓰기에도 한글 맞춤법이라는 철칙이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오류 분석은 학생들이 어떤 유형을 자주 틀리는지, 어떤 유형을 어려워하는지 확인하고 오류를 없애거나 빈도를 낮추는 데 교육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여전히 중요하다. 동시에 어문 규정을 지도하기 위한 교육 내용 선정과 구성, 교육 순서, 교육 방안, 교육 활동, 교육 평가 등 교육 과정의 세부 요소를 설계하기 위해 분석 결과를 활용할 수 있다.20) 그러므로 향후 어문 규정과 관련한 오류 연구가 더 많이 쌓이면, 누적된 연구 성과를 종합하여 글쓰기 교육 내용 구성 및 체계화, 교육 순서와 방안 등에 대한 상세한 지침이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서 계열별 교육 내용의 선정과 배열이 이루어지고, 표준 수업 모형과 수업 자료가 개발되는 등 특정 대상자들까지 고려한 교수 요목이 설정될 수 있다.

Notes

1) 박정진(2017)에서 대학교 2~4학년 학생 424명을 대상으로 글쓰기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글쓰기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에 반해 글쓰기에 대한 자기 효능감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이재현(2014: 210-211)에서는 대학의 글쓰기 교육 현장에서 어학 전공자를 중심으로 한 일부 교수자를 제외하고는 어문 규정을 중심으로 한 문장 쓰기 교육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고 하였다. 또한, 언어의 형식적 규범 교육이 글쓰기 교육에서 완전히 배제되어서는 안 된다. 사고력 향상과 관련된 내용 교육이 아무리 중요하다고 하더라도 그 내용을 담는 그릇-형식을 무시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강소영(2018: 127-130)에서도 어문 규정이 교수자의 역량이나 교육 환경에 따라 수업에서 비중 있게 다루어지기도 하지만 천차만별로 교육되고 있다고 하였다. 국어학 전공자가 아닌 경우에는 어학 분야까지 심도 있게 가르치고 연구하는 것을 부담스러워한다는 고충이 있고, 규정이 방대하여 현실적으로 한 학기 수업에서 모두 다루기가 어려우며, 학습자의 수준 차이를 고려한 교수 기법이나 수업 사례로 연결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3) 선행 연구에서는 능동문을 사용할 수 있는데 피동문을 사용하는 것을 오류로 처리하거나 삼가야 한다고 설명하기도 한다. 피동문은 사건의 행위주가 누구인지 모르거나 행위주를 드러내는 것이 중요하지 않을 때, 행위주가 사건 안에 존재하지 않을 때, 행위주를 드러내고 싶지 않을 때, 책임을 모면하고자 할 때, 발화 강도를 낮추어 공손하게 표현할 때, 행위주를 생략하여 문장의 내용을 객관화할 때, 비의도적인 사태나 저절로 발생한 사태를 나타낼 때, 주어의 일반적이고 지속적인 속성을 나타낼 때, 상태의 변화나 피해를 입은 결과를 나타낼 때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이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피동문을 오류로 인식하는 관점이 글쓴이의 의도를 전혀 고려하지 않은 경직된 설명일 수 있으며, 극단의 규범에 얽매여 언어를 사용하는 주체가 사람이라는 점을 망각한 설명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김지혜(2019)에서는 대학 글쓰기 교재 10종을 분석하여 피동문에 대한 기술이 피동문의 사용을 지양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언급하였다. 그리고 글쓴이의 표현 의도에 따라 능동문이 아닌 피동문을 선택하는 것이 더 적절한 사례가 있음을 살펴보았다. 해당 연구에 따르면 피동문을 되도록 피하여 글을 써야 한다는 설명은 국어 표현을 지나치게 제한하는 것이므로, 피동문을 무조건적인 오류로 배제할 것이 아니라 올바르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지도하는 쪽으로 교육 내용이 수정되어야 한다. 직역투 문장과 관련해서도 과연 ‘가지다’, ‘-에 대해(한)’, ‘-을/를 통해’, ‘-기 위해’, ‘-(으)로 인한/인해’, ‘-에 관해’를 무조건 오류라고 기술하는 것이 타당한지 의문이다. 직역은 의미에 충실하게 번역하는 것이므로 그 자체로는 오류가 아니다. 이들 각각은 표현 의도와 효과를 지니며 격조사에 대당되는 우언적 구성으로도 볼 수 있는 등 글쓰기에서 정형화된 표현으로서 활용성이 높다. 더욱이 다양한 문어 텍스트에서는 물론이고 글쓰기를 전공한 연구자들의 글이나 글쓰기와 관련한 논저에서도 빈번하게 사용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모호한 의사 표현도 마찬가지로 ‘-(으)ㄹ 것 같다’, ‘-(으)ㄹ 수 있다’, ‘-(으)로 보인다’ 등을 단순히 오류로 처리해서는 안 된다. 이러한 추측성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명제의 발화 수반력이나 화자의 발화 강도를 낮추어 공손하고 부드럽게 전달하거나 예외적인 가능성을 열어 두어 책임을 모면하는 등 화자의 의도가 반영된 글쓰기 전략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고려하여 헤지(hedge)로 판단하는 것이 옳을 수도 있다.

4) 감상문의 경우 작품을 설명하기 위해 출판사, 제작사, 언론사가 제공한 내용을 인터넷에서 그대로 가져온 사례가 많았다. 일부를 수정해서 사용하더라도 엄밀히 말해 학생 스스로 만든 문장이라 보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해당 학생의 자연스러운 글쓰기 습관이 온전하게 나타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제외하였다.

5) 비율은 소수점 둘째 자리까지만 기록한다.

6) ‘*발행 년도/발행 연도’, ‘*졸업 년도/졸업 연도’처럼 ‘2음절 한자 명사+년도/연도’는 항상 ‘연도’를 사용한다고 일반화하여 가르칠 수 있다. ‘회계연도’처럼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지만 붙여 쓰는 것을 허용한 전문어도 ‘연도’로 쓴다. 어려운 것은 ‘금년도’, ‘직전년도’ 등과 같은 것인데, 이것들의 내부 구조를 분석하면 ‘금년-도’, ‘직-전년도’로 직접 구성 요소가 확인되어 두음 법칙에 해당 사항이 없기에 ‘금년도’, ‘직전년도’로 쓰는 것이 옳다.

7) ‘한자어+량’은 사전에 단어로서 등재된 사례가 많은 데 비해 ‘비한자어+양’은 견딤양, 구름양, 알칼리양 등 일부를 제외하면 등재된 사례가 드물다. 이를 통해 ‘한자어+량’과 ‘비한자어+양’에서 ‘量’의 지위를 다르게 취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8) 통시적 정보를 배제한 채 공시적으로 보면 ‘맏이’는 ‘맏-’도 접사이고 ‘-이’도 접사이다. 그러나 현대 국어에서 접사+접사의 내부 구조를 가진 단어는 형성되지 않는다.

9) “몇날 몇일을 밤새워 일하며 우리 사회에 여전히 정신적, 육체적으로 도움의 손길을 필요로 하는 이들이 많고,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이들이 많음을 알게 되었습니다.”처럼 ‘며칠’을 ‘몇일’로 적는 사례도 5회가 있었다. 1988년 1월 19일에 고시된 <한글 맞춤법>에서는 그전까지 구분해 적던 ‘몇칠’과 ‘몇 일’을 ‘며칠’로 통일해 적도록 하였다(제27항 붙임2). 언중들이 ‘몇 일’을 [며딜]이 아닌 [며칠]로 발음하여 이를 단순히 ‘몇’과 ‘일’의 결합으로 볼 수 없다고 판단한 데 따른 것이다. 이는 어원이 분명하지 않은 경우는 원형을 밝혀 적지 않는다는 규정을 적용한 결과이다. “전국적으로 맛과 품질을 인정받은 이천 햇쌀을 사용해 만든 프리미엄 즉석밥이다.”와 같은 오류도 있었다. 이는 제31항의 두 말이 어울릴 적에 ‘ㅂ’ 소리나 ‘ㅎ’ 소리가 덧나는 것은 소리대로 적는다는 규정에 해당한다. ‘햅쌀’의 ‘ㅂ’은 ‘ㅂ’계 어두자음군의 화석이기 때문에 공시적으로 의미와 기능이 없다. 31항의 ‘ㅂ’과 ‘ㅎ’ 모두 공시적으로는 화석이며, 복합어와 같은 구성에서만 변화를 입기 전의 흔적이 남아 있다.

10) 같은 제목으로 작성된 2015년 8월 22일(토) 기사에서 중앙일보는 ‘차값’으로, 부산일보는 ‘찻값’으로 서로 다르게 표기하였다. 사이시옷 규정이 글쓰기를 업으로 삼는 기자에게도 녹록지 않다는 방증이다.

11) ‘뒤(A)+풀이(B)’에서 ‘풀’의 ‘ㅍ’은 거센소리이기 때문에 애초에 된소리로 발음될 수 없다. 그러므로 ‘뒤’의 받침에 사이시옷을 적지 않아야 하지만, 학생들의 글에서 ‘뒷풀이’로 표기한 오류가 매우 빈번하게 나타난다. 더 흥미로운 점은 표준국어대사전에서 ‘명사+ㅅ+풀이’의 구조를 띤 단어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아마도 ‘뒷감당, 뒷거래, 뒷걸음, 뒷골목, 뒷구멍, 뒷다리’ 등처럼 ‘뒷+명사’가 흔하기 때문에 여기에 이끌린 것이 아닌가 한다.

12) 이는 다른 조항에도 동일하게 적용되어야 하는데, <한글 맞춤법>에 있는 용례 중에는 젊은 층의 한국어 모어 화자들이 그 의미를 알지 못하거나 사용하지 않는 폐어(廢語)가 적지 않기 때문이다.

13) 최형용(2019: 227)에서는 ‘한자어+고유어’에서부터 사이시옷을 적지 않도록 하고 점진적으로는 사이시옷 표기를 줄여 나가는 것이 개선 방안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 박성호(2018: 93-95), 박효정(2020: 100-101)에서는 사이시옷 규정이 득보다 실이 더 많으므로 없애는 것이 적절하다고 보았다.

14) 그럼에도 학생 10여 명이 쓴 글에서 명사와 조사를 줄여 쓴 사례가 발견되었다. 한 학생이 쓴 자기소개서 내용을 예로 들어 보이면 “꾸준히 공부하여 학기 말엔 자막 없이 애니메이션을 볼 수 있게 되었고, 앞으로 공부를 할 땐 암기보단 공통점을 찾아 쉽게 이해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노력해야겠다는 다짐을 했습니다.”에서 밑줄 친 ‘말엔(←말에는)’, ‘땐(←때는)’, ‘암기보단(←암기보다는)’과 같은 준말을 확인할 수 있다.

15) 2012년 8월, 지상파 방송의 퀴즈 프로그램에 ‘얼만큼’이 오답이고 ‘얼마큼’이 정답인 문제가 나와 화제가 되면서 네이버 실시간 검색 순위 1위를 차지한 적이 있다. 본 연구자는 당시 놀란 사람들의 반응을 캡처해 두었다.

kjge-2020-14-6-189-gf2.jpg

16) ‘되라’와 ‘돼라’는 “훌륭한 사람이 되라.”와 “훌륭한 사람이 돼라.”가 모두 가능하다. 이때 ‘되라’는 어간 ‘되-’와 하라체 명령형 어미 ‘-(으)라’의 결합으로 지면 같은 매체를 통해 불특정 다수에게 명령하거나 요구하는 뜻을 나타낼 때 쓰인다. 이와 달리 ‘돼라’는 어간 ‘되-’와 해라체 명령형 어미 ‘-어라’의 결합으로 특정한 사람에게 직접 명령하거나 요구하는 뜻을 나타낼 때 쓰인다.

17) 네이버 국어퀴즈 ‘알쏭달쏭 우리말’에서 정답률이 가장 낮은 문제가 바로 제21항 2. 다만, (1)에 관한 것이다. ‘짤다란 꼬리/짤따란 꼬리/짧다란 꼬리/짧따란 꼬리’ 중 옳은 표기를 고르는 문제의 정답은 ‘짤따란’이다. ‘짧-다랗-’처럼 형용사 어근 뒤에 자음으로 시작하는 접미사가 결합한 단어는 원형을 밝혀 적는데, 어근 겹받침의 끝소리가 드러나지 않는 것은 소리대로 적는다는 규정이 적용되기 때문이다. 2020년 10월 17일 기준, 35,298명이 문제를 풀어 ‘짤다란’을 고른 이가 14%, ‘짤따란’을 고른 이가 30%, ‘짧다란’을 고른 이가 46%, ‘짧따란’을 고른 이가 10%이다.

18) 국립국어원(2018)에서 펴낸 한글 맞춤법 해설에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제시하였다. 【‘이’로 적는 것】 겹쳐 쓰인 명사 뒤, ‘ㅅ’ 받침 뒤, ‘ㅂ’ 불규칙 용언 뒤, ‘-하다’가 붙지 않는 용언 어간 뒤, 부사 뒤. 【‘히’로 적는 것】 ‘-하다’가 붙는 어근 뒤(단, ‘ㅅ’ 받침 제외), ‘-하다’가 붙는 어근에 ‘-히’가 결합하여 된 부사에서 온 말, 어원적으로 ‘-하다’가 붙지 않는 어근에 부사화 접미사가 결합한 형태로 분석되더라도 그 어근 형태소의 본뜻이 유지되고 있지 않은 단어의 경우는 익어진 발음 형태대로 ‘히’로 적는다.

19) 화자가 과거에 직접 경험한 내용에 대한 전달이나 보고를 위해 ‘-더-’가 사용된다. “주말에 비가 오더라.”, “주말에 비가 오겠더라.”도 가능하다. 화자가 과거에 일기예보를 들었고 이를 통해 주말에 비가 온다는 사실을 알았기 때문이다.

20) 신호철⋅김부연⋅이규범(2015: 91)에서는 학생들의 실제 쓰기 자료에서 나타나는 오표기 양상을 조사하고 분석한다면 오류 빈도가 높은 오표기 항목을 추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욱 유용한 오표기 목록을 작성할 수 있다고 보았다. 나아가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한글 맞춤법> 오표기 말뭉치 추진 사업도 가능하다고 전망하였다.

참고문헌

강소영(2018). “대학 글쓰기에서 어문 규정에 대한 효과적인 교육 방법 연구 -한국교통대학교 글쓰기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문예창작 17(2), 한국문예창작학회, 127-164.

국립국어원 편(2017). 한글 맞춤법,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편(2018). 한글 맞춤법, 표준어 규정 해설, 국립국어원.

김수진(2018). “대학생 문장 쓰기 실태와 지도 방안”, 순천향인문과학논총 37(2),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5-238.

김영일(2019). “중국인 중급 학습자의 작문에 나타난 띄어쓰기 오류 연구”, 우리말글 82, 우리말글학회, 237-274.

김지혜(2019). “글쓰기 수업에서의 피동 표현 교육 내용 분석 및 개선 방안”, 리터러시연구 10(5), 한국리터러시학회, 177-213.

김혜정, 안태형, 임지아(2016). “대학생 글쓰기에 나타난 어색한 문장 사용 양상”, 우리말연구 46, 우리말학회, 263-283.

김홍석(2008). “현대국어의 피동접사 결합에 대한 문법적 연구”, 국어사연구 8, 국어사학회, 57-70.

나은미(2008). “대학생들의 문장 쓰기 실태와 지도”, 한성어문학 27, 한성어문학회, 235-270.

박성호(2018). “한글 맞춤법의 개선 방안 연구”, 경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박은하(2017). “글쓰기 텍스트에 나타난 대학생들의 구어적 표현 양상 -자기소개서 쓰기를 중심으로”, 리터러시연구 19, 한국리터러시학회, 11-37.

박정진(2017). “대학생 필자의 쓰기 인식에 대한 조사 연구”, 한국어문교육 23,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33-55.

박효정(2020). “한글 맞춤법(1988)의 ‘사이시옷’에 대해서”, 인문과학연구 65,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75-106.

방영심, 이혜용(2013). “大學 글쓰기에 나타나는 語文規範과 文章誤謬의 類型 및 指導 方案”, 어문연구 41(2), 한국어문교육연구회, 83-124.

신호철, 김부연, 이규범(2015). “<한글 맞춤법> 오표기 양상에 대한 연구”, 문법 교육 23, 한국문법교육학회, 63-94.

유혜령(2011). “작문교육에서 문장 쓰기 지도의 방향”, 문법 교육 14, 한국문법교육학회, 241-280.

이재현(2014). “대학생 글쓰기에서 자주 나타나는 형식적 오류의 유형과 지도 방안 -동덕여대 <독서와 글쓰기> 수강 학생들의 글쓰기를 대상으로-”, 사고와표현 7(1),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7-240.

임동훈(1998). “‘내노라’인가, ‘내로라’인가?”, 새국어 소식 11(4), 국립국어원. http://www.korean.go.kr/nkview/news/11/11_4.htm

정언학(2014). “대학생 글쓰기의 형식적 오류 분석 -구, 문장, 단락, 글 차원의 문제”, 교양교육연구 8(1), 한국교양교육학회, 113-169.

정희모, 유혜령(2012). “대학생 글쓰기 텍스트에 나타난 오류 양상”, 어문론집 52, 중앙어문학회, 147-172.

최형용(2017). “사이시옷 표기 실태 조사 및 규정 개선 방안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최형용(2019). “미등재어의 사잇소리 현상과 사이시옷 표기에 대하여”, 이화어문논집 48, 이화어문학회, 207-230.

황금연(2010). “대학생의 글쓰기 교육 - 문장의 오류 분석과 문장 교육의 필요성”, 용봉인문논총 36,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379-404.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203-827. Chung-Ang University
84, Heukseok-ro, Dongjak-gu, Seoul, Republic of Korea, 06974
Tel: +82-2-820-5949    E-mail: hangang331@cau.ac.kr                

Copyright © 2022 by The Korean Association of General Education.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